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령군 | 경산시 | 경주시 | 구미시 | 김천시 |
문경시 | 봉화군 | 상주시 | 성주군 | 안동시 | |
영덕군 | 영양군 | 영천시 | 예천군 | 울릉군 | |
울진군 | 의성군 | 청도군 | 청송군 | 칠곡군 | |
포항시 | }}}}}}}}}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AA>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
항공 | 대구국제공항 | 포항경주공항 | |
항만 | 없음 | 영일만항 | |
포항여객선터미널 | |||
후포여객선터미널 | |||
철도 | 역 목록 | 역 목록 | |
대구권 전철 (
대구 도시철도 · |
|||
버스 | 터미널 목록 | 터미널 목록 | |
교통카드 | |||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 |||
대구-경산-영천 광역환승할인 ·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 |
1. 설명
문경시의 시내버스에 관한 문서로, 문경여객이 단독 운영한다.2. 도색
2012년까지는 입석 버스 도색이 옆 동네 상주와 의성과 함께 경상북도 공용 도색(흔히 말하는 구 도색)을 사용했었다.2013년에는 준저상버스를 수원 용남고속[1] 중고로 도입했는데 재도색을 하지 않았다. 반면 2013년에 도입한 상주여객의 준저상버스 입석형의 경우 경상북도 공용 도색을 적용했다. 더불어 문경 시내버스 업체인 문경여객과 상주시 시내버스 업체인 상주여객은 동일한 대표이사가 운행하는 계열사이며, 좌석버스 도색도 서로 같고 교통카드도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서 많이 쓰는 티머니를 공용하고 있다.
2015년부터 계열사 상주여객과 더불어서 신차출고시에도 입석 버스 도색이 경기도 GBUS 입석도색으로 바뀌었다.[2]
2019년부터는 GBUS 입석도색에 붉은 줄이 추가되다가 10월부터 금아버스그룹과 비슷한 도색으로 변경되었으며, 금아버스그룹에서 분리된 경주 새천년미소가 좌석버스에 적용하는 것과 달리 입석버스에 적용한다. 다만 좌석버스는 현재도 계열사 상주여객과 공용으로 쓰고 있는 도색으로 출고하고 있다.[3]
3. 요금
종류 | 나이 | 현금 운임 | 교통카드 운임 |
일반 | 만 7~12세 | 800원 | 700원 |
만 13~18세 | 1200원 | 1100원 | |
만 19세 이상 | 1500원 | 1400원 | |
좌석 | 만 7~12세 | 900원 | 800원 |
만 13~18세 | 1600원 | 1500원 | |
만 19세 이상 | 2000원 | 1900원 |
시계 내에서는 단일요금, 시계 외에서는 km당 131.82원의 시계 외 요금을 받는다. 이전까지는 구간요금을 시 경계 통과 여부에 상관없이 10km만 초과하면 징수했으나, 2008년 9월 1일부터는 시계 외에서만 징수한다.
2011년 9월 1일부터 도입한 교통카드는 선불카드는 티머니, 캐시비를, 후불카드는 KB국민카드, 신한카드(LG카드 포함), 하나카드(외환카드 포함), 삼성카드, NH농협카드, 현대카드(T형, MT형), 수협카드, 롯데카드(T형, MT형), 비씨카드를 사용한다. 하차 30분 이내에 하차한 노선과 다른 노선의 시내버스로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일부 차량은 전문형 차량인데, 전문형 차량은 승차 후 내리는 지점에서 다시 교통카드를 찍으면 하차로 인정되어 다음 버스를 탈 때 환승할인이 인정된다. 다만 타 지역 버스를 탈 것이라면 하차시 교통카드를 찍지 않아도 된다.
2021년 9월 1일부터 버스요금이 인상되었다.
울진, 의성과 더불어 2025년 1월 목표로 전면 무료화 추진 중이다.[4]
4. 노선
{{{#!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F32836>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F32836> 시내 | ||
마성 문경 |
|||
마성, 가은, 농암 | |||
함창, 이안, 농암 가은, 상주 |
|||
산양, 산북 용궁 |
|
||
산양, 산북, 동로 | |||
영순, 풍양 | |||
호계 | |||
외곽 |
2022년 3월 1일부터 좌석 9개노선(10번, 20번, 30번, 40번, 41-3번, 43번, 50번, 51번, 60번)과 일반 7개노선(1번, 54번, 70번, 80번, 83번, 90번, 92번)이 주말, 공휴일에 한해 감회 운행한다.
4.1. 일반버스
일반버스 노선이라고 기재해놓았지만 대부분 일반/좌석겸용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며 전체적으로 좌석버스의 비중이 높다. 물론 일반버스만 다니는 노선도 있다. 자전거가 보편화된 아랫 동네와 달리 시내순환노선(1번, 1-1번)이 있다.상주시에 노선번호제가 시행되었을 즈음에 이 곳도 같이 시행되었다.
- 가은-벌바위[5]
- 가은-작천
- 가은-저음리
- 농암-갈동
- 농암-궁기
- 농암-비티
- 농암-서재
- 농암-점촌
- 농암-화북
- 농암-용화[6]
- 동로-건학[7][8]
- 동로-명전[9]
- 동로-생달
- 동로-석항[10]
- 북부승강장-주공APT
- 시내터미널-문경중학교-주공APT
- 시내터미널-시청-주공APT
- 점촌-공평
- 점촌-공평4리(공평4리.안불정)
- 점촌-공평4리(안불정)
- 점촌-구미
- 점촌-금백포
- 점촌-남부
- 점촌-농암[11]
- 점촌-달지(무림.금백포)
- 점촌-달지(영순)
- 점촌-대학(주평.쌍샘)
- 점촌-도연
- 점촌-막곡(막곡.쌍샘.안태봉)
- 점촌-막곡(막곡.우로.쌍샘.안태봉)
- 점촌-막곡(신기.대학)
- 점촌-막곡(창리.상선암.부곡)
- 점촌-봉막곡
- 점촌-산북(산양.현리)
- 점촌-산북(용궁.흑송.가곡)
- 점촌-상위
- 점촌-생달
- 점촌-신전(산양)
- 점촌-신전(진정)
- 점촌-쌍샘(신기.주평)
- 점촌-쌍샘(주평)
- 점촌-왕태
- 점촌-용궁(산북.가곡.흑송)
- 점촌-용궁(용궁.흑송)
- 점촌-용궁(용궁.흑송.가곡.월촌)
- 점촌-우로(막곡.안태봉.쌍샘)
- 점촌-우로(주평.쌍샘)
- 점촌-장암
- 점촌-주평
- 점촌-창리(막곡.부곡)
- 점촌-창리(막곡.부곡.상선암)
- 점촌-창리(창리.막곡.부곡)
- 점촌-창리(창리.막곡.상선암.부곡)
- 점촌-창리(창리.부곡.상선암.막곡)
- 점촌-퇴강(태봉)
- 점촌-퇴강(태봉.상갈)
- 점촌-포내
- 점촌- 풍양[12]
- 문경 버스 2
- 문경 버스 53
- 문경 버스 56
- 문경 버스 63
- 문경 버스 73, 73-1, 73-2
- 문경 버스 74
- 문경 버스 80, 81
- 문경 버스 82
- 문경 버스 83
- 문경 버스 83-1
- 문경 버스 83-2
- 문경 버스 90
- 문경 버스 90-1
- 문경 버스 91
- 문경 버스 91-1
- 문경 버스 92
- 문경 버스 92-1
- 문경 버스 93, 93-1
4.2. 좌석버스
아래 노선은 좌석버스 전용 노선이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과거 노선번호제가 없었을 땐 아래와 같았다.- 100번 : 문경 가도 방면 (문경새재 일부 운행)[13]
- 200번 : 문경 남부 방면
- 300번 : 마성, 가은 방면
5.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
문경 - 타 시 · 군 간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colcolor=#923f73> 상주시 | |
예천군 |
풍양
|
|
의성군 |
|
|
괴산군 | ||
단양군 |
코스표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
상주시 시내버스
문경여객과 상주여객은 서로 계열사 관계다. 상주 버스 100/110번대, 문경 버스 43번대가 서로 상주시내와 문경시내를 오가며, 특히 100번은 무려 문경읍내까지 들어간다. 그외 330, 331번도 상주와 점촌을 오가나, 330/331번은 이안 쪽으로 한참을 돌아서 간다. 그외 점촌에서 화북-용화로 가는 버스를 타고 화북면소재지에 내리면 1일 7회 상주로 가는 버스가 들어오며, 황령리쪽을 통해서도 갈 수 있으나 조금 도보를 해야한다.
-
예천군 농어촌버스
예천-점촌 버스가 예천읍내와 문경시내를 오가고 있으며, 문경여객도 예천군 용궁면까지 들어가는 버스가 있다. 그 외 점촌에서 풍양가는 버스가 1일 16회 문경여객와 예천여객의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있고, 예천여객은 무려 코스상 예천읍내까지 들어가기도 한다. 그외 문경 70, 71, 72번이 원달지까지 운행하고, 여기서 낙동강 건너 1km 걸으면 삼강주막이 나오는데 여기서 풍양가는 버스가 들어온다. 그리고 인곡리가는 버스를 타서 인곡리에 내려 2.8km 걸으면 두천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용문면-예천으로 가는 버스가 들어오고, 동로에서는 석항리로 가는 버스를 타서 1.4km 도보시 명봉리로 가면 예천여객과 연계가 가능하다.
-
단양군 농어촌버스
문경 63번이 동로와 명전리를 오가는데, 중간에 대강면 방곡리와 단성면 벌천리를 거치기 때문에 거기서 단양읍내로 가는 단양버스 탑승이 가능하다. 그외 시간에는 동로에서 오목내까지 6.1km 도보시 단양버스 탑승이 가능하다.
-
괴산군 농어촌버스
두 지역은 붙어있지만 바로 잇는 도로를 통해서 오갈수는 없다. 시외버스를 이용해야하며, 정 타 지역을 이용할거면 상주시 화북면의 용화라는 곳을 이용해야 하는데, 점촌-용화간 42번이 1일 2회 운행하고 있으며, 용화에서는 청천으로 가는 괴산 버스가 1일 5회 들어온다. 그리고, 관평마을은 문경시 소속이지만 문경여객은 없고 괴산 아성교통만 운행해 문경여객을 타려면 5.3km 도보를 해야한다. 과거 연풍-문경간 농어촌버스가 이화령터널 지나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지역 택시와 상인의 반발로 무산되어 이화령 경유로 가려면 장거리 도보를 해야한다.
-
보은군 농어촌버스
두 지역은 붙어있지는 않지만 서로 버스는 연계된다. 점촌-용화간 버스가 1일 2회 운행하며, 용화에서는 보은읍내로 가는 버스가 1일 10회도 넘게 운행중이다.
-
충주시 시내버스
두 지역은 붙어있지만 서로 오가는 버스도 없고 도로도 없지만 그래도 길은 있다. 바로 가려면 시외버스를 타야하며, 바로 문경 24번을 타고 포암으로 가서 하늘재 3km 도보 후 미륵리에서 송계나 충주행 시내버스를 타는것. 등산로 자체는 폭이 넓고 비포장 임도 수준이며 경사도 안급해 초보자도 무난하게 갈 수 있다.
-
제천시 시내버스
두 지역은 붙어있지만 서로 오가는 버스, 도로, 등산로 모두 없다. 즉, 그냥 직접연계 자체가 안되며, 문경과 제천은 상호 시외버스조차 운행하지 않는다. 과거 모녀재라고 비포장 임도가 있었지만 넘어봤자 명전리[14], 즉 실질월경지였고 문경 구역은 전 구간이 비포장임도이며 버스도 당연히 단양버스만 들어왔다. 현재는 아예 비법정탐방로로 지정되어 출입시 자연공원법 제28조에 의거 1차 적발시 10만, 2차 30만, 3차 50만의 벌금을 받는다.[15]문경에서 제천을 갈거면 충주나 영주에서 갈아타자.
6. 버스정보시스템
경북 시 단위에서 마지막으로 버스정보시스템을 구축한 곳으로, 2020년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지원받아 구축되었다.[16]다만, 일부 노선 또는 차량은 이 BIS를 끄고 다니기에 실시간 위치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문경여객 홈페이지에 기재된 시간표를 보는 것이 그나마 낫다.
[1]
수원 9번에서 운행되던 차량이다.
[2]
GBUS 입석도색은
경상북도 시내버스에서
영양여객의 자체 구매 신도색에서도 사용했다.(개선형 출시 이후 녹색 떡칠 도색으로 변경) 참고로 GBUS 마을버스 도색은 경상북도 시내버스에서
군위교통의
e-카운티 F/L 2011년식 2도어 모델 하남시 마을버스 업체인
은방울교통 중고차(2018년에 그린시티 개선형 좌석으로 조기대차)와
영덕버스의
BS090 F/L 2008~2010년식 자체 구매분에서 사용했다.
[3]
한때 공항버스로 운행하던 BH115E에서도 이 도색을 사용했다.
[4]
예천도 추진 중이었으나,
안동과 무료환승 문제로 보류되었다.
[5]
벌바위종점에서 내려서 5.3km 정도 걸어 올라가면 상관평에서 청천행 버스 및 괴산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6]
화북에서 상주행 버스 및 이평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며, 용화에서는 청천행 버스 및
보은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7]
명전 2리와 방곡리에서
단양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해당노선은 명전 2리를 벗어나 충청북도 단양군으로 넘어가 방곡리를 지나쳐 다시 경상북도 문경시로 들어온다.
[8]
동계기간 폭설이 내릴 때는 벌재의 경사로를 오를 수 없으므로 아예 결행처리한다.
[9]
동로-건학 노선과 마찬가지로
단양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10]
석항에서 1.4km 정도 걸으면 명봉종점 정류장이 나오며, 거기서 예천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11]
실제 운행구간은 점촌~함창~농암~가은~문경터미널이다.
[12]
예천여객과 공동 배차. 문경여객은 점촌시내버스터미널 출발 및
73번, 73-1번, 73-2번 부여, 예천여객은
점촌시외버스터미널 출발.
[13]
200번과 거의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나,
점촌터미널을 경유하지 않는다는 점이 200번과의 차이점
[14]
심지어 모녀재 끝지점도 단성면 벌천리 모여티마을 끝자락이다.
[15]
애당초 모녀재는 출입자체가 힘들다. 이유는 길도 구불구불한데다 아예 자갈로 이루어져있는 비포장도로에 풀이 무성하게 자라 구분이 힘들다.
[16]
전라북도 김제시도 구축되면서 전라북도 전 지역이 버스정보시스템이 구축되었으며, 시 단위 미구축 지역은 본래
로카모빌리티에서 구축해주다가 철거된 충청남도 보령시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