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14:46:23

바다표범

물범에서 넘어옴
바다표범(물범, 해표)
Earless seal
파일:Harbor-Seal.jpg
잔점박이물범
(Harbor seal, Phoca vitulina)
학명 Phocidae
Gray, 1821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개아목(Caniformia)
물범과(Phocida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mmon_Seal_Phoca_vitulina.jpg
1. 개요2. 생태3. 식용4. 종류5. 기타

[clearfix]

1. 개요

식육목 물범과 짐승의 통칭이다.[1] 또다른 말로는 물범, 수표, 해표(海豹) 등으로 부른다. 이름이 '바다'표범이듯 주로 바다에서 서식하지만, 바이칼물범 카스피물범처럼 바다가 아닌 호수에 서식하는 종류도 있다. 이 중 카스피물범이 사는 카스피해는 바닷물처럼 짜디짠 함수호라서 다른 바다와 환경이 비슷하지만, 바이칼 호 담수호라서 바이칼물범은 유일하게 담수에서만 사는 바다표범이다

1969년에 창경원에 일본산 바다표범 한 쌍이 반입된 적이 있었고 1973년에 독도에서 바다표범이 포획되었는데 СССР 표식이 있어 당시 해양수산원은 소련에서 방류한 바다표범으로 추측했다.

백령도에는 한국 토종 바다표범인 점박이물범이 산다. 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 제331호로 지정되어 있다.

가까운 친척인 물개 바다사자, 바다코끼리와 다르게 이쪽은 귓바퀴가 없으며,[2] 물개와 바다사자는 앞다리와 뒷다리 전부를 보행하는 데에 사용하지만[3] 바다표범은 뒷다리가 보행용으로서는 사실상 퇴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앞다리로 상체를 끌듯이 움직인다. # 이러한 특징이 물개 & 바다사자와 바다표범을 구별하는 특징이다. 또 한방에서는 물개의 것은 진짜 해구신으로 치지만 바다표범의 것은 가짜로 판단한다고 한다.

잠수 능력이 대단하다. 남방코끼리물범의 최대 잠수 시간은 120분간이고 최대 잠수 깊이는 1,430m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최대 잠수 기록이 2,388m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웨델물범 초음파로 의사소통한다.

2. 생태

바다표범은 대략 물개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좀 있는 편이다. 몸 길이는 1m에서 2m 사이이며, 평상시에는 바닷속에서 헤엄을 치지만 땅 위에서는 배와 앞다리로 기어서 움직인다. 주로 물고기, , 조개 등을 먹으면서 살지만 얼룩무늬물범처럼 펭귄이나 다른 바다표범을 습격하는 종류도 있다. 대부분 혼자 살면서 번식기에만 만나서 번식한 뒤 흩어지지만 종류에 따라선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암컷의 무리에 합류하여 번식한다. 대표적인 예가 코끼리물범.

북극해· 동해· 발트 해· 황해.북 대서양 등 한대지방의 바다에 서식하고 있었으나, 오래 전부터 사냥을 위한 남획을 해 왔던지 지금은 종류에 따라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든 상태.

여기서 많은 사진을 볼 수 있다.

토실토실한 몸으로 꿈틀꿈틀 기어다니고 마치 작은 강아지를 닮은 큰 눈과 귀여운 얼굴을 하고 있지만 생태계에서 손 꼽히는 대형 포식자로 가끔은 작은 상어도 잡아먹는다. 천적으로는 상어, 북극곰, 큰바다사자, 범고래는 바다표범의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무서운 천적이다.

많은 종들이 한 달 남짓 짧은 육아를 한다. 하프물범의 어미는 생후 12일(日)된 새끼를 빙하 위에 내버려두고 바다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 하지만 바이칼물범처럼 장기간 육아를 하는 종도 있다.

기각류가 전반적으로 그렇지만 뇌가 발달했고 지능이 뛰어나다. 잔점박이물범, 회색물범, 남아메리카바다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들 모두 18초 정도의 단기 기억력을 가지고 있어 '방금 했던 것을 반복하라'는 명령을 따를 줄 알았다고 한다. # 단기 기억능력은 돌고래와 일부 영장류에게서 발견되며 반복학습으로 장기기억으로 전환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바다사자는 A = B, B = C 이면 A = C 라는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데, # 물범도 이런 능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3. 식용

바다표범은 꽤 오랫동안 식용으로 사용되었다. 피하지방이 두꺼워서 사냥이 허가된 하프물범에게서 오메가3를 추출하기도 하지만, 고기는 의외로 저지방 고단백이다. 식량이 부족했던 과거에는 고래고기와 더불어 여러 지역에서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주로 바다표범과 같이 살았던 북극권 원주민들이 자주 사냥해서 취식했다. 특히 이누이트들에게는 바다코끼리나 고래[4]와 더불어 중요한 식량이었다. 식용 식물이 거의 없는 북극에서 먹을 수 있는 건 동물 밖에 없었고 그중 물범이 적당히 몸집도 있고 만만했기 때문에 주식으로 삼았다. 생고기를 먹기도 하지만 건조해서 보존식으로 쓰기도 한다. 물범고기 자체를 쓰는 건 아니지만 물범가죽 속에 바닷새를 채워넣어 숙성시키는 키비악도 있다. 그리고 지느러미는 적당히 건조시켜 썰매개의 사료로 쓴다고 한다. 지금은 물범 사냥이 금지되었지만 전통문화 보존 차원에서 이누이트들에 한해 사냥 할당량이 주어진다. 흔히 인디언으로 불리는 북아메리카 원주민들 중에서도 바닷가에 사는 이들은 바다표범을 사냥해서 취식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은 이누이트와는 달리 바다표범고기를 반드시 불로 익혀서 먹었다. 남아메리카 원주민들 또한 바닷가에 사는 이들은 바다표범을 사냥해서 취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알 아문센이 이누이트들에게서 바다표범 먹는 법을 배워 남극 탐험 때 쏠쏠히 써먹고 생환한 것도 유명하다.

그리고 중국 요리에서도 쓰이는데 청나라 만한전석에 사용되는 팔진 중 하나로 포함된다.

한반도에서도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한반도에 있던 동예의 특산품 중 하나가 반어피, 그러니까 바다표범의 가죽이었다고 하니, 고기를 이용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었을 듯. 그래서인지 황해와 달리 동해에는 바다표범이 보이지 않는 거 같지만

김용의 소설 의천도룡기의 빙화도편에서 장취산 은소소, 사손이 표류할 때 바다표범을 사냥하여 몇 달을 버텼다. 배가 계속 해류를 따라 북상하면서 식량이 궁해진 와중에 사손이 처음으로 잡아왔다. 고기도 먹고, 가죽까지 생겨서 희희낙락하여 은소소가 "세상에서 제일 쓸모 있는 짐승이 뭐죠?"라고 묻자, 장취산과 사손이 이구동성으로 "바다표범!"이라고 외쳤다. 생고기이기는 하지만 그런대로 먹을만했던 모양인데, 실제로 극지방에 사는 주민들은 북극곰이나 바다표범 등을 사냥하여 염통과 간 등을 그 자리에서 베어먹는 일이 종종 있다. 극지방은 불로 익혀 먹을 땔감이 무척 귀한 편으로, 고래와 같은 동물기름을 많이 사용했다.

근·현대에 와서는 가죽은 수출하고, 고기는 식용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그린피스와 국제동물복지기금(IFAW, International fund for animal welfare)는 바다표범 사냥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 영향도 있어서 1983년 유럽공동체(EEC), 2010년 유럽연합은 바다표범 고기와 가죽제품을 수입하는 것을 전면 금지했다. 캐나다 연방의회는 이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캐나다 의원 식당 메뉴에 바다표범요리를 올리기도 했다. 이누이트족과 바닷가의 인디언들에게 바다표범의 고기와 가죽이 그들의 식량이자 생계수단인 건 사실이지만, 그린피스나 동물보호단체가 문제삼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사냥의 잔인성이다. 바다표범은 어릴 때 가죽이 흰 색이었다가 성장하면서 점박이 얼룩이 생기거나 검어져서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그래서 어린 바다표범만 골라, 상처가 많아지면 역시 상품가치가 떨어지므로 그들 특유의 쇠꼬챙이로 머리만 집중적으로 피투성이가 되도록 수십번 때려죽인다. 다만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사냥당하는 개체 전부가 이렇게 사냥하는 건 아니고 성체 같은 경우 총으로 머리를 저격해서 잡는다.

요즘은 강남, 대치동 등 건강원 등지에서는 수능보약이랍시고 물범탕, 총명환 등을 팔아먹고 있는데 검증된 건 하나도 없고 진짜 물범인지도 확실치 않은데다 가격은 더럽게 비싸기 때문에 수능 시즌마다 뉴스 단골 소재로 쓰인다. 진품이 맞다고 쳐도 바다표범은 최상위 포식자의 특성상 고기에 중금속이 잔뜩 쌓였을 가능성이 높아 그냥 초콜릿이나 먹는 게 훨씬 낫다. 중금속이 없는 고품질의 물범이라고 치더라도 그냥 소고기,돼지고기 같은 단백질 공급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4. 종류

5. 기타


[1] 전 세계에 약 20여종이 분포. [2] 영어 명칭부터가 Earless seal(=true seal)이다. [3] 때문에 지상에서는 좀 어색하기는 해도 달릴 수도 있다. [4] 극지방에서 고래만큼 중요하고 유용한 동물이 없다. 고래의 가죽은 피복을 만드는 데 쓰고, 고기는 식량으로, 기름은 연료로 사용했다. 특히 고래기름은 석유가 발견되기 전에는 매우 중요한 연료 자원이었다. [5] 참고로 광견병에 걸린 개체가 포획된 적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