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 국제 이공학 기구 및 학회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제 | |||
전기전자공학자협회 | 국제수학연맹 | 계산기협회 | 국제순수및응용화학연맹 | |
국제솔베이협회 | 국제천문연맹 | 국제원자력기구 | 국제우주공학연맹 | |
지역 | ||||
영연방 | ||||
왕립학회 | 런던수학회 | 왕립화학회 | ||
미국 | ||||
미국물리학회 | 미국화학회 | 미국수학회 | 미국광학회 | |
미국생화학및분자생물학회 | }}}}}}}}} |
주요 국제학술지 출판사 | |||
Nature Portfolio |
AAAS | IEEE | Springer |
Elsevier ( Cell Press) |
Wiley | MDPI | APS |
ACS | RSC |
Taylor & Francis |
Sage |
American Physical Society 미국 물리학회 美國物理學會 | APS |
|
|
|
<colbgcolor=#00538b><colcolor=#fff> 설립 | 1899년 5월 20일 |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분야 | 물리학, 재료과학, 계산과학 |
유형 | 학회 |
회장 | 김영기[1] |
CEO | 조너선 배거 |
회원수 | 49,555명 (2021년) |
본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메릴랜드주 칼리지파크 |
1 Physics Ellipse, College Park,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미국 물리학회(American Physical Society, APS)는 미국의 물리학분야의 학회이다. 미국물리학회에서는 피지컬 리뷰 저널을 출판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피지컬 리뷰 이외에도 미국 물리학회에서 개최되는 컨퍼런스나 분과 심포지엄에서 공유되는 연구들도 1940년대 후반부터 현대 물리학계의 발전에 상당한 족적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연구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기도 하다.2. 설립
1642년 현 하버드 대학교에 물리 강좌가 개설되었고, 18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미국의 물리학사는 유럽과 계를 같이 했다. 주로 유럽 출신 물리학자들이 교수로 초빙되었기 때문에 1869년까지 미국 물리학계의 주축은 유럽 출신 물리학자들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870년 미국인 물리학자 존 트로브리지가 하버드 대학교의 물리학과 보조 교수로 임명된 뒤로, 미국 물리학계는 미국 출신 물리학자들로 점차 채워지게 된다.1890년대에는 고전역학만이 물리학을 독점한 것이 저물었던 시대였고, 이미 전자기학, 통계역학이 성행하고 양자라는 개념이 갓 태동했던 시대였다. 이른바 과학 혁명으로 볼수도 있는 이러한 경향은 비단 특정 국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유럽 전 지역에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면서 국가간 활발한 학술 교류가 이루어졌다. 유럽의 과학혁명에 협력했던 미국의 물리학계도 마찬가지로 이 경향에 영향을 받았고, 활발했던 유럽 물리학계의 학술 교류에 고무받아서 미국내 물리학자들만의 협회에 관한 구상이 이루어졌다.
1893년 코넬 대학교의 물리학과 교수였던 에드워드 니콜스가 피지컬 리뷰(Physical Review, 물리 비평)[2]라는 미국의 첫 물리학 학술지를 창간시키면서, 미국 물리학자들의 협회 설립은 기정사실화된 분위기였다.
1899년 5월 20일,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36명의 물리학자들이 모여서 미국물리학회(American Physical Society)가 설립되었다. 초대 회장은 헨리 로랜드(Henry Rowland)로 결정되었다. 헨리 로랜드는 설립당시 아래와 같이 설립 취지를 진술했다.
To encourage the growth of any science, the best thing we can do is to meet together in its interest, to discuss its problems, to criticize each other's work and, best of all, to provide means by which the better portion of it may be made known to the world.
전반적인 과학의 성장을 독려하기위해 우리가 할수 있는 최선은 그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서로 모이는 것이고, 과학의 문제를 논쟁하고, 서로의 연구를 비평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과학에서 더 좋은 부분을 세상에 알릴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반적인 과학의 성장을 독려하기위해 우리가 할수 있는 최선은 그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서로 모이는 것이고, 과학의 문제를 논쟁하고, 서로의 연구를 비평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과학에서 더 좋은 부분을 세상에 알릴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1913년 코넬 대학교가 출판을 담당했던 Physical Review는 미국물리학회로 출판이 이전되었다.
3. 산하 조직
현재 미국 물리학회에는 48개의 산하조직이 존재한다. 미국 물리학회의 회원의 경우 분과와 포럼, 섹션, 주제별 그룹에 등록해야한다. 섹션은 연고지 혹은 주 활동 지역으로써 1개만 등록이 가능하다. 분과와 포럼은 2개에 무료로 등록이 가능하고, 3개부터는 10달러를 회비로 내야한다. 주제별 그룹은 1개를 등록할 경우 10달러를 회비로 내야한다.3.1. 분과
- 천체물리(Astrophysics ; DAP)
- 원자, 분자 & 광물리(Atomic, Molecular & Optical Physics ; DAMOP)
- 생물물리(Biological Physics ; DBIO)
- 화학물리(Chemical Physics ; DCP)
- 계산물리(Computational Physics ; DCOMP)
- 응집물질물리(Condensed Matter Physics ; DCMP)
- 유체역학(Fluid Dynamics ; DFD)
- 중력물리(Gravitational Physics ; DGRAV)
- 레이저과학(Laser Science ; DLS)
- 재료물리(Materials Physics ; DMP)
- 핵물리(Nuclear Physics ; DNP)
- 입자 & 장(Division of Particle and Field ; DPF)
- 빔 물리(Physics of Beams ; DPB)
- 플라즈마 물리(Plasma Physics ; DPP)
- 고분자 물리(Polymer Physics ; DPOLY)
- 양자 정보(Quantum Information ; DQI)
- 연질 물질(Soft Matter ; DSOFT)
3.2. 포럼
- 다양성 및 포용(Diversity and Inclusion ; FDI)
- 초기경력 과학자(Early Career Scientists ; FECS)
- 교육(Education ; FEd)
- 대학원생 사회(Graduate Student Affairs ; FGSA)
- 물리학사와 철학(History and Philosophy of Physics ; FHPP)
- 산업 및 응용물리(Industrial and Applied Physics ; FIAP)
- 국제 물리(International Physics ; FIP)
- 대중 원조와 교류(Outreach and Engaging the Public ; FOEP)
- 물리와 사회(Physics and Society ; FPS)
3.3. 섹션
- 캘리포니아-네바다(California-Nevada Section ; CAL)
- 포코너스(Four Corners ; 4CS)[3]
- 중부 대서양(Mid-Atlantic ; MAS)
- 뉴잉글랜드(New England ; NES)
- 뉴욕주(New York State ; NYSS)
- 북서부(Northwest ; NWS)
- 오하이오 지역(Ohio-Region ; OSAPS)
- 프레리 섹션(Prairie Section ; PSAPS)
- 남동부(Southeastern ; SESAPS)
- 텍사스(Texas ; TSAPS)
3.4. 주제별 그룹
- 데이터 과학(Data Science ; GDS)
- 에너지 연구 및 응용(Energy Research and Applications ; GERA)
- 소수체 시스템(Few-Body Systems ; GFB)
- 강입자적 물리(Hadronic Physics ; GHP)
- 기구와 측정과학(Instrument and Measurement Science ; GIMS)
- 자기(Magnetism ; GMAG)
- 의료물리(Medical Physics ; GMED)
- 물리교육연구(Physics Education Research ; GPER)
- 기후물리(Physics of Climate ; GPC)
- 플라즈마 천체물리학(Plasma Astrophysics ; GPAP)
- 정밀 측정과 기본 상수(Precision Measurement & Fundamental Constants ; GPMFC)
- 응집물질의 충격 압축(Shock Compression of Condensed Matter ; SHOCK)
- 통계비선형물리(Statistical and Nonlinear Physics ; GSNP)
4. 저널
자세한 내용은 미국 물리학회/저널 문서 참고하십시오.5. 수상
여타 학회와 비슷하게 매년마다,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업적을 이룬 학자들을 대상으로 물리학회 명의로 된 수상을 하는데, 분야별 수상은 아래와 같다.5.1. 데이비드 아들러 상
물질장물리학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거둔 학자에게 시상하고, 상금은 5000달러이다.5.2. 한스 베테 상
천체물리학, 핵천체물리학, 핵물리학분야에서 실험, 발견, 이론등 괄목할만한 연구 성과를 거둔 학자들에게 시상한다.5.3. 대니 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역대 수상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959 | 1960 | 1961 | 1962 | |||
머리 겔만 | 오게 보어 | 마르빈 골드버거 | 레온 판호프 | ||||
<rowcolor=#fff> 1963 | 1964 | 1965 | 1966 | ||||
키스 브루크너 | 툴리오 레제 | 프리먼 다이슨 |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 ||||
<rowcolor=#fff> 1967 | 1968 | 1969 | 1970 | ||||
지안카를로 윅 | 세르히오 푸비니 | 아서 와이트만 | 난부 요이치로 | ||||
<rowcolor=#fff> 1971 | 1972 | 1973 | 1974 | ||||
로저 펜로즈 | 제임스 요르겐 | 케네스 윌슨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
류드비그 파데예프 | 스티븐 호킹 | 스티븐 와인버그 | 엘리엇 리에브 | ||||
<rowcolor=#fff> 1979 | 1980 | 1981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제임스 글림 | 아서 야페 | 제프리 골드스톤 |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
존 워드 | 마틴 크루스칼 | 로버트 그리피스 | 다비드 루엘 | ||||
<rowcolor=#fff> 1986 | 1987 | 1988 | |||||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 로드니 벡스터 | 율리우스 베스 | 브루노 추미노 | ||||
<rowcolor=#fff> 1989 | 1990 | 1991 | |||||
존 벨 | 야코브 시나이 | 토마스 스펜서 | 위르그 프뢸리히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
스탠리 맨델스탐 | 마틴 구츠빌러 | 리처드 알노위트 | 스탠리 데서 | ||||
<rowcolor=#fff> 1994 | 1995 | 1996 | 1997 | ||||
찰스 미즈너 | 로만 자키브 | 로이 글라우버 | 해리 레만 | ||||
<rowcolor=#fff> 1998 | 1999 | ||||||
에드워드 위튼 | 나탄 자이베르크 | 배리 맥코이 |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 ||||
<rowcolor=#fff> 1999 | 2000 | 2001 | 2002 | ||||
타이썬 우 | 시드니 콜먼 | 블라디미르 아르놀드 | 존 슈워르츠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
마이클 그린 | 이봉 브루하 | 제임스 요크 |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 ||||
<rowcolor=#fff> 2005 | 2006 | ||||||
조르조 파리시 | 세르히오 페라라 | 다니엘 프리드먼 | 페터르 판니우벤위젠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
후안 말다세나 | 조셉 폴친스키 | 미첼 파이겐바움 | 이고르 튜틴 | ||||
<rowcolor=#fff> 2009 | 2010 | ||||||
카를로 베치 | 알렝 루에 | 레이몽 스토라 | 마이클 아이젠만 | ||||
<rowcolor=#fff> 2011 | 2012 | 2013 | |||||
헤르베르트 슈폰 | 조반니 조나라지노 | 진보 미치오 | 미와 테쓰지 | ||||
<rowcolor=#fff> 2014 | 2015 | 2016 | |||||
그레고리 무어 | 피에르 라몽 | 컴런 바파 | 앤드류 스트로밍거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
칼 벤더 | 배리 사이먼 | 빌 서더랜드 | 프란시스코 칼로게로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
스베틀라나 지토미르스카야 | 조엘 레보위츠 | 안티 쿠피아이넨 | 크쉬슈토프 가벤트스키 | ||||
<rowcolor=#fff> 2023 | 2024 | 2025 | |||||
니키타 네크라소프 | 데이비드 브리제스 | 샘슨 샤타슈빌리 |
}}}}}}}}}}}} ||
수리물리학 및 이론물리학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연구 성과를 거둔 학자들에게 수상한다. 1959년부터 수상이 시작되었고, 첫 수상자는 머리 겔만이었다.
5.4. 사쿠라이 입자물리학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
사쿠라이 입자물리학상 역대 수상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985 | 1986 | |||||
고바야시 마코토 | 마스카와 도시히데 | 데이비드 그로스 | 프랭크 윌첵 | ||||
<rowcolor=#fff> 1986 | 1987 | 1988 | |||||
데이비드 폴리처 | 루치아노 마이아니 |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 스테판 애들러 | ||||
<rowcolor=#fff> 1989 | 1990 | 1991 | 1992 | ||||
니콜라 카비보 | 키노시타 도이치로 | 블라디미르 그리보프 | 링컨 볼프슈타인 | ||||
<rowcolor=#fff> 1993 | 1994 | 1995 | 1996 | ||||
매리 가일러드 | 요이치로 난부 | 호워드 조자이 | 윌리엄 바딘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
토마스 아펠퀴스 | 레오너드 서스킨드 | 미하일 쉬프먼 | 아르카디 바인슈타인 | ||||
<rowcolor=#fff> 1999 | 2000 | 2001 | |||||
발렌틴 자하로프 | 커티스 캘런 | 나탄 이스구르 | 미하일 볼로신 | ||||
<rowcolor=#fff> 2001 | 2002 | 2003 | |||||
마크 와이즈 | 윌리엄 마르치아노 | 알베르토 실린 | 알프레드 무엘러 | ||||
<rowcolor=#fff> 2003 | 2004 | 2005 | |||||
조지 스테르만 | 이카로스 비기 | 앤서니 이치로 산다 | 오쿠보 스스무 | ||||
<rowcolor=#fff> 2006 | 2007 | 2008 | |||||
사바스 디모풀로스 | 스탠리 브로드키 | 알렉세이 스미로프 | 스타니슬라프 미케예프 | ||||
<rowcolor=#fff> 2009 | 2010 | ||||||
데이비슨 소퍼 | 존 콜린스 | 키스 엘리스 | 제러드 구랄닉 | ||||
<rowcolor=#fff> 2010 | |||||||
칼 하겐 | 톰 키블 | 로버트 브라우트 | 프랑수아 앙글레르 | ||||
<rowcolor=#fff> 2010 | 2011 | ||||||
피터 힉스 | 크리스 퀵 | 에스티아 아이히텐 | 케네스 레인 | ||||
<rowcolor=#fff> 2011 | 2012 | ||||||
이안 힌치클리프 | 귀도 알타렐리 | 토르비욘 스외스트란드 | 브라이언 웨버 | ||||
<rowcolor=#fff> 2013 | 2014 | ||||||
헬렌 퀸 | 로베르토 페체이 | 즈비 베른 | 랜스 딕슨 | ||||
<rowcolor=#fff> 2014 | 2015 | 2016 | 2017 | ||||
데이비드 코소우어 | 조지 츠바이크 | 피터 레페이지 | 고든 케인 | ||||
<rowcolor=#fff> 2017 | 2018 | ||||||
호워드 하버 | 잭 구니온 | 샐리 도슨 | 앤 넬슨 | ||||
<rowcolor=#fff> 2018 | 2019 | 2020 | |||||
마이클 딘 | 리사 랜들 | 라만 선드룸 | 피에르 시키비에 | ||||
<rowcolor=#fff> 2021 | 2022 | 2023 | 2024 | ||||
버넌 바거 |
니마 아르카니하메드
|
하인리히 로이트빌러 | 안드레이 부라스 | }}}}}}}}}}}} |
입자물리학에서 괄목할만한 연구성과를 거둔 학자들에게 수상한다. 1985년부터 첫 수상이 이루어졌다.
6. 역대 회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
미국 물리학회 역대 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헨리 로랜드 | 앨버트 마이컬슨 | 아서 웹스터 | 칼 바루스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에드워드 니콜스 | 헨리 크루 | 윌리엄 매기 | 벤저민 피어스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어니스트 메리트 | 로버트 밀리컨 | 헨리 범스테드 | 조셉 에임스 | ||||
<rowcolor=#fff>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시어도어 라이만 | 토마스 맨덴홀 | 데이턴 밀러 | 칼 콤프턴 | ||||
<rowcolor=#fff>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헨리 게일 | 윌리엄 스완 | 폴 푸트 | 아서 콤프턴 | ||||
<rowcolor=#fff>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로버트 우드 | 플로이드 리트마이어 | 해리슨 랜덜 | 라이먼 브릭스 | ||||
<rowcolor=#fff>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존 테이트 | 존 젤레니 | 해리슨 랜덜 | 조지 페그럼 | ||||
<rowcolor=#fff>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조지 스튜어트 | 퍼시 브리지먼 | 앨버트 헐 | 아서 뎀스터 | ||||
<rowcolor=#fff>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에드워드 콘돈 | 리 두브리지 | 로버트 오펜하이머 | 프랜시스 루미스 | ||||
<rowcolor=#fff>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이지도어 라비 | 찰스 로리센 | 존 반블렉 | 엔리코 페르미 | ||||
<rowcolor=#fff>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한스 베테 | 레이몬드 버지 | 유진 위그너 | 헨리 스미스 | ||||
<rowcolor=#fff>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제시 빔스 | 조지 울렌벡 | 빅터 바이스코프 | 프레더릭 세이츠 | ||||
<rowcolor=#fff>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
윌리엄 휴스턴 | 존 윌리엄스 | 로버트 바허 | 펠릭스 블로흐 | ||||
<rowcolor=#fff>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제56대 | ||||
존 휠러 | 찰스 타운스 | 존 바딘 | 루이스 앨버레즈 | ||||
<rowcolor=#fff>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제60대 | ||||
에드워드 퍼셀 | 로버트 서버 | 필립 모스 | 조셉 메이어 | ||||
<rowcolor=#fff> 제61대 | 제62대 | 제63대 | 제64대 | ||||
우젠슝 | 윌리엄 파울러 | 조지 페이크 | 노먼 램지 | ||||
<rowcolor=#fff> 제65대 | 제66대 | 제67대 | 제68대 | ||||
루이스 브랜스콤 | 허먼 패쉬바흐 | 아서 샤울로우 | 모리스 골드하버 | ||||
<rowcolor=#fff> 제69대 | 제70대 | 제71대 | 제72대 | ||||
로버트 마샥 | 밀드레드 드레셀호스 | 로버트 윌슨 | 시드니 드렐 | ||||
<rowcolor=#fff> 제73대 | 제74대 | 제75대 | 제76대 | ||||
발 피치 | 제임스 쿠르만슬 | 유겐 쿠르츠바허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
<rowcolor=#fff> 제77대 | 제78대 | 제79대 | 제80대 | ||||
어니스트 헨리 | 도날드 랑겐버그 | 버턴 릭터 | 찬드라 파텔 | ||||
<rowcolor=#fff> 제81대 | 제82대 | 제83대 | 제84대 | ||||
존 슈리퍼 | 앨런 블롬리 | 앤드류 세슬러 | 제롬 프리드먼 | ||||
<rowcolor=#fff> 제85대 | 제86대 | 제87대 | 제88대 | ||||
제임스 랑거 | 조지 트릴링 | 윌리엄 브링크만 | 미리암 사라칙 | ||||
<rowcolor=#fff> 제89대 | 제90대 | 제91대 | 제92대 | ||||
헬렌 퀸 | 마빈 코헨 | 존 홉필드 | 리오 카다노프 | ||||
<rowcolor=#fff>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제96대 | ||||
아서 비에넨스톡 | 체리 머레이 | 커티스 캘런 | 배리 배리쉬 | ||||
<rowcolor=#fff> 제97대 | 제98대 | 제99대 | 제100대 | ||||
로버트 바이어 | 마이클 터너 | 말콤 배슬리 | 샘 아론슨 | ||||
<rowcolor=#fff> 제101대 | 제102대 | 제103대 | 제104대 | ||||
호머 닐 | 라우라 그린 | 로저 팔콘 | 데이비드 그로스 | ||||
<rowcolor=#fff> 제105대 | 제106대 | 제107대 | 제108대 | ||||
필립 벅스바움 | 실베스터 게이츠 | 프랜세스 헬만 | 로버트 로스너 | ||||
<rowcolor=#fff> 제109대 | 제110대 | 제111대 | |||||
김영기 | 존 도일(예정) | 존 머스톤(예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