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대륙 컬링 선수권 대회 Pan Continental Curling Championship[1] |
||
창설 | 2022년 | |
2024년 개최지 |
캐나다
앨버타주 라콤 (게리 모 오토 그룹 스포츠플렉스) |
|
2024년 우승국 | 남자 | 중국 |
여자 | 캐나다 | |
2025년 개최 예정지 | 미정 |
[clearfix]
1. 개요
기존의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와 아메리카 챌린지 두 대회를 통합해[2] 매년 11월에 열리는 컬링 대회로 상위 5개국은 이듬해 열리는 세계컬링선수권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는다.원래 태평양-아시아 지역에서는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가,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아메리카 챌린지로 각각 세계선수권 출전권이 주어졌다. 그런데 PACC의 경우 2010년 이후 한중일 3파전 양상이 됐음에도 3국 함께 세계선수권에 출전한 적이 손에 꼽을 정도로 세계선수권 출전권이 한정돼 있었다.[3] 아메리카 챌린지의 경우에는 참가국이 적고[4], 캐나다나 미국과 다른 국가와의 실력 차이 때문에 압도적인 결과만 나와 아메리카 챌린지는 캐나다나 미국의 세계선수권 출전을 위한 명목상의 대회로 전락한지 오래였다.
두 대회의 통합으로 태평양-아시아 지역에서는 PACC 때보다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획득하기 수월해졌고,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상위권팀들이 국제대회 경험을 제대로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늘었다.[5] 세계컬링연맹에 가입한 지 얼마 안 된 컬링 신흥국들은 캐나다 같은 선진 컬링 국가의 인프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경험이 늘어나게 된다.[6]
한편 참가국이 늘어남에 따라 승강전이 생겨 A 디비전 최하위팀은 다음 대회에서 B 디비전으로 강등된다.
2. 역대 결과
2.1. 남자
연도 | 장소 | 금 | 은 | 동 |
2022 | 캐나다 캘거리 |
캐나다 [스킵] 브래드 구슈 [서드] 마크 니콜스 [세컨드] E.J. 한든 [리드] 제프 워커 [핍스] 네이선 영 |
대한민국[7] [스킵] 정병진 [서드] 이정재 [세컨드] 김민우 [리드] 김태환 |
미국 [스킵] 코리 드롭킨 [서드] 앤드류 스토페라 [세컨드] 마크 페너 [리드] 톰 하월 [핍스] 리치 루호넨 |
2023 | 캐나다 켈로나 |
캐나다 [스킵] 브래드 구슈 [서드] 마크 니콜스 [세컨드] E.J. 한든 [리드] 제프 워커 [핍스] 짐 코터 |
대한민국[8] [스킵] 박종덕 [서드] 정영석 [세컨드] 오승훈 [리드] 성지훈 [핍스] 이기복 |
일본[9] [스킵] 야나기사와 리쿠 [서드] 야마구치 츠요시 [세컨드] 야마모토 타케루 [리드] 코이즈미 사토시 [핍스] 우스이 신고 |
2024 | 캐나다 라콤 |
중국 [스킵] 쉬샤오밍 [서드] 페이쉐칭 [세컨드] 왕위 [리드] 리즈차오 [핍스] 예지앤쥔 |
일본 [스킵] 아베 신야[서드] [포스] 시미즈 테츠로 [세컨드] 사토 하야토 [리드] 오우치 하루토 [핍스] 츠루가 소타 |
미국 [스킵] 존 슈스터 [서드] 크리스 플라이즈 [세컨드] 콜린 허프만 [리드] 매트 해밀턴 [핍스] 존 런슈타이너 |
2025 |
2.2. 여자
연도 | 장소 | 금 | 은 | 동 |
2022 | 캐나다 캘거리 |
일본[11] [스킵] 후지사와 사츠키 [서드] 요시다 치나미 [세컨드] 스즈키 유미 [리드] 요시다 유리카 [핍스] 이시자키 코토미 |
대한민국[12] [스킵] 하승연 [서드] 김혜린 [세컨드] 양태이 [리드] 김수진 |
캐나다 [스킵] 케리 에이너슨 [서드] 발 스위팅 [세컨드] 섀넌 버차드 [리드] 브리안 해리스 [핍스] 레이첼 브라운 |
2023 | 캐나다 켈로나 |
대한민국[13] [스킵] 김은지 [서드] 김민지 [세컨드] 김수지 [리드] 설예은 [핍스] 설예지 |
일본[14] [스킵] 후지사와 사츠키 [서드] 요시다 치나미 [세컨드] 스즈키 유미 [리드] 요시다 유리카 [핍스] 이시자키 코토미 |
미국 [스킵] 태비사 피터슨 [서드] 코리 티시 [세컨드] 타라 피터슨 [리드] 베카 해밀턴 [핍스] 비키 퍼싱어 |
2024 | 캐나다 라콤 |
캐나다 [스킵] 레이첼 호먼 [서드]트레이시 플루리 [세컨드] 엠마 미스큐 [리드] 사라 윌크스 [핍스] 레이첼 브라운 |
대한민국[15] [스킵] 김은지 [서드] 김민지 [세컨드] 김수지 [리드] 설예은 [핍스] 설예지 |
중국 [스킵] 왕루이 [서드] 한위 [세컨드] 둥쯔치 [리드] 장지아윈 [핍스] 수팅위 |
2025 |
3. 역대 메달 집계
3.1. 남자
국가 | 금 | 은 | 동 |
캐나다 |
2 2022, 2023 |
0 | 0 |
중국 |
1 2024 |
0 | 0 |
대한민국 | 0 |
2 2022, 2023 |
0 |
일본 | 0 |
1 2024 |
1 2023 |
미국 | 0 | 0 |
2 2022, 2024 |
3.2. 여자
국가 | 금 | 은 | 동 |
일본 |
1 2022 |
1 2023 |
0 |
대한민국 |
1 2023 |
2 2022, 2024 |
0 |
캐나다 |
1 2024 |
0 |
1 2022 |
미국 | 0 | 0 |
1 2023 |
중국 | 0 | 0 |
1 2024 |
4. 역대 참가국
금 | 은 | 동 | 세계선수권 출전 | B디비전 강등 | A디비전 승격 |
4.1. 남자
- 2020년대
국가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가이아나 | 9 | 8 | - | |||||
나이지리아 | 16 | - | 18 | |||||
뉴질랜드 | 5 | 5 | 7 | |||||
대만 | 6 | 7 | 8 | |||||
대한민국 | 2 | 2 | 5 | |||||
멕시코 | - | 12 | - | |||||
미국 | 3 | 4 | 3 | |||||
브라질 | 8 | 15 | 14 | |||||
사우디아라비아 | 14 | 14 | 17 | |||||
인도 | 10 | 13 | 13 | |||||
일본 | 4 | 3 | 2 | |||||
자메이카 | - | - | 12 | |||||
중국 | - | 9 | 1 | |||||
카자흐스탄 | 12 | - | 10 | |||||
카타르 | 13 | - | 16 | |||||
캐나다 | 1 | 1 | 4 | |||||
케냐 | 15 | 16 | 19 | |||||
푸에르토리코 | - | - | 15 | |||||
필리핀 | - | 10 | 9 | |||||
호주 | 7 | 6 | 6 | |||||
홍콩 | 11 | 11 | 11 |
4.2. 여자
- 2020년대
국가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나이지리아 | 13 | - | 15 | |||||
뉴질랜드 | 5 | 5 | 6 | |||||
대만 | 10 | 6 | 8 | |||||
대한민국 | 2 | 1 | 2 | |||||
멕시코 | 11 | 7 | 7 | |||||
미국 | 4 | 3 | 5 | |||||
브라질 | 9 | 11 | 13 | |||||
일본 | 1 | 2 | 4 | |||||
자메이카 | - | 10 | 10 | |||||
중국 | - | 9 | 3 | |||||
카자흐스탄 | 7 | - | 11 | |||||
캐나다 | 3 | 4 | 1 | |||||
케냐 | 12 | 14 | 16 | |||||
필리핀 | - | 13 | 12 | |||||
호주 | 6 | 8 | 9 | |||||
홍콩 | 8 | 12 | 14 |
5. 여담
- 원래 A디비전은 8팀이 경기를 치르지만, 2021년 PACC 대회에서 호주 여자팀이 코로나 19 때문에 출전을 못했었기에 그에 대한 어드밴티지로 2022년에는 A디비전 여자부는 호주가 포함돼 9팀이 경기를 치르고, 하위 2팀이 B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
- 첫 대회인 2022년 대회에서 중국은 대회 개최를 1달 정도 앞둔 상황에서 돌연 출전을 포기했다. 코로나 19 때문으로 보이는데, 앞서 2021-2022 시즌에서도 중국은 자국에서 열린 베이징 올림픽을 제외한 어떠한 대회에도 출전하지 않았다. 중국의 출전 포기에 따라 B디비전으로 분류됐던 남자부의 카자흐스탄과 여자부의 대만이 A디비전으로 승격됐다. 출전을 포기한 중국은 2023년 대회에서 B디비전으로 강등됐다. [16]
- 2023년 9월, 카자흐스탄에서 PCCC 대회 참가를 포기하면서 그 대신 2022년 B디비전 여자부 2위였던 멕시코가 A디비전에 합류하였다.]
[1]
약칭은 PCCC
[2]
참고로 세계컬링연맹에서는 가입국을 '유럽', '아메리카', '태평양-아시아' 등 3개 지역으로 분류한다. 아프리카의 경우 연맹 가입국도 적은데다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상황인지라 태평양-아시아 지역으로 분류된다.
[3]
여자부의 경우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PACC에서 우승해야만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시기도 있었다.
[4]
여자부의 경우에는 참가팀이 없어서 8번의 대회 중에서 2번 밖에 안 열렸다.
[5]
사실상 현대 컬링을 주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캐나다에서도 평창 올림픽 때부터 올림픽 성적이 저조해지면서 자국 내에서 그에 대한 자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늘었는데, 그 중 캐나다 선수들이 월드 컬링 투어에서의 8엔드 경기에 익숙해져 있다보니 국제대회의 10엔드 경기에는 취약해진 게 아니냐는 반응도 있었다. 올림픽을 제외하면 세계선수권대회가 캐나다 선수들이 10엔드 경기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대회였기 때문이다.
[6]
A, B 디비전 팀들이 동시에 경기를 치러야 하기에 기존 PACC 때보다 시트가 더 많은 경기장에서 경기를 해야 하는데, 그 정도로 컬링 인프라가 갖춰진 국가는 얼마 되지 않는다.
[7]
서울시청 컬링팀
[8]
강원도청 컬링팀
[9]
SC카루이자와클럽
[서드]
[11]
로코 솔라레
[12]
춘천시청 컬링팀
[13]
경기도청 컬링팀
[14]
로코 솔라레
[15]
경기도청 컬링팀
[16]
2023년 B디비전에서 남녀부 모두 우승하면서 2024년부터 A디비전에 합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