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23:37:19

스쿠트 항공

스쿠트에서 넘어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싱가포르항공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스쿠트항공 파일:싱가포르항공 아이콘.svg 젯스타 아시아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실크에어파일:싱가포르항공 아이콘.svg 타이거에어 발루에어 제트8 항공
파일: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png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파일:싱가포르항공 아이콘.svg : 싱가포르항공의 관계회사
}}}}}}}}} ||

파일:밸류 얼라이언스.png
밸류 얼라이언스 해체 직전 소속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제주항공 로고.svg 파일:세부퍼시픽 로고.svg 파일:세브고 로고.svg 파일:스쿠트 항공 로고.svg 파일:nok-air.png
}}}}}}}}} ||

스쿠트 항공
Scoot
파일:스쿠트 항공 로고.svg
<colbgcolor=#ffea00><colcolor=#000> 기업명 酷虎航空, ஸ்கூட் ஏர்
Scoot Pte Ltd
국가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설립 연도 2011년 11월 1일 ([age(2011-11-01)]주년)
보유 항공기 수
54 (2024년 2월)
취항지 수 68 (2024년 2월)
허브 공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 (SIN)
포커스 시티 타오위안 국제공항 (TPE)
부호
<colbgcolor=#ffea00><colcolor=#000> SCOOTER
TR
TGW
상용 고객 서비스
KrisFlyer
슬로건 Escape the Ordinary
모기업 싱가포르항공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9V-OJI.jpg
보잉 787-9 드림라이너 9V-OJI
1. 개요2. 상세3. 서비스
3.1. 좌석별 서비스
3.1.1. 스쿠트 플러스3.1.2. 스쿠트 인 사일런스3.1.3. 스트레치 좌석
4. 노선망5. 보유 기종6. 이전 보유 기종7. 사건 사고8. 여담

[clearfix]

1. 개요

싱가포르 저비용 항공사로, 싱가포르항공의 자회사.[1] 싱가포르 창이 공항을 기점으로 중/장거리 노선을 운항한다.

2. 상세

2011년 11월 1일, 싱가포르항공이 자사의 항공편 서비스에서 틈새수요를 발굴하면서 시작됐다. 타이거에어 실크에어가 각각 단거리 노선에서 저비용 서비스와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운데, 스쿠트는 중장거리 비행을 위한 저비용 항공사 위주의 항공사 컨셉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스쿠트는 기존 싱가포르 항공 그룹의 노선인 시드니 같은 부족한 시장을 타겟으로 하고, 골드코스트와 톈진 등 새로운 목적지를 취항하였다.

첫 취항은 그동안 공급 부족으로 여겨왔던 호주 시드니 노선이었다. 2012년 6월 시드니 취항을 시작으로 골드코스트, 퍼스, 방콕, 타이페이, 도쿄, 톈진, 선양, 난징, 칭다오, 서울, 홍콩 등으로 확장해 나갔다. 모회사인 싱가포르항공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별도의 본사 사무실을 꾸렸다. 처음에는 싱가포르항공에서 인수한 4대의 B777-200ER 항공기로 시작했다. 또, 2014년 말부터는 보잉 787 20대를 주문하여 도입하였다.
파일:459573501_3271434782986469_4371680781447507873_n.jpg
싱가포르 창이-시드니 노선 첫 취항 당시

스쿠트는 2010년대 중반 노선망과 항공기 기단을 확장하는 전략을 통해 싱가포르 항공 그룹 내에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2014년 12월에는 태국의 녹에어와의 합작 투자로 녹스쿠트 항공을 설립하며, 싱가포르와 태국 간의 저비용 항공 시장에 진입했다. 녹스쿠트 항공은 초기에는 싱가포르항공의 중고 B777-200ER 를 사용했으며, 2020년까지 운영되었다. 이 합작사는 스쿠트가 아시아 내 저비용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듬해에는 보잉 787을 새롭게 도입하여 중장거리 및 중단거리 노선 강화를 꾀했다. 이후 스쿠트는 중국 톈진, 선양, 칭다오와 인도의 암리차르, 첸나이, 자이푸르 등을 새롭게 취항하면서 노선망을 공격적으로 확장해 나갔다.
파일:AL-scoot-0202e_2x.png
B787 1호기 도입 당시

한편 2017년 타이거에어와 합병하면서 기존의 장거리 노선에서 중단거리 노선으로 눈길을 돌렸다. 합병하는 과정에서 타이거에어의 A320을 이전받으며 의도치 않게 중단거리 노선까지 대폭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합병 당시 사명은 스쿠트 항공 단일 브랜드 체제로 운영하기로 합의하였다.[2]

또 다른 합병으로 의도치 않은 확장세를 누릴 수 있었는데, 이번엔 모기업인 싱가포르항공이 자회사 저비용 항공사인 실크에어와 합병하게 되면서 의도치 않게 중단거리 노선을 이양받게 된 것이다. 넘겨 받은 노선 중에는 루앙프라방, 비엔티안, 치앙마이, 코타키나발루, 발리크파판, 롬복, 마카사르, 마나도, 세마랑, 우한, 쿤밍 등이 있다. 한편 수요 부족으로 하와이 호눌룰루 노선을 다음해 6월까지만 운항하기로 하였다.

2019년 1월에는 라오스 취항, 4월에는 인도에 새로운 노선인 코임바토르, 트리반드럼, 비샤카파트남을 취항하였다. 같은 달, 스쿠트는 중국 4개 도시로의 신규 노선 개설과 더불어 럭노우, 칼리보, 관저우, 말레로 향하던 항공편을 수요 부족으로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같은해 3월에는 싱가포르 대화은행과 협력해 PayNow 결제 서비스를 도입하며, 새로운 결제 옵션이 개시되었다. 여름에는 4개 신규 노선 취항과 더불어 A321neo 항공기 16대를 주문하여 2020년까지 도입한다고 밝혔다. 9월에는 TTG 여행 어워드와 트래블 위클리 아시아 독자 선정 시상에서 각각 최고의 저비용 항공사로 선정되었고, 10월에는 싱가포르 창이 공항 터미널 1으로의 이전을 마쳤다. 이 외에도 9월에는 결제 처리 수수료를 없앴다.

협동체를 여러 대 보유하며 단거리 노선 위주로 운행하는 일반적인 저비용 항공사와는 달리 스쿠트는 광동체를 보유하면서 중장거리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3][4] 그런데 광동체로 한 번에 갈 수 있는 거리임에도 중간에 다른 지역을 거쳐 가는 노선이 많다. 비행기 1대당 좌석이 300석이 넘어 중거리 수요와 장거리 수요를 모아 태우는게 나아서 생긴 비책이다.

3. 서비스

파일:Scoot-768x405.jpg
세계 최고의 저비용 항공사 2위 선정 당시

서비스에 대한 평가는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2023년 TTG 트래블 어워드와 트래블 위클리 아시아 리더스 초이스 어워드에서 "최고의 저가 항공사"로 선정되었으며, APEX 헬스 세이프티 글로벌 항공사 평가에서 다이아몬드 등급을 획득하여 세계 최초의 저가 항공사로 최고 수준의 건강 및 안전 기준을 달성했다. 또한, 2024년에는 스카이트랙스로부터 "세계 최고의 저비용 항공사" 2위에 선정되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bid4biz라고 해서 비즈니스석 개념의 "스쿠트플러스"의 원하는 가격을 경매와 같은 개념으로 구입할 수 있다. 노선별 최소 금액이 설정되어 있으며, 가격은 보통 유선/체크인 카운터 업그레이드 > bid4biz >= 스쿠트비즈 일반가 정도로 형성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 항공사를 한 번 이용해 보면 진정한 저비용 항공사의 요금 정책을 뼈져리게 느낄 수 있다. 이 요금 정책을 체감해 본 사람들은 한국 저비용항공사의 요금 정책이 소비자 친화적임을 체감하게 된다. 특히 환불을 안해주기로 악명이 높다. 기본적으로 고객센터가 전화를 잘 받지 않으며, 받더라도 영어로 얘기하는 상담사를 만나게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또한, 상담사와 통화를 하더라도 무환불정책(no-refund policy)라는 태도로 일관하며 무시해버린다.

설령 항공사 사정으로 항공권이 취소되어도 환불을 받으려면 기본적으로 한 달 이상 기다려야 한다. 실제로 두달이 지나도 환불을 못 받다가 카드사에 이의 신청을 해서 4개월 만에 카드사를 통해 환불 받은 사례도 있다.[5]

그래서 네이버 블로그 등을 조금만 찾아봐도 위의 두 가지가 결합한 난감한 사례가 종종 나타난다. 1. 몇 달 전에 미리 예약한 비행기의 일정을 자기들 마음대로 바꾸고 2. 거기서 일정 문제로 환불을 받으려는 고객에게는 자기 항공사에서만 쓸 수 있는 소액의 바우처만 지급하고나서 모르쇠하며 3. 제대로 된 환불을 밟으려 하면 4개월이 이미 지났거나, 환불해줄 수 없다는 내용의 상담을 (영어로) 진행해버리는 참사가 일어난다. 저렴한 이유로 저비용 항공사를 이용하려고 했다가 돈을 날리는(그리고 스트레스와 기회비용까지 손해보는) 셈이 되는 것이다. 추가로 미리 선택한 좌석이 비행기 일정변경으로 기체가 교체되어 다운그레이드가 되더라도 차액을 환불받을 수 없다. 기체가 바뀌지 않았다고 응대하는 스쿠트 상담 직원을 만나면 기가 찬며 스쿠트 한번만 타보면 정말 다시는 저비용 항공사는 타고싶지 않아질 정도까지다. 사실 대부분의 저가 항공사들의 문제가 환불 불가다.

저비용 항공사 특성상 지연에 취약한데, 스쿠트 규정에 의하면 3시간 넘게 지연이 발생할 경우 50 싱가포르 달러에 상당하는 스쿠트 바우처로 보상해준다. 고객센터를 통해 개별로 요청한 뒤 이메일로 바우처를 보내준다. 이 바우처는 양도가 가능하다.

얄짤없이 출발 시간 60분 전 카운터 마감, 20분 전 탑승 마감이니 이용 시 유의가 필요하다.[6]

가끔 비행 시간을 마음대로 변경하기도 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 변경이 모든 비행 시간을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게 아니다. 출발편과 경유편의 간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마구잡이로 바꾸기 때문에 출발편 비행기의 경유 공항 도착 시간이 경유편 비행기의 출발 시간보다 더 뒤로 잡히기도 한다. 즉, 아무것도 모르고 출발 편 비행기를 타면 경유 공항에서 비행기를 놓쳐서 무조건 미아가 되는 상황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실로 어처구니 없는 일 처리가 아닐 수 없다.[7]

모회사인 싱가포르항공과 달리 스쿠트는 저가 항공사이며 그에 따른 서비스의 한계가 있는 걸 감안해야 할 것이다. 물론 싱가포르인들은 이 정도 악평까지 하지는 않는 편이라서 한국인이 언어 문제로 더 곤욕을 치르는 면도 있다고 봐도 된다.

3.1. 좌석별 서비스

3.1.1. 스쿠트 플러스

ScootPlus / 前 ScootBiz

스쿠트플러스(ScootPlus)는 스쿠트항공의 최상위급 좌석으로 보잉 787에 한해 이용할 수 있다.
파일:787-dreamliner-scootplus-cabin.jpg
스쿠트 플러스

3.1.2. 스쿠트 인 사일런스

Scoot-in-Silence

스쿠트 인 사일런스(Scoot-in-Silence)는 조용한 비행을 원하는 승객에 한하여 추가요금을 지불하면 선택할 수 있는 좌석으로 12세 이상만 지정할 수 있다.

보잉 787에 한해 이용할 수 있다.
파일:스쿠트 사일런스.jpg
스쿠트 인 사일런스

3.1.3. 스트레치 좌석

Stretch Seats

스트레치 좌석(Stretch Seats)은 기존 이코노미석보다 넓은 좌석으로 보잉 787는 34인치, A320 계열 항공기는 최소 38인치, 엠브라에르 E190-E2는 26인치에서 39인치의 좌석 간격을 자랑한다.
파일:scoot-787-stretch-seats-edited.jpg
스트레치 좌석
스쿠트 항공의 E190-E2 내부 인테리어

4. 노선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쿠트 항공/노선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모든 노선은 싱가포르 창이 공항발 노선이다. 기존에는 드림라이너 광동체 만을 투입하고 있었으나 타이거에어를 합병한 후에는 A320 계열을 중단거리 노선 위주로 투입하고 있다. 2022년 6월에 신규 취항한 제주 노선에도 A321neo를 투입하고 있다.
파일:2024-jun-scoot-route-map.jpg
스쿠트 항공 노선망

4.1. 대한민국 노선

자사 기재 직항
싱가포르(SIN) 서울(ICN)/T1 (TR840) 서울(ICN)/T1 싱가포르(SIN)/T1 (TR841) 운항 횟수 기종
12:15(SGT) → 19:30(KST) 20:45(KST) → +1 02:25(SGT) 주 7일 B787-9[8]
싱가포르(SIN) 타이베이(TPE) 서울(ICN)/T1
(TR896[실제운항편명]/SQ8528)
서울(ICN)/T1 타이베이(TPE) 싱가포르(SIN)/T1
(TR897[실제운항편명]/SQ8529)
운항 횟수 기종
12:25(SGT) → 17:10(CST)
18:10(CST) → 21:35(KST)
22:50(KST) → 00:30(CST)
01:30(CST) → 06:15(SGT)
주 7일 B787-9
싱가포르(SIN) 제주(CJU) (TR812) 제주(CJU) 싱가포르(SIN)/T1 (TR813) 운항 횟수 기종
00:25(SGT) → 07:25(KST) 08:40(KST) → 16:10(SGT) 주 5일 A321neo

5. 보유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쿠트 항공/보유 기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000> 제조사 기종 보유 대수 주문 대수 좌석수
엠브라에르 E190-E2 5 4 112석
에어버스 A320-200 14 - 180석
A320neo 6 12 186석
A321neo 9 7 236석
보잉 보잉 787-8 11 2 329-335석
보잉 787-9 10 1 375석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9V-OJE-Scoot-Boeing-787-9-Dreamliner_PlanespottersNet_621721.jpg
스쿠트 항공의 주력 기종인 보잉 787-9 드림라이너 9V-OJE[11]

6. 이전 보유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쿠트 항공/이전 보유 기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건 사고

8. 여담


[1] 싱가포르항공 마일리지인 크리스플라이어를 스쿠트 바우처로 교환해 사용할 수 있다. [2] IATA 코드는 TZ(스쿠트) 대신 TR( 타이거에어)을 쓰기로 합의하였다. [3] 우리나라의 에어프레미아와 같은 포지션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4] 타이거에어를 합병한 뒤에는 협동체도 보유하고 있다. [5] 참고로 결제일로부터 4개월이 지나면 이의신청이 불가능하다. 만약 날짜가 촉박하다면 상담을 통해 환불 승인을 받고 그 대화 내용을 첨부해서 즉시 이의 신청을 하는 게 좋다. [6] 탑승 항공편이 지연된다 해도 체크인 카운터 운영은 원래 출발 시간에 맞춰 오픈, 마감하기도 하니 유의해야 한다. [7] 이런 일을 겪은 고객이 라이브챗으로 따져도 변명은 커녕 상황 자체를 이해 못해서 동문서답만 한다. 마치 원숭이와 대화하는 것 같아서 클레임 고객이 항의 도중에 현타를 느끼는 진귀한 경험을 할 수 있다. [8] 간혹 787-8이 투입된다.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11] 싱가포르 독립 50주년 특별도장 적용. [12] A320-200, 등록번호 9V-TRS. [13]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이 수교하고 나서 1993년부터 대한민국 중화민국(대만)의 양국 국적기가 철수하면서 생긴 운수권을 활용한 것이다. 중국 본토에서 수교 당시 전제조건으로 대만 국적기의 철수 등 대만과의 관계 단절을 내걸어 어쩔 수 없긴 했었다. 그러나 양국 간의 민간 교류는 여전히 많아 캐세이퍼시픽항공 타이항공, 싱가포르항공 등 외항사에 이원권을 부여해 서울(김포)- 타이베이(중정) 간 왕복 수요를 처리했다. 사실 몇몇 항공사들이 이원권을 부여받았으나 실제 운항에 들어가지 않은 회사들도 있었다. 스쿠트의 경우는 한국-대만 간 왕래가 다시 많아지자 모 회사 싱가포르항공 1996년까지 실제 운항했었던 이원권을 살려 취항한 것이다. 뜬끔없는 타국의 저가 항공사가 한국-대만간 운수권을 가지고 있는 데는 이런 배경이 있다. 더구나 싱가포르는 한국과의 교류가 1990년대만 해도 적은 편이라서 대만 및 홍콩을 거쳐 교류했기에 더욱 그렇다. 싱가포르항공의 제3국 경유편은 그 외에 홍콩/ 태국 등의 노선들이 있었다. [14]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인구 비중만 보고 중화권으로 인식하기 쉽지만 말레이인 인도계 싱가포르인을 합쳐 30%의 상당수인 다인종 국가이며 제1언어는 중국어가 아닌 영어다. 중국어 단독 표기조차 금지하며 반드시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4개 언어를 모두 병기하거나 영어만 쓰게 한다. [15] 애초에 동남아는 아멕스 가맹점이 별로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1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