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 용어
자세한 내용은 세대 문서 참고하십시오.2. 기본 입자의 구분
물리학에서는 쿼크나 렙톤들의 구분을 이르는 말로 세대를 쓴다. 이들은 각각 여섯 가지의 입자 모임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질량과 양자수에 따라 두 개씩 세 세대로 구분할 수 있다.세대 | 쿼크 | 렙톤 | ||
이름 | 기호 | 이름 | 기호 | |
1 | 업(up) | u | 전자 | e |
다운(down) | d | 전자 중성미자 | [math(\nu_e)] | |
2 | 참(charm) | c | 뮤온 | [math(\mu)] |
스트레인지(strange) | s | 뮤온 중성미자 | [math(\nu_{\mu})] | |
3 | 톱(top) | t | 타우온 | [math(\tau)] |
보텀(bottom) | b | 타우 중성미자 | [math(\nu_{\tau})] |
3. 무기의 구분
무기체계의 개념적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세대로 구분한다. 전차나 전투기를 1세대, 2세대, 3세대 등으로 구분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세대 구분이란 것은 어딘가 협회가 있어서 '이제부터 세대는 이렇게 구분합시다.'라고 정하는 것이 아니다. 반쯤은 홍보용 목적이 강해서 '내가 신세대 전차/전투기다!'라고 주장하며 세대를 하나 늘리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 시기에 따라 세대구분이 변하기도 한다. 일례로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서방쪽 세대 구분 기준으로는 F-15가 3세대 전투기였으나 2000년대 들어 러시아쪽에서 세대를 하나 더 늘린 구분법이 나오고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해져서 현재는 F-15가 4세대가 된다.3.1. 전차의 세대 구분
세대별 전차 | |||
1세대 전차 | 2세대 전차 | 3세대 전차 | 3.5세대 전차 |
4. 통신의 구분
통신체계의 개념적, 기술적 전환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의 양과 질이 비약적으로 도약하는 것을 세대로서 구분한다. 무선통신에서 흔히 세대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1세대는 기존까지의 아날로그 통신을 모두 포함한다. 무전기(반이중 통신), 시티폰 등이 이에 해당한다.
2세대 통신은 1991년부터 등장한 디지털 방식의 통신규약을 가리키는 말로서, GSM, CDMA(PCS)의 초기형으로 대표되는 시대다. 3세대 이후에는 거대한 폰으로 상징화, 희화화되는 경향이 있다.
3세대 통신은 IMT-2000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무선통신을 가리키는 말로, 3세대 서비스는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데이터 다운로드, 메일 주고 받기, 메시지 보내기 등)를 모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현재까지 완전하게 3세대를 벗어난 통신방식은 없다. 오늘날 사용하는 CDMA2000, WCDMA은 3세대 한국에서 개발하는 와이브로는 4세대 정도로 분류한다. 사실 소위 4세대라 불리는 LTE도 분류기준에 따르자면 3.9세대에 불과하다.
4세대 통신은 아직 등장하지 않은 차세대의 통신을 말하는 것으로 초광대역(100+ MiB/s와 같은 기가비트 속도) 인터넷 접속, IP 전화, 게임 서비스 및 스트리밍 멀티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기가비트 속도라는 게 기술적으로 절대 쉽지 않기 때문에 아직까지 이를 완벽하게 만족시키는 서비스는 없다. 대략 핸드폰으로 실시간 온라인 게임에 렉 없이 접속하여 치고 박을 수 있는 정도로 이해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개발로 인해 등장 예상 시점이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이 말은 2010년대 극초반 까지의 이야기고, 2010년대 초중반 쯤에 LTE-A와 광대역 LTE라고 광고하던 멀티밴드(CA/케리어 어그리시에시션) LTE 와 WIMAX 는 4세대 통신이라 보면 된다.
좀 더 현실적으로 빡빡하게 따져보자면 2019년 상용화된 5G가 4세대에 해당한다. 5G는 실제로는 전파 간섭이나 사용인원 폭주, 수신 상태 등의 영향을 받아 해당 속도를 항상 보장해주지는 못하나 이론상으로 최적의 서비스 환경에서는 100MiB/s(1Gbps) 이상의 통신속도를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한 LTE-CA(멀티밴드 LTE)도 실제 서비스는 20MiB/s(200Mbps)정도가 최적이나 해당 규격으로 이론상으로는 4세대 통신에 해당하는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그 외에 인터넷 접속, IP전화(VoLTE, Voice Over LTE), 게임 서비스, 스트리밍 멀티미디어는 그 전의 3G시대부터 있었고.
5. 게임
5.1. 게임기의 구분
자세한 내용은 게임기 문서 참고하십시오.5.2.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세대 구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nt-weight: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94em" |
<rowcolor=#FFCC00>세대 | 작품 |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1 | 레드적·그린녹 | 블루청 | 피카츄옐로 | |
2 | 금골드·은실버 | 크리스탈 | |
3 | 루비·사파이어 | 에메랄드 | |
파이어레드·리프그린R | ||
4 | 디아루가다이아몬드·펄기아펄 | 기라티나플래티나 | |
하트골드·소울실버R | ||
5 | 블랙·화이트 | 블랙 2·화이트 2 | |
6 | X·Y | |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R | ||
7 | 썬·문 | 울트라썬·울트라문 | |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R | ||
8 | 소드·실드 | 익스팬션 패스(갑옷의 외딴섬+왕관의 설원)D | |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R | ||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 | ||
9 | 스칼렛·바이올렛 | 제로의 비보(벽록의 가면+남청의 원반+수슈수슈 패닉)D | |
Pokémon LEGENDS Z-A | ||
## 흰 글씨: 흰 글씨는 일반 텍스트, 색있는 글씨는 링크 텍스트로 구분하기 위함
R : 리메이크작 ⠀|⠀ D : 추가 콘텐츠(DLC) ⠀|⠀ 기타 : 일본어판 혹은 영문판 명칭 |
}}}}}}}}}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작품과 여러 게임 요소들을 분류하는 방식에는 지방별 분류와 세대별 분류가 주로 쓰인다. 스토리와 캐릭터를 비롯한 설정을 구분하려면 지방별 분류를, 도구와 기술을 비롯한 시스템을 구분하려면 세대별 분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이는 비공식적인 용어기에 공식 설정과 어긋나거나 모순되는 부분이 있을수 있다.
6. 동일한 주소 또는 거소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世 누리 세 |
帶 띠 대 |
|
중국어 | [ruby(家, ruby=jiā)][ruby(口, ruby=kǒu)], [ruby(住, ruby=zhù)][ruby(家, ruby=jiā)], [ruby(住, ruby=zhù)][ruby(户, ruby=hù)] | |
일본어 | [ruby(世, ruby=せ)][ruby(帯, ruby=たい)] | |
영어 | household |
한 가정을 이르는 말. 법적으로는 한 집에 사는 식구들을 한 '세대(世帶)'라고 한다. 영어로 generation에 해당하는 '세대(世代)'와는 다른 단어다. 세대 구성원들의 대표가 되는 자를 세대주(世帶主)라고 한다.
법적, 행정적으로 세대는 가구와는 다른 개념이다. 국어사전 상으로는 가구와 세대는 유사어로 취급하지만 행정, 세법 등으로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세대 개념은 주택공급과 조세정책 등 79개 법령에서 활용되고 있다.
세대(世帶)란 소득세법 시행령 제15조에 '동일한 주소 또는 거소[1]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세대 개념에는 동일한 주소 또는 거소라는 전제가 있기는 하지만 혈연관계를 더 우선시 해서 판단한다. 예를 들어서 부부의 경우는 주말부부나 별거 등의 사유로 동거를 하지 않더라도 1세대로 본다.[2] 그리고 만 30세 미만의 결혼하지 않은 자녀도 따로 떨어져서 살고 있더라도 별개의 세대로 인정되지 않는다.[3] 따라서 예를 들어 아빠는 창원에서 회사를 다니고(전세집) 엄마는 서울 자가에서 중학교를 다니는 딸을 키우고 대학생 아들은 부산에서 학교를 다니는 경우(원룸월세)는 실거주 주택 수는 3채이더라도 1세대이다. 주민등록상 세대보다 조금 더 복잡하게 따지는 것이다.
가구(家口)란 일명 호구조사라고도 불리는, 5년 마다 시행하고 있는 인구주택 총조사를 할 때 사용한다. 가족여부, 주민등록 여부는 상관없이 같이 먹고자고 생활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혈연, 혼인, 입양 등으로 한 집안을 이룬 사람들의 집단을 말하는 세대와는 달리 가구는 반드시 혈연 관계가 아니더라도 1인 이상이 모여 취사, 취침등 생계를 같이하는 생활 단위를 말한다. 혼자살면 1인가구, 3명이 살면 3인가구, 한 마디로 집에 몇 명이 살고 있나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빠, 엄마, 아들, 딸 4인이 같이 사는 집에 임영웅이 들어와 한 집에 살면 5인가구가 된다.
주민등록상의 세대는 인구 이동 상황을 파악하려는 행정적인 목적에 따른 것으로 주민등록으로 그 수가 파악된다. 따라서 주민등록상 세대는 실제 함께 살고 있는 사람과 다르게 등록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함께 살고 있는 사람만 포함하는 가구와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세법에서의 세대 개념처럼 소득 기준 따위를 반영하지 않으며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로 다르게 등록되어 있으면 한 가족이어도 다른 세대이다.
아파트나 빌라 같은 공동주택의 규모를 나타낼 때도 쓰이는데, 1,000세대라고 적어놓은 것은 1,000개의 가구가 입주할 집이 있다는 말이다.
7. 세종대학교의 약칭
자세한 내용은 세종대학교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주소, 거소, 그리고 주민등록지 주소 이 셋은 차이가 있다. 민법에 따르면 생활근거가 되는 곳이 주소(住所)인데 동시에 두 곳 이상 있을 수 있으며, 주소가 없이 얼마동안 계속하여 임시로 거주하는 곳이 거소(居所)다. 주민등록은 주민등록법에 따라 30일 이상 거주할 목적으로 주소나 거소를 가진 사람을 등록토록 하고 있으며, 주민등록지를 공법관계에서의 주소로 보며 이중등록이 불가하다. 병원, 보호시설 등에 장기입원 치료 중인 사람이 주민등록 신고를 할 경우, 병원은 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영조물(營造物,public institution)로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거소로 인정할 수 없다. 다만, 일정한 주소 또는 거소가 따로 없고 치료의 목적보다 실질적으로 보호수용을 받고 있는 사람이나, 달리 주민등록을 할 수 없는 입원자에 한해서는 예외적으로 합숙사(合宿舍,house for lodging together)로 간주하여 주민등록을 할 수 있다
[2]
원래 본인과 배우자 2인이 세대구성의 기본단위이므로 원칙적으로 배우자가 없는 단독세대는 세대로 인정받을 수 없고 부부가 세대를 분리하여 주민등록상의 세대주로 등재되어도 부부를 합하여 1세대로 판정한다. 이런 맥락에서 1인가구는 1세대라고 말할 수 없지만 주민센터에서 세대분리를 신청해 받아들여지면 1인세대가 된다.
[3]
다만 만 30세 미만 미혼 자녀이더라도 중위소득 40% 이상의 소득자는 별개 세대로 인정 가능하다. 또는 만 30세 이상이 아니더라도 결혼을 했거나, 직계존속이 사망한 경우 세대분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산에 1주택을 가지고 사는 부부를 가정하자. 그 부부의 자녀가 따로 살게 되어 서울에 집을 1채 소유하게 됐을 때 그 자녀가 만 30세 미만으로 월소득이 중위소득 40% 미만(2020년 기준 월소득 175만원 미만)일 때 나라에서 봤을 때는 너는 집이 살 능력이 안되는데 집을 가지고 있네?라고 봐서 세대분리가 안된다. 즉 자녀와 부모는 여전히 같은 세대가 되어 부모는 1세대 2주택에 해당된다. 반대로 자녀가 만30세 미만이라도 소득증빙자료로써 월소득이 중위소득 40% 이상링 때는 자녀도 1세대 1주택, 부모도 1세대 1주택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