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9:04

먼나라 이웃나라/문제점/에스파냐

먼나라 이웃나라 문제점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스위스 이탈리아 일본 한국
미국 중국 에스파냐
발칸반도 / 동남아시아 / 중동 /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1
오스만 제국, 튀르키예 러시아 인도와 인도아대륙
공정성 구성
윗첨자1: 舊 가로세로 세계사 1~4권.


1. 로마 제국의 멸망2. 중세, 근대3. 기타

1. 로마 제국의 멸망

18, 19세기 학설이다. 즉 로마 제국 서부 영토 기준으로 보면 맞는 말이지만 동로마를 기준으로 하면 틀린 말이다.[1] 힌두교에서 보듯 다신교라고 해서 다른 종교에 포용적이고 관대한 건 아니다. 게다가 기독교의 확산과 국교화 과정을 보면 기독교 때문에 로마가 망했다기보다는 로마가 망해갔기 때문에 기독교가 퍼졌다는 느낌이 더 든다.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가 급격하게 전파된 계기는 서기 3세기 이후 전염병이 빈발하고 경제가 쇠퇴하면서 내세지향적인 사회분위기가 형성된 것이 결정적이었다.[2] 서로마 제국이 망할 때쯤에는 제국 영토 대부분에 기독교가 퍼졌을 뿐 아니라 침공해온 게르만족 상당수가 종파는 다르지만 기독교를 믿고 있었다.[3] 한편 가로세로 세계사에서는 다신교 때문에 타 민족의 반발을 샀고, 기독교를 국교로 삼으면서 포용력을 강화하였다고 묘사하였다.

로마 제국의 멸망은 대개 군인 황제 시대와 같은 끝없는 내분과 게르만족의 침공, 황위 불안으로 인한 계속된 내전으로 인한 부정부패의 증가 및 정복전쟁의 중단과 사회 구조 변화로 인해 국가 수입이 줄어들면서 커진 재정 적자 등의 복합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기독교 이전의 로마 제국이 열려있는 제국이었다고 이야기하나 이는 전혀 아니며 로마 민족이 아니면 야만족이라 멸시하는 건 공화정 때나 제정 때나 바뀐 게 없었다.

게다가 고대 로마뿐 아닌 후대의 여러 국가들도 독선적인 면이 많았다. 국교 지정은 로마 이후의 유럽 어느 나라나 다 같았고, 문화적으로도 당연히 유럽 문화 빼면 별로 대단하게 여기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였다. 심지어 인종에서도 유럽인들은 유럽인 외에는 흑인 노예들을 상품 취급하고 전시하기도 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을 비롯한 각지의 원주민들은 짐승 취급하듯 학살하는 일이 잦았다. 그럼에도 유럽의 식민지 제국은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는 결코 독선적인 면만을 원인으로 지목할 순 없는 노릇이다.

참고로 이탈리아 편에 나온 오류가 여기서 또 나오는 건 에스파냐 편에도 이런 설명이 나오기 때문이다. Ctrl+c+v

2. 중세, 근대

3.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4세기 기독교 박해와 이교 부흥 정책을 펼친 율리아누스 황제가 서방에서는 인기가 많았어도 동방 안티오키아에서는 대중들에게 인기가 빵점이었다는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기록을 봐도 알 수 있듯이 로마 제국 서부 영토에서는 지식인 상당수가 이교도로 남았고 기독교와 로마 전통 다신교간의 갈등이 더 심했다. 이를 반영하듯 웬만한 역사서 뺨치는 고증으로 유명한 토탈 워 시리즈 아틸라 토탈워에서도 서로마 팩션으로 진행하면 다신교와 기독교간의 갈등이 팩션 난이도를 올리는 주요 장애 요인이 될 정도 [2] 출처: 비잔틴 제국의 역사 / 워렌 트레드골드 [3] 대체적으로 게르만족은 아리우스파를 믿고 있었는데 그 중 프랑크족은 처음에 아예 기독교를 안 믿는 상태에서 클로비스 치세에 다이렉트로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다. [4] 카를 5세의 말년즈음에는 페르디난트 1세는 구교, 신교 가리지 않고 지지를 얻고 있었다. 이러니 아무리 카를 5세라도 GG를 칠 수밖에 없다. [5] 사실 이것만이 원인인 것은 아니다. 더 큰 문제는 카를 5세는 전쟁에만 신경이 팔려 통치에는 딱히 신경을 쓰지 않았고 그러다보니 제후들과의 사이가 가까워지기 힘들 판인데 거기다가 카를 5세는 제후들에게 했던 약속을 자주 어겨서 어그로를 끌었다.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되기 위해서는 선제후들의 지지가 필요하고 자신도 선제후들의 지지로 즉위했음을 감안하면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었던 것 치고는 굉장히 안일하게 행동한 셈이다. [6] 카를 7세의 아버지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레오폴트 1세의 큰사위였고, 제2차 빈 공방전에서 합스부르크 제국을 구한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의 사위다. 참고로 요제프 페르디난트의 외조부는 레오폴트 1세이고 카를 7세의 외조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이다. 또한 카를 7세의 장인은 레오폴트의 큰아들 요제프 1세다. [7] 단 이 사람은 욕먹을 짓도 저질렀다. 심지어 절도를 하고도 오히려 큰소리쳤으니 막장인 셈. 오죽하면 스페인이 밥이 되든 죽이 되든 신경도 안 쓰던 프랑스가 펠리페 5세를 통해서 이 인간을 유폐시켰을 정도 카를로스 2세가 펠리페의 손을 들어준 것도 마리아 안나의 막장짓의 영향이 컸다. [8] 영국의 우려는 당연히 유렵의 패권자가 등장하는 것인데 부르봉 가문이 스페인의 왕관을 차지하나 합스부르크 가문이 스페인의 왕관을 차지하나 1개 가문이 2개의 왕관을 차지한다는 점에서는 다를 게 없지만 문제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차지하게 되면 합스부르크 제국과 스페인은 동군연합이 되어 카를 6세는 제2의 카를 5세가 되니 영국 입장에서는 최악이었다. 이럴 바에야 부르봉 가문이 왕관을 차지하도록 냅두되 대신 스페인 국왕과 프랑스 국왕을 서로 겸하지 못한다고 못박는데 더 낫다. [9] 다 만여기서 떨어져있다는 말은 나폴리 왕국 등 남부 이탈리아다. [10] 실제로 소련에서 온 고문단 등이 문제가 많았던건 사실이다. 공화국 정부조차 이들이 다 소련으로 귀환해버리자 다 져가는 상황인데도 좋아했을 정도 [11] '쓰'는 shi가 아닌 si를 한글로 표기할 때나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