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 삼정승 | |||||
좌의정 | 영의정 | 우의정 | |||
육판서 | |||||
이조판서 | 호조판서 | 예조판서 | 병조판서 | 형조판서 | 공조판서 |
1. 개요
조선시대 6 판서(六判書) 중에 하나이며, 대사마(大司馬)라고도 한다. 정2품 당상관으로 병조의 수장으로 정이품(正二品)이며, 정원은 1원이다. 군사와 통신(파발을 담당하고, 역들을 관리) 담당하였으므로 현재의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역할을 수행했다. 아래로 병조참판(兵曹參判: 종이품), 병조참의(兵曹參議: 정상품 당상), 병조참지(兵曹參知: 정삼품 당상)가 각 1원, 병조정랑(兵曹正郞: 정오품), 병조좌랑(兵曹佐郞: 정육품)이 각 4원이 있다.1894년 갑오개혁, 1895년 을미개혁 이후로 병조와 병조판서를 폐지하고 군부 및 군부대신으로 조직 개편 및 호칭이 바뀌어졌다. 그리고 1905년 을사오적 중 한 명인 이근택이 바로 대한제국 군부대신으로 있었다.
2. 상세
병조 아래에 무선사(武選司)[1], 승여사(乘輿司)[2], 무비사(武備司)[3]의 3개 사를 두어 일을 분담시켰다. 이 속사(屬司)에는 정5품의 정랑(正郞)과 좌랑(佐郞) 등을 4명씩 두어 일을 맡아보게 하였는데, 중대사에는 판서와 참판, 참의 등이 직접 간여하였다.육조 중 서열은 4위. 원래 1418년까지는 이-병-호-예-형-공조의 순으로 이조 다음가는 서열이었는데, 세종 즉위 이후 이-호-예-병-형-공조로 조정되어 서열이 낮아졌다.
병조판서는 병권을 쥐는 자리인 만큼, 외척이나 공신 등을 비롯한 권신들이 많이 맡기도 했으며 무관 출신들도 병조판서 자리를 많이 맡기도 했다. 그 외에도 국왕의 측근들이나 외척, 공신들의 측근들이나 권신들의 측근들이나 정권을 쥔 당파의 핵심인사들도 병조판서를 많이 맡았다. 정권 보위의 핵심보직이었던 만큼 계유정난 당시 병조판서 조극관은 궁궐에서 좌찬성 이양, 영의정 황보인과 함께 반란군에게 살해당했고 김종서, 황보인에 버금갈 정도로 집안이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병조판서 자리에 올랐다고 병권을 장악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명색이 군정권자이자 평시 군령권자지만, 도체찰사, 체찰사, 도원수를 비롯한 실권자들이 많아 전시에 실병력 지휘권은 없다시피 했다. 임진왜란 시기의 병조판서 이항복은 도원수 권율의 사위였고 실제 군령은 남부 도체찰사 이원익이 내렸기 때문에 북부 도체찰사 유성룡과 함께 후방지원에 전념했다.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이후 평시 군령권도 비변사에게 빼앗겨 버렸기에 명목상 하급자인 오군영의 각 대장간의 서열관계도 애매해지게 된다.[4] 병조판서와 각 군영의 대장들이 모두 비변사의 당상이었기 때문이다. 영조 대의 무관 구선행은 병조판서를 지낸 뒤 금위대장이 된 사례도 있다.
병조판서 역시 삼정승으로 갈 수 있는 주요 길목이었다.
1894년 갑오개혁 때 병조와 병조판서가 폐지되고 조직 및 호칭을 군부 및 군부대신으로 개편하면서 사라졌다.
[1]
무관의 인사,
무과 시험을 담당
[2]
역참을 담당
[3]
병사와 병기의 관리, 훈련을 담당
[4]
품계상으로는 같은 정2품이지만, 품계가 같다고 해서 서열까지 똑같아지는 건 아니다. 당장 육조판서 모두가 정2품이지만 서열이 정해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