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23:30:45

선운사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svg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유색배경).svg
25교구 및 본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31916> 직할교구 제2교구 제3교구 제4교구 제5교구
조계사 용주사 신흥사 월정사 법주사
<rowcolor=#231916> 제6교구 제7교구 제8교구 제9교구 제10교구
마곡사 수덕사 직지사 동화사 은해사
<rowcolor=#231916> 제11교구 제12교구 제13교구 제14교구 제15교구
불국사 해인사 쌍계사 범어사 통도사
<rowcolor=#231916> 제16교구 제17교구 제18교구 제19교구 제20교구
고운사 금산사 백양사 화엄사 선암사
<rowcolor=#231916> 제21교구 제22교구 제23교구 제24교구 제25교구
송광사 대흥사 관음사 선운사 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파일:PicsArt_12-20-12.13.32.jpg

1. 개요2. 역사3. 문화재4. 사계5. 기타6. 교통7. 외부 링크

1. 개요

한자 : 禪雲寺 / 로마자 : Seonunsa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산 도립공원 내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이다.

2. 역사

백제 위덕왕 24년(577년)에 검단(黔丹)선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당시 이 근처에는 도적이 들끓었는데 검단선사가 도적들을 교화하여 소금 굽는 일과 종이 만드는 일을 하게 하였다고 한다. 이후 감사의 의미로 매년 선운사에 소금을 바쳤다는데, 이 풍습은 해방 전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그 후 폐사가 되어 석탑 1기만 남았는데 고려 공민왕 3년(1354년)에 효정(孝正)선사가 중수하였다. 조선 성종 3년(1472년)부터 10여 년 간 극유(克乳)라는 승려가 성종의 숙부 덕원군에게 후원받아 대대적으로 중장했지만, 선조 30년(1597년)에 정유재란으로 본당을 제외하고 모두 불타버렸다.

광해군 5년(1613년)에 재건을 시작하여 3년에 걸쳐 대웅전, 만세루, 영산전, 명부전 등을 건립하였다.

현대에도 검단선사의 일화를 기려 삼양염업사 해리지점에서 매년 봄과 가을에 선운사에 소금을 기증하고 있다.[1] #

3. 문화재

주요 문화재로는 보물 제279호인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인 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90호인 대웅전, 보물 제1200호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등이 있다.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의 전설이 특히 유명한데, 선운사의 부속암자인 도솔암으로 가는 길에 본 마애불이 있고, 이 마애불의 배꼽 부분에 네모난 감실이 들어가 있다. 보통은 여기에 불경 등을 넣지만 전설에 따르면 선운사 마애불에는 검단선사의 비결(秘訣)이 들어 있다고 한다. 이 비결이 나오면 한양이 망한다는 소문이 주변에 떠돌았는데, 19세기 초 전라감사 이서구가 이를 비웃으며 안에 들어 있는 것들을 꺼내려고 시도 했다고 한다. 그런데 막상 꺼내려고 하니 마치 이를 막으려는 듯 벼락이 온사방에 쳐서 위축되었으나, 그래도 강행하였고 결국 감실을 열어서 안에 있던 책을 폈다고 한다. 하지만 책의 첫문장으로 "전라감사 이서구가 열어본다."고 적혀있었고 이를 보고 기겁하여 다시 봉인하였다고 한다.[2][3]

그 후 동학농민운동 동학 접주 손화중이 비결을 꺼내갔다고 한다. 후세에 그 비결이 바로 정약용 목민심서 경세유표라는 전설이 덧붙여졌다.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제1권에도 소개되었다.

4. 사계

5. 기타

6. 교통

7. 외부 링크



[1] 삼양염업사 해리지점은 삼양사 염전부였다가 독립한 회사다. [2] 똑같은 내용의 전설이 진안군에서도 절 이름과 사소한 디테일만 바뀌어 구전되고 있다. # [3] 참고로 이서구 본인도 온갖 전설이 전해지는 인물이다. 그의 전설은 경상도, 전라도, 평안도를 중심으로 전해지는데, 도술, 예언, 풍수에 매우 능통했으며, 백성들을 위해 능력을 사용했다는 식으로 이야기가 구전되었다. # [4] 금영노래방 86711, tj노래방 33481. [5] 대표적으로 2014년 초파일날 MBC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선곡된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