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width=100%> |
서울특별시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
순환 | 간선 | 지선 | 광역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심야 ]]
|
마을 | 맞춤 | 공항 | |
0~50번 | 51~99번 | 100번대 | 200번대 | |
300번대 | 400번대 | 500번대 | 600번대 | |
700번대 | 800번대 | 900번대 | 1000번대~ | |
맞춤 | 마을 | |||
관련 문서
|
||||
역사 /1970년 개편 이전 /2026년 개편 계획 ㆍ 비판 및 문제점 ㆍ 노선 조정 내역 ㆍ 업체 목록 /공항버스 |
1. 개요
1.1. 결번
2. 1011(도원교통)3. 1012(대진여객)4. 1013(대진여객)5. 1016(삼화상운)6. 1018(대원여객)7. 1019(대원여객)8. 1112(도원교통)★9. 1115(삼양교통)☆10. 1116(1기, 동아운수)☆11. 1116(2기, 용림교통)☆12. 1117(1기, 동아운수)13. 1117(2기, 도원교통)14. 1118(1기, 동아운수)15. 1118(2기, 대원여객)16. 1121(동아운수)17. 1122(영신여객)☆18. 1123(한성운수)19. 1125(한성운수)20. 1134(흥안운수)21. 1145(한성여객)22. 1146(진아교통)23. 1147(한성여객)24. 1148(대원여객)25. 1151(대원여객)26. 1152(대원여객)27. 1153(한성여객)28. 1156(태릉교통)29. 1157(번창운수)30. 1158(번창운수)31. 1159(번창운수)32. 1160(번창운수)33. 1161(번창운수)34. 1163(성원여객)35. 1166(영신여객)36. 1167(흥안운수)☆37. 1211(도원교통)38. 1212(성원여객)39. 1215(진아교통)40. 1216(동아운수)41. 1217(영신여객)42. 1219(영신여객)43. 1220(삼화상운)44. 1223(상진운수)45. 1225(태릉교통)46. 1411(한성운수)1. 개요
- 주간선버스는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만 같은 노선은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와 회사 모두 같은 노선은 ★로 표시한다.
1.1. 결번
- 1000번: 당초 신설될 예정이었으나 번호 부여 규칙에 맞지 않아서 결번으로 처리
- 1015번: 당초 화계사 - 동대문운동장 구간을 운행하기로 되었으나 동사 502번(서울대 - 동대문운동장)과 합쳐 152번으로 확정.[1]
- 1149번: 당초 수유역으로 단축될 예정이었으나 기존 노선 그대로(종암동에서 돈암동으로 환원) 운행하기로 되면서 1018번으로 확정.[2]
- 1150번: 당초 수유역으로 단축될 예정이었으나 기존 노선 그대로(종암동에서 돈암동으로 환원) 운행하기로 되면서 1019번으로 확정.
- 1214번: 당초 성북동 - 옥수동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동대문운동장 - 옥수동은 0212번으로 넘기고 2213번과 합쳐 2112번으로 확정.
2. 1011(도원교통)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1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청덕초등학교)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서린동.SK서린빌딩)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 | ||
운수사명 | 도원교통 | 인가대수 | - | ||
노선 | 정릉(국민대) - 미아리고개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 혜화동 → 원남동 → 청계4~1가 → 서린동.SK서린빌딩 → 종로1~5가 → 방송통신대 → 혜화동 → 이하 역순 |
222번의 강북 구간과 710번의 청계천 구간 대체노선.
도선여객이 맡은 간선 405번[3]이 222번의 한강 이남구간 대체였다면, 요 녀석은 222의 한강 이북구간 대체노선이었다. 초기에는 무교동에서 광화문까지 올라갔다가 세종로와 태평로를 따라서 서울역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지만, 2004년 10월 18일부로 서울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이후 다시 광화문 구간도 잘려나갔고 막판에는 혜화동 이후 구간을 편방향 순환으로 운행하다가 중복되는 수많은 노선들에 치여 결국 2005년 초반에 폐선된다.
이 두 노선이 각각 개편 후 1년도 못 가 폐선되었다는 걸 보면 제대로 된 수요 파악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다. 다만 이 쪽은 이용 패턴이 제대로 파악되었다기보다는, 무조건 도심에서 환승하라는 정책 때문에 멀쩡한 노선 하나 날린 것이나 다름없다.
3. 1012(대진여객)
출처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2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대진여객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동(서소문)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 | ||
운수사명 | 대진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대진여객차고지 - 정릉산장아파트 -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우체국 - 아리랑고개 - 성신여대입구역 - 삼선교.한성대입구 → 창경궁. 서울대학교병원 → 종로1~4가 → 광화문 → 서울역사박물관.경교장 → 강북삼성병원 → 서대문경찰서 → 서소문 → 서울신문사 → 종로1~5가 → 방송통신대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이하 역순 |
대개편 때 구 도시형 16번 노선 중 일부를 계승하여 신설된 노선이다. 원래는 정릉 방향이 대학로 경유, 광화문 방향이 창경궁로를 경유하게 되어 있었는데, 대개편 하루 만에 거꾸로 바뀌었다.
20분이 넘는 배차간격[4]과 중복노선 과다를 이유로 2005년 8월 17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1012 폐선과 동시에 대체를 위해 162번이 아리랑고개로 변경되었다
4. 1013(대진여객)
운행구간: 정릉(청수장) - 길음역 - 보문동 - 신설동 - 동대문대개편 때 구 도시형 1번의 일부(정릉~보문동)를 따서 만든 노선이다. 이 노선의 대부분 운행구간은 아진교통 19번이 폐선되자 19번이 다니던 일부구간(도봉산~신설동)과 덧붙여져서 142번이 되었다.
참고로 1번을 공식적으로 계승한 노선은 1013번이다. 142번은 공식적으로는 신설노선으로 분류된다. 1013번은 2005년 5월에 폐지되었다. 보면 알겠지만 개편 전 노선 중에서 710번을 빼면 1, 16, 222번 같은 성북구(정릉) - 강남 노선은 모두 동대문이나 광화문 같은 도심에서 회차하는 지선버스가 되었다가 폐선되었고, 이는 혼자 살아남은 정릉 - 강남권 노선이자 710번의 후신인 143번이 흥하는 요인이 되었다.
5. 1016(삼화상운)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6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삼화상운) | 종점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용산역)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 | ||
운수사명 | 삼화상운 | 인가대수 | - | ||
노선 | 삼화상운 - 장위래미안아파트 - 국민은행장위동지점 - 장위동고개 - 창문여고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보문역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종로4가.종묘 - 종로2가 - 우리은행 - 롯데영프라자 - 숭례문 - 서울역 - 남영역 - 삼각지역 - 용산역 |
대개편 때 구 도시형 32번이 단축되면서 생긴 노선이다.[5]
초기에는 청계7가까지만 갔지만, 얼마 후 방산시장으로 연장 이후 무교동으로 연장 또 그 이후 용산역으로 연장되어 지선버스 치고는 긴 노선이 되었다.[6] 당시 삼화상운 소속이었던 1220, 3423 등이 폐지된데다가 1016번이 거리에 비해 차량이 남아돌아서 증차, 연장이 가능했다는 후문.
하지만, 2005년 8월 9일에 서울역으로 다시 단축되었고 이 때 간선으로 형간전환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03 참조.
6. 1018(대원여객)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8번 | |||||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덕정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4가(종로5가.광장시장) | ||
종점 행 |
첫차 | 04:20 |
기점 행 |
첫차 | 05:40 |
막차 | 23:50 | 막차 | 01:15 | ||
평일배차 | 12~15분 | 주말배차 | 15~20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덕정동차고지 - 덕정역 - 덕정주공 4.5단지 - 옥정리 - T.S푸른솔아파트(고주내) - 광사리 - 양주시청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신흥대학)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 길음역 - 미아삼거리역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입구 - 혜화역(대학로) - 한국방송통신대 → 이화동 → 동대문 이대병원 → 종로5가역(회차) → 효제초등학교 → 한국방송통신대 → 이하 역순 |
개편 전 13-3번 노선. 원래는 노선을 단축하여 1149번 지선버스가 될 예정이었으나 청계천 공사에 따라서 임시로 조정된 종암동ㆍ고려대 경유를 다시 미아로 중앙차로 경유로 환원시키면서 1018번으로 존치되었다. 2004년 12월 21일부로 기, 종점이 같던 1019번 폐선에 따라 증차가 이뤄졌다.
2008년 8월 개편에 따라 수유역 이남 구간이 단축되어 1118번이 되었고, 2010년 1월 25일을 끝으로 폐선되었다. 폐선분은 0213번 증차에 쓰였다. 자세한 내용은 양주 버스 118 문서 참조. 출처
7. 1019(대원여객)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9번 | |||||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덕정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4가(종로5가.광장시장) | ||
종점 행 |
첫차 | 04:30 |
기점 행 |
첫차 | 05:50 |
막차 | 22:2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25~35분 | 주말배차 | 30~40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 인가대수 | 8대 | ||
노선 | 덕정동차고지 - 덕정역 - 덕정주공 4.5단지 - 덕계동 - 양주시청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구터미널 - 제일시장 - 회룡역 - 망월사역(신흥대학)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 길음역 - 미아삼거리역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입구 - 혜화역(대학로) - 한국방송통신대 → 이화동 → 동대문 이대병원 → 종로5가역(회차) → 효제초등학교 → 한국방송통신대 → 이하 역순 |
구 13-2번. 개편 당시에는 1150번 지선버스가 되어 수유역으로 단축될 예정이었으나 청계천 공사에 따라서 임시로 조정된 종암동ㆍ고려대 경유를 다시 미아로 중앙차로 경유로 환원시키면서 1019번으로 존치되었다.
하지만 대개편 이전에도 덕정리 노선 중에서도 가장 존재감이 없었던 탓에 개편 이후에는 배차간격이 30분을 넘기는 쩌리취급이었고 결국 2004년 12월 21일부로 1018번에 흡수되었다.
8. 1112(도원교통)★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12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국민대후문) | 종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길음역)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 | ||
운수사명 | 도원교통 | 인가대수 | - | ||
노선 | 국민대후문 - 국민대학교 - 청덕초등학교 - 봉국사 - 정릉2동주민센터 - 숭덕초등학교 → 길음역.삼부아파트 → 길음역 → 길음뉴타운10단지.라온유아파트 → 이하 역순 |
구 지역순환버스 439번이 그대로 번호만 바뀌었다.
하지만, 국민대학교 측에서 차 없는 캠퍼스를 만들기 위해 이 노선의 출입을 통제하면서 정문만 경유하는 형태가 되었다가 결국 2008년 9월 8일부로 1116번(용림교통)과 합쳐져 1117번이 되었다. [7] 관련 게시물
2024년 1월 22일에 신설된 1112번과는 업체와 노선 번호만 같을 뿐, 전혀 관련이 없는 노선이다. 이 쪽은 1111번과의 공동배차 청산 및 도원교통의 성원여객 흡수합병으로 인해 등장한 노선이다.
9. 1115(삼양교통)☆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15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미향마을)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미아삼거리역)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 | ||
운수사명 | 삼양교통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미향마을 - 솔샘터널 - 미양초교 - 삼양동입구 - 미아삼거리역 |
구 403번 지역순환버스(미향마을 - 솔샘터널 - 미양초교 - 삼양동입구 - 미아삼거리역(당시 명칭))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미아삼거리역 - 월곡전화국' 구간이 연장되었다. 번호는 1115번으로 바뀌었다.
2008년 9월 8일부터 미향마을 구간의 녹지화 사업으로 인해, 1165번과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당시 미향마을 정류소를 제외한 전 구간이 1165번과 동일했다. 그래서 지금도 1165번은 삼양교통과 동아운수가 공동배차 하고 있다.
현재 운행 중인 동아운수 1115번과는 무관한 노선으로, 그 1115번은 뿌리가 맞춤버스인 8111번에 있다.
10. 1116(1기, 동아운수)☆
운행구간: 화계사 - 서울정인학교 - 동북시장 - 삼양사거리 - 삼양동입구 - 미아삼거리역(당시 명칭) - 월곡전화국구 441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1116번으로 바뀌었다.
2005년 6월 1일에 1116번과 1121번이 통합되면서 그대로 우이동과 월곡전화국을 잇는 노선이 되었으며, 번호는 1165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165 문서를 참조.[8]
아래의 2기 노선 및 현재 운행중인 대진여객 1116번노선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이 쪽은 1166번의 대체 노선이다.
11. 1116(2기, 용림교통)☆
출처.
운행구간: 솔샘터널 - 강북보건소 - 아이원아파트 - 미아초교 - 길음시장
2006년 12월 1일에 미아뉴타운 교통대책에 따라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차량은 같은 날에 폐선된 구 4012번에서 가지고 왔으며, 이 때는 길음역을 경유해 길음시장에서 차를 돌린 다음, 성북우체국과 생명의 전화를 지나 월곡역까지 운행했다.
2007년 1월 20일에 '길음시장 - 월곡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2234번과 차돌리기를 해서 중형차로 다니기 시작한게 이 무렵이다. 관련 공지사항
길음뉴타운 지역의 대중교통 보강을 위해 1112번과 함께 1117번으로 통합되었다. 다만 길음뉴타운 대중교통 보강차원보다는 1116번의 운행환경 등의 문제가 더 컸다는 것이 중론인데, 본진이 신내동인 회사가 멀리 떨어진 성북구 노선을 받아서 다니는 것은 심히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
12. 1117(1기, 동아운수)
운행구간: 현대백화점 - 미아사거리 - 상월곡역구 443번 지역순환버스가 개편을 맞아서 변경된 노선이다. 다만 이 443번의 출신 성분이 성분인지라 결국 대개편하고 3개월 지난 2004년 10월 7일부로 폐선되었고 운행분은 152번 증차에 쓰였다.
당시 현대백화점 미아점이 법 때문에 직접 셔틀버스를 못 굴리는지라 꼼수를 써서, 지역 버스회사인 동아운수의 이름을 빌려 마을버스를 운영했다는 설이 있다. 당시 현대백화점에서 물건을 사면 정류소의 승차권을 뽑아서 443번을 무료로 타고가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 심지어 아무것도 안 사고 티켓만 뽑으면 무임승차도 가능했다고 한다. 폐선된 시기도 개편 직후인지라, 나름 신빙성 있는 소문.
13. 1117(2기, 도원교통)
운행구간: 솔샘터널 - SK북한산시티 - 삼각산아이원아파트 - 래미안트리베라1차 - 미아초교 - 길음역 - 숭덕초교 - 정릉2동주민센터 - 고려대병설보건과학대 → 국민대학교 → 도원교통 차고지 → 이하 역순위에서 서술한 1112번과 1116번을 통합해서 생긴 노선이다.
2010년 7월 22일에 폐선될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같은 해 9월 13일에 '국민대 - 길음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첫차가 5시에서 5시 10분으로, 막차가 23시 40분에서 23시 50분으로 늦춰졌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결국 1년이 지난 2011년 9월 15일에 폐선되었다. 도원교통 정릉 본사에서 유일하게 대우차가 다니는 노선이었으나, 노선 폐선 후 양천공영차고지로 넘어갔다.
14. 1118(1기, 동아운수)
운행구간: 화계사 - 우이초교 - 4.19국립묘지 - 청한빌라 - 쌍문아파트단지 - 성원아파트 - 방학사거리 - 서울미디어고 - 도봉구청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사실상 인수동에서의 1호선 연계, 쌍문동에서 도봉구청으로의 연결이 목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수동에서는 똑같이 도심으로 가는 4호선이 있는데 굳이 북쪽으로 멀리 올라가 1호선을 탈 이유가 없고, 도봉구청 수요도 없는 거나 다름 없어서[9] 이용이 상당히 저조했다.
결국 2005년 6월 1일부로 폐선되었다.
15. 1118(2기, 대원여객)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18번 | |||||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덕정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2~15분 | 주말배차 | 15~20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덕정동차고지 - 덕정역 - 덕정주공 4.5단지 - 옥정리 - T.S푸른솔아파트(고주내) - 광사리 - 양주시청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신흥대학)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
1018번이 수유역까지 단축되면서 2008년 8월에 1118번으로 변경된 노선.
2010년에 1월 25일에 0213번 증차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폐선되고 이후 양주시 면허로 노선을 재개통했다. 이후 내용은 양주 버스 118 문서 참조.
16. 1121(동아운수)
운행구간: 우이동 - 도봉구민회관 - 쌍문역 - 수유역 - 화계사 - SK북한산시티(솔샘터널)2002년에 미아뉴타운 입주에 따라 84-2번에서 화계사~솔샘터널 구간이 연장되어 개통된 400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이고,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1121번으로 바뀌었다. 수요패턴을 보면, 우이동(도선사입구), 쌍문동에서 쌍문역 연계, 미아뉴타운, 화계사에서 수유역 연계가 목적이었다.
이후 2005년 6월 1일에 1116번과 1121번이 통합되면서 그대로 우이동과 월곡전화국을 잇는 노선이 되었으며[10] 번호는 1165번으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요금도 차등지선요금에서 시내버스요금으로 인상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165 문서를 참조.
여담으로 이 노선은 마을버스 요금을 적용하면서 지역순환버스 요금을 받았던 441번보다 요금이 100원 정도 저렴했다.
17. 1122(영신여객)☆
출처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당시 영신여객은 6번을 동아운수로 넘기면서 남는 차를 끌어모아 1122번을 신설한다. 당시 노선은 '우이동 - 삼양동 - 길음역 → 아리랑고개 → 성북구청 → 고려대병원 → 고려대 → 종암동 → 길음역 → 이후 역순'이었다.
구 8, 8-1번이 다니던 삼양로의 대체 교통편 마련, 그리고 수요 문제로 인해(업체 측에서 게재한 안내문에 써있던 사유이다.) 2004년 8월 5일에 아리랑고개와 고려대 구간이 단축되었고 대신 도봉/미아로 버스중앙차로. 미아리고개, 혜화동, 창덕궁, 광화문, 시청을 경유해 서울역까지 연장되면서 간선버스로 전환, 번호도 109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역사는 서울 버스 109 문서 참조. 현재 운행 중인 상진운수 1122번과는 전혀 무관하다.
18. 1123(한성운수)
운행구간:번동 → 드림랜드후문 → 삼양동입구사거리 → 삼양동사거리 → 동북시장 → 화계사 → 강북구민회관 → 4.19사거리 → 광산사거리 → 강북구청 → 번동 (내선)
번동 → 강북구청 → 광산사거리 → 4.19사거리 → 강북구민회관 → 화계사 → 동북시장 → 삼양동사거리 → 삼양동입구사거리 → 드림랜드후문 → 번동 (외선)
강북구 순환버스로 인구가 증가한 인수봉로와 미아뉴타운 일대에 교통편의를 위해 신설되었다.
다만 지선버스의 역할과 달리, 지하철역 연계가 되지 않았고, 차등지선버스 요금을 받았던 1116, 1121, 1124번과 마을버스등과의 중복으로 인해 수요가 상당히 저조했다.
결국 2005년 초반에 폐선되었다.
19. 1125(한성운수)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5A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한성운수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한성운수종점)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0~15분 | 주말배차 | 12~15분 | ||
운수사명 | 한성운수 | 인가대수 | - | ||
노선 | 번동 → 장위동 → 석관동 → 휘경동 → 전농동 → 답십리 → 용두동 → 경동시장 → 종암동 → 길음동 → 미아사거리 → 수유역 → 번동 |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5B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한성운수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한성운수종점)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0~15분 | 주말배차 | 12~15분 | ||
운수사명 | 한성운수 | 인가대수 | - | ||
노선 | 1125A번의 역순 |
1979년부터 있었던 구 26-1번이 개편 후에도 노선변경 없이 번호만 1125번으로 바뀌어서 다녔는데, 순환노선이라 '번동 - 동대문구청' 구간 중 한천로를 우선으로 들르는 B노선(구 적색노선)과 수유역을 들르는 A노선(구 청색노선)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A노선은 한천로 진입시 서울도시철도공사 본관을 경유했으며 145번과 148번, 1218번을 보조하는 역할로 있었는데, 노선 과다 중복으로 인해 과잉공급이나 다름 없었다.
결국 A노선은 2010년 1월 8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1125A번 폐선분은 같은 날 동대문에서 서소문까지 연장된 101번으로 투입되어 공동 배차를 시작했다., 1125B번은 1125번으로 바뀐 동시에 수유역 경유로 바뀌었다.[11]
B노선은 1년 더 살아있다가, 145, 1218번과 여전히 겹쳤고 결국 2011년 2월 8일에 1111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폐선분은 1111번에 공동 배차를 시작하게 되면서 남은 차량들을 이 쪽으로 투입시키고 기점도 번동으로 연장되었다.[12]
같은 번호로 운행 구간이 다른 순환버스가 부활할 예정이었으나, 1115번의 민원으로 사실상 개통은 무산되었다.
20. 1134(흥안운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4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7단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하계역)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20~25분 | 주말배차 | 25~35분 | ||
운수사명 | 흥안운수 | 인가대수 | - | ||
노선 | 상계7단지 - 노원역 - 상계백병원 - 중계역 - 상명고등학교 - 노원경찰서 - 서울온천 - 을지병원 - 하계역 |
개편 전 파행 운행 상태로 있던 225번을 태릉입구(먹골역)에서 석계역으로 연장한 노선이었으나 대신 상계4동 차고지 - 노원역 구간이 잘렸다.(상계초교 - 석계역)[13]
그러나 1131, 1132, 1141번 같이 중계동 - 석계역을 잇는 노선들에게 압도적으로 밀리면서[14][15] 그러나 오래 못 가서 하계역 - 석계역 구간을 다시 단축했다. 그래도, 워낙에 노선이 짧은데다가, 기점과 종점까지 걸어서 20분 거리를 20~30분대의 배차간격으로 운행하는 뻘 짓을 하다가, 2005년 5월 10일부로 폐선. 기존 차량은 1142번 증차에 쓰였다.
이 노선의 폐선으로 인해 1권역 지선버스 1126~1144번 사이에서 유일하게 결번이 되었다.
21. 1145(한성여객)
舊 215번 단축, 변경. 서울 버스 1145 문서 참조.22. 1146(진아교통)
월계동과 북서울꿈의숲(드림랜드)을 오갔던 진아교통의 버스 노선이었으나, 극심한 공기수송으로 인해 결국 폐선되었다. 지금 성북 14-1번과 유사한 구간을 다녔다.자세한 사항은 서울 버스 1146 문서 참조.
23. 1147(한성여객)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7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한성여객) | 종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고려대학교)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0~15분 | 주말배차 | 12~18분 | ||
운수사명 | 한성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한성여객종점 - 하계1치안센터 - 서울과학기술대앞 - 원자력병원입구 - 태릉사거리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동대문경찰서 → 정화여자중.상업고등학교 → 제기시장 → 고려대학교 → 제기시장 → 정화여자중.상업고등학교 → 청량리역 → 이하 역순 |
개편 전 15번[16]을 반토막 낸 노선으로, 본디 고려대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2006년 1월에 동대문구청으로 변경되면서 번호가 바뀌었다. 서울 버스 1227 문서 참조.
노선연장에 따라 1227번은 다시 고려대를 경유하기는 하나, 청량리 → 동대문구청 루프 구간을 돌면서 잠깐 들리는 수준인지라 번호가 바뀌지는 않았다.
24. 1148(대원여객)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8번 | |||||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덕정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입구)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2~15분 | 주말배차 | 15~20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덕정동차고지 - 덕정역 - 융보아파트 - 회천3동주민센터 - 회천초교 - 주원초교 - 덕정주공8단지 - 회천초교 - 회천3동주민센터 - 융보아파트[주의!] - 구.덕정성당 - 범양아파트 - 덕계동 - 양주시청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중앙역 - 시장앞 - 신곡교 - 장암주공5단지 - 장암고개 - 장수원 - 도봉산역 - 도봉고교 - 도봉산입구 |
양주 버스 48 문서 참조.
25. 1151(대원여객)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1번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대원여객)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2~15분 | 주말배차 | 15~20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 인가대수 | 9대 | ||
노선 | 대원여객 - 구한전입구 - 의정부 구.터미널 - 시장앞 - 가구거리.경의초등학교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구청 - 쌍문역 - 수유역 |
본래 개편 이전에는 12번으로 다니면서 의정부 - 동대문 수요를 쓸어담던 노선이었다. 유사노선인 13번과 같이 수유역 이후로, 미아사거리 - 길음동 - 돈암동 - 혜화동 → 동대문 → 종로5가 → 서울대병원 → 혜화동 구간을 다녔으나, 대개편을 맞아서 수유역으로 잘렸다.
이 노선 같은 경우에는 개편 이전에 다니던 30대 가량 되던 차량 대부분이 9301번 인수과정에서 서울승합으로 넘어가기도 했고[18] 유사노선인 13번이 106번 간선으로 존치된 상황에서 주간선버스까지 신설되자 도봉로 연선의 노선이 과잉공급되는 문제가 있어 잘리게 된 것.
결국 2010년 5월 17일부로 폐선되었고, 이는 북부운수 노선 증차[19]에 쓰였다. 동시에 의정부 버스 36이 양방향 제일시장을 들어가게 변경되었다.[20]
26. 1152(대원여객)
구 12-5. 서울 버스 1152 문서 참조.27. 1153(한성여객)
출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3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7단지)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신곡1동주민센터)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2~15분 | 주말배차 | 15~20분 | ||
운수사명 | 한성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상계7단지 - 노원역 - 도봉면허시험장 - 마들역 - 수락산역 - 장암역 - 장암주공5단지 - 신곡1동주민센터 |
구 720-1번으로, 대개편 이후에 20-3(1154)번과 다르게 노원구 구간이 연장되지는 않았다. 이후 그럭저럭 12-3, 72-1, 1152, 1154번의 수요를 주워먹으면서 다녔다.
2007년 12월에는 가스충전문제로 인해 1227[21]과의 차돌리기를 통해서 나름 괜찮은 차로 다니다가, 결국 2008년 12월 20일에 1154번과 통합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폐선분 중 1대는 1154 증차[22], 나머지는 8146번 신설분으로 들어갔다가, 8146이 없어지면서 149번과 172번에 분산되었다. 1153번 대체를 위해, 1154번은 신곡1동주민센터를 하계동 방면에 한해 경유하게 바뀌었다.
28. 1156(태릉교통)
서울 버스 1156 문서 참조.29. 1157(번창운수)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자진 강등. 서울 버스 노원14 문서 참조.30. 1158(번창운수)
운행구간: 창동역 - E마트 - 창1동3단지 - 창1동사무소 - 삼익아파트 - 제일주유소 - 중앙약국 - 도봉전화국 - 한전북부지점 - 한일병원 - 강북중학교 - 광산슈퍼, 쌍문1동파출소개편 전 한성여객에서 이관된 노선으로 원래는 마을버스였다.
2005년 8월 31일에 폐선되었고 모든 차량은 같은 날 선덕학원으로 연장된 1157번으로 넘어갔다. 관련 공지사항
31. 1159(번창운수)
운행구간: 창동역 - 동아슈퍼 - 창동동아아파트 - 상계주공18, 19단지 - 서울외고 - 녹천역 - 미도아파트 - 상계1단지 → 백병원 → 주공4단지 → 한양아파트 → 상명고 → 건영2차아파트 → 중계역 → 백병원 → 상계1단지 → 이후 역순1158번과 마찬가지로 한성여객에서 이관된 마을버스 노선이었으며, 1158번과 함께 2005년 8월 31일에 폐선되었고 모든 차량은 같은 날 선덕학원으로 연장된 1157번으로 넘어갔다. 지금은 버스가 없는, 한양아파트 샛길을 다닌 것이 특징. 관련 공지사항
32. 1160(번창운수)
서울 버스 1160 문서 참조.33. 1161(번창운수)
舊 도봉마을 10.자진해서 마을버스로 강등되었다. 서울 버스 노원15 문서 참조.
34. 1163(성원여객)
출처
운행구간: 성신여대입구역 → 아리랑고개 → 다리앞 → 구민회관입구 → 508단지 앞 → 스카이힐스 → 다리앞 → 아리랑고개 → 한진아파트 210, 212동 → 우촌초교 → 성신여대입구역 → 이하 역순
대성운수의 구 2-1번 마을버스가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1163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12월 20일에 '스카이주택 - 한진아파트'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5년에 508단지 앞까지 연장되었다. 다만 현재처럼 시간대별 운행은 아니었다. 이후 같은 해 여름에, 1162번으로 흡수되었다.
특이사항으로, 운행 당시 버스가 2대밖에 운영하지 않았었다.
35. 1166(영신여객)
舊 1219번 변경.서울 버스 1166 문서 참조.
36. 1167(흥안운수)☆
출처
2006년 4월 상계7단지 - 노원역 - 수락산역 - 도봉동 - 안방학동(순환)으로 신설되었다. 사실상 1139번의 수요 분산 목적이다.
충전이 용이한 노선 특성상, 새 차까지 투입하면서 운행했지만 겨우 1년 3개월만인 2007년 7월에 1139번에 통폐합되었다.
현재 이 번호는 영신여객에서 2018년에 신설된 노선을 사용하고 있으며, 방학동 - 노원역을 잇는 점이 유사하다.
37. 1211(도원교통)
출처
운행구간: 국민대 - 정릉 - 아리랑고개 - 보문동 - 황학동 - 상왕십리역
아무래도 아리랑고개 거주인구 증가 + 5-1번 폐선을 대비해서 만든 노선인 모양인데, 애초에 이 구간은 신설노선인 1014번, 406번을 계승한 1212번[23]과 16번을 계승한 1012번이 너무나도 강력해서 존재감이 그다지 없었다.
결국 쩌리 취급을 받더니 2004년 10월 18일에 폐선되었다. 이 노선이 있었는지조차 모르는 정릉동 주민이 매우 많다. 이후 3번을 계승한 162번이 1012번을 흡수하면서 아리랑고개로 오게 되면서 아리랑고개 교통이 많이 개선된다.
38. 1212(성원여객)
대성통운 시절. | 출처 |
舊 406번 지역순환버스(서경대 본관 - 안암동로터리)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경동시장, 제기동역까지 연장되었고 번호도 1212번으로 바뀌었다.
원래 서경대 입구까지만 운행했는데 서경로가 확장되면서 2010년 즈음부터 서경대 본관까지 연장되었다.
2013년 9월 26일에 2223번과 통합되어 2115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9. 1215(진아교통)
출처
운행구간: 월계동 - 석계역 - 장위사거리 - (→ 석관고 → 신이문역 → 외대앞역 →/← 돌곶이역 ← 신이문삼거리 ←) - 외국어대 - 회기사거리 - KAIST - 홍릉사거리 - 청량리역 - 제기동역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으며 당시엔 이문로를 경유해 기찻길을 2번 건너고, 경동시장에서 회차했다.
2004년 7월 27일에 각각 1번(한천로 경유), 제기동역 회차로 변경되었다.
2006년 7월 20일부터 이경시장에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폐선 직전에는 예비차 없이 8대로만 운행했으며, 서울시에서 승객이 적다는 이유로 2012년 3월 16일에 폐선되었다. 운행댓수는 147, 1132, 1135, 1136, 1222번에 분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0. 1216(동아운수)
출처
운행구간: 화계사입구 - 4.19국립묘지 - 장미원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종암동 - 안암동 - 시립동부병원 - 상왕십리역 - 성동구청 - 동대문구청 - 전농동 - 청량리시장 - 종암동 - 화계사입구
원래는 신설동고가차도를 경유했으나 대형차량 운행 금지로 인해 시립동부병원 경유로 바뀌었다.
고대삼거리 이후 구간을 양방향 순환[25]으로 운행했다.
2005년 9월 9일에 압구정동 갤러리아백화점까지 연장되면서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21 문서를 참조. 그 과정에서 삼양로를 들어가게 되면서 노선이 크게 바뀌며 1216번과는 크게 달라지게 된다.
41. 1217(영신여객)
舊 도시형 6-1. 2005년 9월 1일 끝으로 간선버스 전환.서울 버스 120 문서를 참조
42. 1219(영신여객)
舊 지역순환 442번.운행구간: 우이동 - 성원아파트 - 청한빌라사거리 - 서라벌중 - 덕성여대 - 4.19묘지입구 - 북부성모병원 - 우이시장(수유2동사무소) - 광산부페 - 강북구청 - 백합예식장(현 신일병원 정류소)- 수유5동사무소(현 강북노인종합복지관)- 화계사입구 - 빨래골입구 - 삼양시장 - 삼양초교 - 국민은행삼양동지점 - 삼양동사거리 - 성암여상입구 - 삼양동사거리입구 - 미아삼거리역(당시 명칭) - 현대백화점미아점 - 성가복지병원 - 월곡전화국 - 종암선경아파트
구 442번 지역순환버스(미아사거리 - 청량리역' 구간을 운행하던 구 지역순환 442번이 2004년 대개편 때 우이동까지 연장되면서 1219번이 되었다.(우이동 - 장미원 - 미아역 - 미아사거리 - 세종대왕기념관 - 청량리역)
2004년 12월 20일에 도봉로 대신 삼양로와 백운봉길 경유로 바뀌었다. 또한 우이동 막차가 23시 15분에서 20분으로 늦춰졌다. 관련 공지사항
미아로에서 舊 1217번(現 120번)보다 청량리로 빠르게 연결해주는 노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길었던 탓인지 승객이 별로 없었다. 폐선 당시 1166번도 배차간격이 5대가 25분 간격으로 다녔던 게 현실인데, 인가댓수가 기껏 해야 한 두대 많은 주제에 거리는 1.5배 수준이었다. 당연히 배차간격은 골로 갔고, 재수 없으면 1219번을 기다리다가 놓쳐서 환승을 못 하는 일이 생겼다.
이 때문에 얼마 못 가 노선이 '우이동 - 수유역 - 화계사입구 - 삼양초교 - 미아삼거리역 - 청량리역'으로 변경되었다. 삼양로 - 수유역 수요를 잡기 위해서인 듯.[26] 그러나 성과는 좋지 못했고, 게다가 1128번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삼양로 경유)로 변경되면서 1219번의 존재의의는 점점 사라져 갔다.
결국 '월곡전화국 - 청량리' 구간이 단축되었다. 다만 노선번호는 1권역에서 회차했음에도 여전히 1219번으로 유지되었다.[27]
마침 우이동 및 삼양동 등에서 솔샘터널을 통과해 정릉 방향으로 가는 노선을 만들어 달라는 민원이 있어 2005년 8월 9일에 4.19묘지입구에서 화계사입구로 바로 가도록 변경되었고, 월곡역 대신 국민대로 가게 되면서 번호가 1166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3. 1220(삼화상운)
舊 도시형 30번 단축.[28]운행구간: 월계동 - 월곡동 - 종암동 - 안암동 - 신설동
舊 30번의 일부 구간만 뚝 잘라서 만든 노선. 동대문까지 나가던 1017번과 대부분의 구간이 겹쳤던 탓에 인기는 끝내주게 없었고 결국 2004년 10월 18일에 폐선되었다. 폐선분은 1016, 1224번 증차에 쓰였다.
44. 1223(상진운수)
舊 지역순환 456번.운행구간: 원자력병원 - 화랑대역 - 봉화산역 - 신내8~10단지 - 중랑구청 - 중화역 - 이화교 - 신이문역
구 456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1223번으로 바뀌었다.
2009년 6월 20일에 비슷한 성격을 가진 노선인 2216번과 통합되어 1122번이 되었다. 덕분에 석관동으로 연장되어 가스충전문제가 해소되었다는 후문. 관련 공지사항
45. 1225(태릉교통)
舊 도시형 45-1번.서울 버스 1225 문서 참조.
46. 1411(한성운수)
간선버스로 승격. 서울 버스 148 문서를 참조.
[1]
이 과정에서 결번이 된 502번은 후에 9502번이 형간전환할 때 사용하게 된다.
[2]
결과적으로 1018번이 2008년에 수유역으로 단축되면서 1149번 계획안이 실현되고 말았다.
[3]
현재 운행하는 노선과는 관계 없음.
[4]
대진여객이 한국BRT에 출자한 탓에 차량이 부족했다.
[5]
대개편 이전까지 있던 심야버스(시청→상계7단지 00:30, 01:00, 01:30)는 동시에 폐지.
[6]
1016, 109, 9705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KTX 연계를 목적으로 용산으로 연장됐으나 모두 단축/폐지되었다.
[7]
다만 길음뉴타운 대중교통 보강차원보다는, 1116번의 운행환경 등의 문제가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 본진이 신내동인 회사가 멀리 떨어진 성북구 노선을 받아서 다니는 것은 심히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 실질적으로는 1112번이 길음뉴타운으로 연장되면서 노선 성격이 바뀐지라 1117번으로 번호를 바꾼쪽에 가깝다.
[8]
다만 2010년에 101, 1165번의 운행구간 교환에 따라서 1165번은 舊 1116번에 가까운 노선이 되었다.
[9]
2021년 현재 해당 구간은 1167번과 1139번이 대신하고 있다.
[10]
혜화여고~솔샘터널 구간은 1116, 1121 동일하게 운행했던 구간이다.
[11]
번동 → 수유역 → 북부시장 → 번동 → 장위동 → 석관동 → 휘경동 → 전농동 → 답십리 → 용두동 → 경동시장 → 종암동 → 길음동 → 미아리 → 수유리 → 번동
[12]
1111번의 월곡동 구간은 1162번이 대신 들어간다.
[13]
그 구간은 옛 7번의 창동 구간을 이어받은 1138번이 대신 들어간다. 사실상 7번과 225번을 바꿔치기한 셈.
[14]
1131, 1141번은 배차간격이 예나 지금이나 나쁘지만 1131번은 월계역 - 석계역 구간을 혼자 완주하며 1141번은 중계본동 - 하계역 구간이 한글비석길을 가로질러서 나름 수요가 있었다.
[15]
1132번은 대진여고, 서라벌고, 상명고 통학수요도 있는데다가 주말에도 8~12분 간격으로 다니는 노선이니 1134번은 압도적으로 질 수 밖에 없었다.
[16]
하계동 - 태릉입구역 - 중화역 - 중랑교 - 전농동 - 동대문구청 - 신설동역 - 보문역 - 성신여대입구역 - 미아사거리 - 수유역 - 도봉역 - 수락산역 - 7호선 노원역 - 하계동
[주의!]
이 구간은 양 방향 차량이 회천초교 → 주원초교 방향으로 운행한다.
[18]
이 때 대원여객은 1007(9301)번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해당 노선 인수 금액 19억원과 1007번 운행댓수 42대 분량 만큼의 시내버스 차량을 서울승합에게 넘겼다.
[19]
정확히는 262번 대원여객 공동배차 개시 및 262번 북부운수 운행분 9대 타 노선 분배.
[20]
이 때 36번이 시장으로 들어가면서 그나마 수명이 더 늘어나게 된다. 이후 36-5, 39-5번까지 없어지면서 송내지구까지 들어가게 되었는데, 평화로 직진만 하다가 1호선에게 탈탈 털려서 보조금으로 겨우 연명하는 신세인 39번보다는 수요처가 있기 때문.
[21]
하계동에서 7단지나 월계동까지 공차회송을 할 바에는 아예 충전소가 있는 7단지발 노선에 가스차를 넣는게 더 효율적이었다. 막상 1227번도 이듬해 여름에 전부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되었지만.
[22]
하지만 이 때 늘어난 댓수는 1년 반만에 1143번 증차를 위해 다시 빠져나간다.
[23]
1212번은 서울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배차간격이 짧았던 노선이다. 2115번으로 바뀐 지금도 그 인지도가 상당하고, 길음역으로 노선을 변경하게 되자 항의 민원이 빗발쳐서 다시 환원되었을 정도다.
[24]
안암오거리부터 고려대학교까지는 일방통행 구간이다.
[25]
당시엔 A/B 표기가 없던 때라 청량리역 방면, 우신향병원 방면으로 표기했다.
[26]
당시에는
서울 버스 1128도 지금과는 달리 1권역을 순환하는 형태였다.
[27]
핵심구간인 'KIST, 홍릉 - 청량리'구간은 2005년 5월에 흥안운수가 1143번을 감차해 1226번을 만들면서 해결되었다.
[28]
하지만, 월계동 - 공덕동 구간은 163번이 승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