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02:14:02

박준(1905)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박준
朴峻
파일:박준1905.jpg
<colbgcolor=#221973><colcolor=#fff> 자 / 호 수경(守卿) / 중산(重山)
본관 구산(龜山)[1]
출생 1905년 6월 7일
경상북도 군위군
(현 대구광역시 군위군)
사망 1973년 12월 16일[2] (향년 69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제동 자택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1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2. 생애

1905년 6월 7일 경상북도 군위군(현 대구광역시 군위군)에서 아버지 박장식(朴璋植, 1861 ~ 1922. 10. 27)과 어머니 의성 김씨 김성호(金性浩)의 딸 사이의 6남 1녀 중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본 도쿄농업대학 예과를 거쳐, 니혼대학 법문학부 법률학과를 졸업하였다.

니혼대학 졸업 후 일본정부시행 변호사시험에 합격하였다. 또한 북만주 간도 동진학교 교장으로 활동했다.

8.15 광복 후 국제평론사 사장, 해외통신사 사장, 서울합동소비조합 이사장을 역임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군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일민구락부, 대한국민당 등의 정당에 속하였다. 한편 국회에서는 자격심사위원회의 위원으로 지냈으며 1949년 3월 19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의 부위원장인 김상돈 의원이 친일행위와 국회의원 직위를 이용해서 직권남용을 하였다고 말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김상돈 의원은 1943~1945년까지 친일단체인 국민총력연맹에 소속되었으며, 한반도에서 학병을 모집했다고 말했다. 또한 직권남용에 관해서는 친일파 혐의자의 재산을 피해자 유족에게 돌려보내 주는 것이 관례임에도 불구하고 돌려주지 않았고, 김상돈 의원이 지프차로 8살 아이를 죽였을때 경찰을 이용하여 당장의 현장 자리를 모면했다고 말하였다.[3]

1960년대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1972년 제헌동지회의 10월 유신 지지 성명에 동참했다.

1973년 12월 16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제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3. 둘러보기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 제헌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구 갑 달성 군위
최윤동 서상일 백남채 김우식 박준
의성 갑 안동 을 청송
정우일 권병노 김익기 임영신 김봉조
영양 영덕 영일 갑 영일 을 경주 갑
조헌영 오택열 박순석 김익노 김철
경주 을 영천 갑 영천 을 경산 청도
이석 정도영 이범교 박해정 박종환
고령 성주 칠곡 김천 갑 김천 을
김상덕 이호석 장병만 권태희 이병관
선산 상주 갑 상주 을 문경 예천
육홍균 한암회 전진한 조병한 박상영
영주 봉화 울릉
최석홍 공석 서이환
* 안동 을 정현모 사퇴 (1948.10.18.)
* 봉화 배중혁 자격상실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7bd><tablebgcolor=#0087bd>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7bd><tablebgcolor=#0087bd>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윤치영 이인 윤재욱 조봉암 서성달
김덕열 이재형 이유선 김웅권 김경배
류래완 송창식 김영기 김웅진 오택관
이종순 박기운 홍순옥 박우경 연병호
이의상 류홍렬 조종승 송진백 진헌식
김명동 남궁현 이종근 윤병구 김용재
윤석구 배헌 김영동 백형남 류준상
강선명 황병규 조옥현 오석주 차경모
송봉해 이성우 김장열 박준 정우일
정도영 장병만 육홍균 허영호 최범술
강기문 최창섭 양병직 }}}
}}}}}}



[1] 성동파 21세 만(晩) 항렬. # [2] 음력 11월 22일. [3] 출처:1대 국회 제2회 제58차 국회본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