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9:23:10

예비 병력(레인보우 식스 시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패스파인더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0R6_BADGE_Sledge_L.png
슬레지
파일:Y0R6_BADGE_Thatcher_L.png
대처
파일:Y0R6_BADGE_Smoke_L.png
스모크
파일:Y0R6_BADGE_Mute_L.png
뮤트
파일:Y0R6_BADGE_Ash_L.png
애쉬
파일:Y0R6_BADGE_Thermite_L.png
써마이트
파일:Y0R6_BADGE_Castle_L.png
캐슬
파일:Y0R6_BADGE_Pulse_L.png
펄스
파일:Y0R6_BADGE_Twitch_L.png
트위치
파일:Y0R6_BADGE_Montagne_L.png
몽타뉴
파일:Y0R6_BADGE_Doc_L.png
파일:Y0R6_BADGE_Rook_L.png
파일:Y0R6_BADGE_Glaz_L.png
글라즈
파일:Y0R6_BADGE_Fuze_L.png
퓨즈
파일:Y0R6_BADGE_Kapkan_L.png
캅칸
파일:Y0R6_BADGE_Tachanka_L.png
타찬카
파일:Y0R6_BADGE_Blitz_L.png
블리츠
파일:Y0R6_BADGE_IQ_L.png
아이큐
파일:Y0R6_BADGE_Jager_L.png
예거
파일:Y0R6_BADGE_Bandit_L.png
밴딧
파일:recruit_blue.png
예비 병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1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1S1_BADGE_Buck_L.png
파일:Y1S1_BADGE_Frost_L.png
프로스트
파일:Y1S2_BADGE_Blackbeard_L.png
블랙비어드
파일:Y1S2_BADGE_Valkyrie_L.png
발키리
파일:Y1S3_BADGE_Capitao_L.png
카피탕
파일:Y1S3_BADGE_Caveira_L.png
카베이라
파일:Y1S4_BADGE_Hibana_L.png
히바나
파일:Y1S4_BADGE_Echo_L.png
에코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2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2S1_BADGE_Jackal_L.png
자칼
파일:Y2S1_BADGE_Mira_L.png
미라
파일:Y2S2_BADGE_Ying_L.png
파일:Y2S2_BADGE_Lesion_L.png
리전
파일:Y2S3_BADGE_Zofia_L.png
조피아
파일:Y2S3_BADGE_Ela_L.png
엘라
파일:Y2S4_BADGE_Dokkaebi_L.png
도깨비
파일:Y2S4_BADGE_Vigil_L.png
비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3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3S1_BADGE_Lion_L.png
라이온
파일:Y3S1_BADGE_Finka_L.png
핀카
파일:Y3S2_BADGE_Maestro_L.png
마에스트로
파일:Y3S2_BADGE_Alibi_L.png
알리바이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3S3_BADGE_Maverick_L.png
매버릭
파일:Y3S3_BADGE_Clash_L.png
클래시
파일:Y3S4_BADGE_Nomad_L.png
노매드
파일:Y3S4_BADGE_Kaid_L.png
카이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4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4S1_BADGE_Gridlock_L.png
그리드락
파일:Y4S1_BADGE_Mozzie_L.png
모지
파일:Y4S2_BADGE_Nokk_L.png
뇌크
파일:Y4S2_BADGE_Warden_L.png
워든
파일:Y4S3_BADGE_Amaru_L.png
아마루
파일:Y4S3_BADGE_Goyo_L.png
고요
파일:Y4S4_BADGE_Kali_L.png
칼리
파일:Y4S4_BADGE_Wamai_L.png
와마이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5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5S1_BADGE_Iana_L.png
야나
파일:Y5S1_BADGE_Oryx_L.png
오릭스
파일:Y5S2_BADGE_Ace_L.png
에이스
파일:Y5S2_BADGE_Melusi_L.png
멜루시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5S3_BADGE_Zero_L.png
제로
파일:Y5S4_BADGE_Aruni_L.png
아루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6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Y6S1_BADGE_Flores_L.png
플로레스
파일:badge-thunderbird.png
썬더버드
파일:badge-osa.png
오사
파일:badge-thorn.png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7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badge-azami.png
아자미
파일:badge-sens.png
센스
파일:badge-grim.png
그림
파일:badge-solis.png
솔리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8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def.png
파일:badge-brava.png
브라바
파일:badge-fenrir.png
펜리르
파일:badge-ram.png
파일:badge-tubarao.png
투바랑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Year 9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R6_patches_bg-characters-ico-atk.png
파일:badge-deimos.png
데이모스
}}}}}}}}} ||

예비 병력
RECRUIT
공격 방어
스트라이커
Striker
센트리
Sentry
파일:Striker_Portrait.png
파일:Sentry_Portrait.png
파일:badge-striker.png 파일:badge-sentry.png
이름 정의되지 않음
소속 대원
출생일 정의되지 않음
출생지 정의되지 않음
나이 정의되지 않음
정의되지 않음
몸무게 정의되지 않음
특기 지원

1. 개요2. 배경
2.1. 스트라이커2.2. 센트리
3. 특징 및 역사4. 능력치
4.1. 스트라이커4.2. 센트리
5. 특수 기술6. 평가7. 1차 재작업 전
7.1. 능력치7.2. 무기
7.2.1. 공격팀
7.2.1.1. SAS7.2.1.2. FBI SWAT7.2.1.3. GIGN7.2.1.4. Spetsnaz7.2.1.5. GSG 9
7.2.2. 방어팀
7.2.2.1. SAS7.2.2.2. FBI SWAT7.2.2.3. GIGN7.2.2.4. Spetsnaz7.2.2.5. GSG 9
8. 2차 재작업 전
8.1. 능력치
8.1.1. 공격팀8.1.2. 방어팀

[clearfix]

1. 개요

레인보우 식스 시즈에서 모든 유저가 기본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예비 병력 대원으로 공격팀은 스트라이커, 방어팀은 센트리라고 한다.

Y5S1과 Y9S2 패치로 두 번의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Y9S2 개편 이후 디자인은 모바일판의 예비 병력과 흡사한 모습이다.

전 세계에서 레인보우에 자원한 입대자로, 여러 군대의 병사보다는 유능하고 신체적으로 월등하나, 레인보우 소속 정식 오퍼레이터 보다는 못한 존재로, 예비 병력으로 편성되어 자신만의 특수 능력으로 공적을 쌓으면 정식 오퍼레이터로 승격이 가능한 존재들이다.[1] 소속은 ROS로, 공격팀 예비 병력은 샘 피셔가, 방어팀 예비 병력은 미라가 훈련을 담당한다.

2. 배경

2.1. 스트라이커

배경 “우리는 이곳에 속할 자격을 얻었다. 이제 여기에 머물 자격을 얻을 차례다.”

Striker(타격병)라고도 알려진 Rainbow의 공격팀 예비 병력은 기관의 근간을 이루는 인원으로, 내부의 인식과는 다르게 동일한 병사들의 포괄적인 단일 집단 같은 존재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예비 병력은 경험 많은 전문 대원보다 훨씬 젊지만, 그렇다고 이들이 원활한 임무 수행에 있어 덜 중요한 존재라는 것은 아닙니다. 게다가 예비 병력이 드러내는 과도한 열의보다 더한 문제도 많습니다. 비록 정예 전문 대원과 함께 행동할 때 일부 인원이 간혹 과하게 흥분하기는 해도 말입니다. Rainbow의 임무는 기본적으로 기밀임에도 일부 예비 병력은 수많은 임무에서 누가 어떤 활약을 했는지 상상을 펼치며 대원 본인에게 직접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매달리는 등, 대원들을 거의 연예인처럼 대했습니다. 이러한 사례와 전문 대원들의 다른 우려로 인해 예비 병력은 이제 전용 식당에서 식사하며 오직 훈련과 직접 관련된 대원과만 교류합니다. 모든 예비 병력은 군대와 대테러 전문 기관에서 가려 뽑은 정예 중의 정예들이지만, 이들 모두 Rainbow가 더 수준 높은 조직임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그에 걸맞은 규율을 준수합니다.

예비 병력은 필요한 자질을 모두 갖춘 정식 대원이 아니지만, 이들 중 대부분이 Deimos의 타워 습격과 같은 통과 의례를 경험했습니다. 당시 생존자들은 용기 있게 행동하며 Vigil과의 효과적인 협력으로 수많은 젊은 목숨을 앗아간 습격을 이끌던 헬리콥터를 격추했습니다. 이는 비극적인 사건이었으나, 현장에서의 평정심을 시험할 진정한 기회이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로 생존자 중 하나였던 Ram은 전문 대원이 되었습니다.
심리학 보고서 Rainbow의 공격팀 예비 병력 훈련을 담당하는 내가 직접 의견을 적는 게 가장 적절하겠군. 난 녀석들을 수직 돌파와 우회 기동, 드론 활용의 달인으로 키워낸다. 예비 병력은 온갖 대테러 조직과 군대, 또는 다른 무력 집단에서 차출되어 이미 값진 경험을 수없이 체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약간의 고난을 더 헤쳐 나오게 하는 일은 빼놓을 수 없다.

훈련을 마친 예비 병력은 지상, 공중, 해상을 가리지 않고 모든 공세의 최전선에 투입된다. 산전수전 다 겪어 냉소적인 일부 전문 대원은 녀석들을 단순한 총알받이로 여기지만, 뛰어난 예비 병력은 Rainbow 전문 대원이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귀중한 시간을 번다. 나 역시 지금껏 복무하며 한 번 이상 이들에게 신세를 졌다.

Rainbow 전문 대원은 최고 중의 최고이며, 대다수 공격팀 예비 병력은 그들의 발끝에도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그 발끝이나마 따라가는 녀석들이 있다면 여러 분대에 합류할 기회를 잡을 수 있지. 단순무식하게 임무 목표 완수만 바라보는 버릇 덕에 대다수는 Ghosteyes와 Redhammer에 합류하게 되나, 녀석들도 저마다 개성이 있으니 이런 예측은 보통 별 쓸모가 없다. 그럴 시간에 나는 어떻게든 이들을 제대로 된 병사로 만드는 데 더욱 집중한다.

--전문 대원 Sam "Zero" Fisher, 공격팀 예비 병력 훈련 교관
훈련 [편집됨]
관련 경험 [편집됨]
특이사항 수년간 나는 많은 예비 병력이 오고 가는 것을 지켜보았다. 가는 쪽이 더 많았지. 불행히도 최근에는 타워를 노린 Deimos의 저열하고 비열한 공격으로 몇 명을 어렵게 떠나보내야 했다. 이를 계기로 우리는 훈련 프로그램을 기초부터 개편했고, 새롭게 합류한 예비 병력에게 자립심과 적응력을 조금 더 기를 기회를 주었다. 이전에는 훈련 중에 특정 도구 목록만을 사용하도록 제한했는데, 미래의 대원이 될 인재들이 되도록 많은 기술을 익히는 걸 막을 이유가 없지 않은가? 실제로 이제 이들은 모든 종류의 공격용 보조 도구를 골라 쓸 수 있고, 그 결과는 야전 훈련에서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이런 개선점은 임무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비 병력은 말할 것도 없이 실전에 굶주려 있다. 이들이 임무 경험을 원한다면 기꺼이 기회를 주자는 것이다. 조준선에 적을 놓고 쏘기에나 바쁜 두 명의 대원보다 충격 EMP 수류탄으로 전자 장비를 무력화하고 접착 폭약으로 벽을 뚫을 줄 아는 인원 한 명을 투입하는 게 훨씬 낫지 않은가.

이번 개선은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져왔다. 이들의 장비 목록을 새로 설계한 Mira에게 찬사를 보낸다. 특정 장비 조합만 챙길 수 있게 하던 이전 모델은 다소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Caveira와 나는 새로 태어난 공격팀 예비 병력을 두고 누가 먼저 녀석들을 분대에 데려올지 씨름할 것이다.

--Jordan “Thermite" Trace, Redhammer 분대장

2.2. 센트리

배경 "우리는 훈련 중에 먹고 자며 Rainbow를 꿈꾼다. 언젠가 반드시 보답받을 날이 올 것이다."

Sentry(파수병)로도 알려진 이번 기수의 방어팀 예비 병력은 Rainbow에서 새로 개편된 훈련을 거치는 중이며, 이들의 야심과 적응력, 회복 탄력성을 요하는 조직 안에서 자리를 찾고 있습니다. 대규모 방어 임무에 머릿수를 채우는 용도 외에도, 예비 병력은 Rainbow의 토대를 이루는 인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이들은 얼굴도 이름도 없는 집단처럼 보이지만, 영영 그런 취급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조직 내부에서 예비 병력을 선발해 전문 대원으로 승진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2]

방어팀 예비 병력은 다양한 성격과 배경, 신장, 체중, 언어와 재능을 가진 개성 넘치는 집단이지만, 몇 가지 공통점도 있습니다. 방어팀 훈련 프로그램을 통과하려면 인내심과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는 주의력, 임무 수행 이전과 도중에 명확하고 간결한 소통을 능숙히 해낼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심리학 보고서 방어팀 예비 병력 훈련이 내 소관이 된 이래로, 나는 Rainbow가 현재 현장에서 마주하는 위협을 특정하여 일련의 새 훈련 모델을 설계했다. 격렬한 임무에 투입되기 전에 예비 병력은 이 훈련 모델을 반드시 숙달해야 한다. 에메랄드 평원 작전과 Deimos를 포획하기 위한 긴 여정은 끝났다. 이제 우리는 대량의 자금을 동원한 고급 야전 훈련을 받는 케레스의 정예병과 동등한 수준이 되도록 이 예비 병력을 훈련시켜야 한다. 이제 Deimos가 우리 지붕 아래 잡혀 있으니, 놈들의 솜씨가 무뎌지길 바랄 수밖에.

경험 많은 전문 대원에게는 성공을 돕기 위한 특수 도구와 능력이 있으니, 작전에 참가할 기회를 얻은 예비 병력은 다양한 종류의 무기를 능숙히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이들의 역할은 메스가 아니라 다용도 도구다. 그렇기에 전문 대원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성 도구를 현장에 추가로 가져가는 것이다.

좀 더 고집스러운 일부 대원들이 하는 말과 달리, 방어팀 예비 병력은 다 똑같이 생긴 녀석들이 아니다. 이들은 다양한 군대와 경찰 조직에서 찾아왔으며 Rainbow 안에서 저마다 다른 목표를 추구한다. 모든 방어팀 예비 병력의 공통점이라면, 인질 보호에 대한 열렬한 관심과 임무 목표 완수를 위해 뭐든지 희생할 수 있는 의지가 있겠다. 녀석들은 방어팀이니 내성적일 거라고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내 훈련 아래에서 이들은 상황이 허락한다면 언제든 공격팀 예비 병력만큼 사납게 행동하도록 배우고 있으니까.

--Elena Maria "Mira" Alvarez, 방어팀 예비 병력 훈련 교관
훈련 [편집됨]
관련 경험 [편집됨]
특이사항 대원들이 보통 한 개의 도구를 챙기는 것과 달리, 예비 병력은 전투복과 키트의 크기 덕에 두 개의 보조 도구를 지참하고 야전 훈련에 임한다. 또한 Mira와 Zero의 최종 결정 끝에 그들은 이전에 예비 병력에게 지급하던 일부 도구가 아닌, 모든 종류의 방어용 보조 도구를 고를 수 있게 되었다. Six와 번거로운 절차의 부재는 간혹 이런 긍정적인 혁신을 불러오기도 한다. 나는 도구를 두 개 휴대하는 이 최신 모듈이 얼마나 유용할 수 있는지 직접 보았다. 우리는 진창 임무 훈련을 진행 중이었고, 나와 다른 Wolfguard 대원들은 방어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원래대로라면 모든 입구에 두 명의 대원을 투입해야 했다. 한 명은 철조망을 깔고, 다른 한 명은 공격팀이 우리에게 보낼 드론을 상대할 관측 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니까. 그러나 적절한 장비를 갖춘 예비 병력은 이 작업을 홀로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대원들은 더 중요한 방어 작업을 맡을 수 있으니, 꽤 귀중한 자산이라 할 수 있다. 한 방에 전세를 뒤집을 화려하고 독특한 장비는 없지만, 격렬하게 흘러가는 임무에서 이런 자산은 아주 반갑고 상당히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이 내 분대에 합류하겠다면 얼마든지 환영하겠다.

--Gustave "Doc" Kateb, Wolfguard 분대장

3. 특징 및 역사

파일:Recruit_-_Full_Body.png
RECRUIT
예비 병력
오퍼레이터
아이콘
파일:Recruit Operator icon.png
소속 이용 가능하며 믿을 수 있는 곳[3]
[clearfix]
발라클라바와 고글, 진회색의 평범한 작전복을 입은 평범한 대원의 모습을 하고 있다.[4]

과거 예비 병력은 점수판에서 베레모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첫 번째 선택자는 상단의 베레모 색깔이 푸른색, 그 뒤로는 중복을 막기 위해 아이콘의 베레모 색깔이 주황색, 노란색, 연두색, 붉은색으로 바뀐다.

파일:예비군 레인저 트롤포스.jpg

종종 예능 플레이의 일환으로 이렇게 팀 전체가 예비 병력을 픽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타 오퍼레이터들과 달리 행동 방식이 전혀 예측이 되지 않기에 적에게 혼란을 안겨주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과거 소속이 있어 무기가 선택이 가능했던 시절엔 방어팀에선 전원 C4+철조망 로밍으로 맞서거나 전원 416으로 무장후 장거리 총격전으로 맞서는 기괴한 상황도 펼쳐졌었다. 공격팀에선 인질전시 예비 병력 전원이 혹은 잉과 조합해서 섬광+연막 테러를 한 뒤 인질만 쏙 빼가는 전략이나, 경기관총으로 무장해 화력전으로 맵을 거덜내거나, 방패로 무장해 움직이는 공성전차를 시전하기도 했었다.

또 은신 플레이를 위해 채택되기도 했는데, 공격이든 방어든 모든 예비 병력은 온몸을 검은 옷으로 꽁꽁 싸맸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자리만 잘 잡으면 슥 훑어봐선 아예 안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점령전 기지 내부의 어둡고 눈에 안 띄는 곳에 숨어 암살/기습 트롤 플레이를 할 때 사용되기도 했다. 다만 거듭된 패치로 현재는 맵에 어두운 곳이 거의 없고, 야간 모드 고정인 빈민가를 제외하면 야간 맵이 사라졌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그리고 Y6S3 패치로 림 라이트 패치가 적용되어 어두운 곳에 있어도 매우 잘 보이기 때문에 현재는 숨어 있다가 기습하는 플레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결국 예비병력 픽을 보고 너도나도 다같이 고르기 시작하는 즐거운 팀원들을 만났거나 친구들과 5인 분대를 짜서 플레이하지 않는 이상 예비 병력 픽 자체가 트롤링이며, 재미있다는 것마저도 마치 하지 말아야 할 장난을 칠 때의 어린 아이의 기분으로 플레이하기 때문이기에 실용적인 면에선 크게 픽할 이유가 없다. 다 같이 합심해서 하는 게 아닌 이상, 본인 재밌으려고 혼자 예비 병력을 고르는 건 민폐로 보일 수도 있다. 거기다 예비 병력으로도 잘 하는 사람은 잘 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실력으로 대원을 고르면 대원의 특수 능력을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비 병력은 더욱 의미가 없다. 간혹가다 팀원 몇몇이 물타기로 예비 병력을 고르는 경우, 그에 맞춰주지 않고 일반 대원을 고른 나머지 한, 두 명을 욕하는 건 양반이요 팀킬해버리거나 강퇴하는 진상스러운 경우가 있는데, 예비 병력을 고르는 행위까지 포함해 이 게임에서 대원 고르는 건 순전히 자기 자유로, 침해할 이유가 없으니 개념 있는 착한 유저들은 누가 뭘 고르든 사이좋게 게임하도록 하자.

팀원 모두가 예비 병력을 골랐는데 정말 극악하게 드문 확률로 상대도 이짓을 하고 있어서 한 라운드에 예비 병력만 10명이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런 팀으로 러쉬를 뛰면 시즈에서 가장 처절한 백병전이 일어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한다. 예비 병력은 공격과 방어에 모델링 차이가 없기 때문에 서로 만나도 안쏘고 근접 공격은 팀킬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용해 칼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물론 개의치 않고 아군 적군 구별없이 다 쏘는 유저도 있다. 당연 이건 개막장 난장판을 원하는 자들이 아니면 즐거운 플레이에서도 민폐 취급이 될 수 있다.

커뮤니티에서는 타찬카와 함께 레인보우 식스 시즈 최고의 인기 밈 중 하나로 추앙받고 있다. 발라클라바만 써도 그럴싸해보이는 쉬운 코스프레와 충성 자세 특유의 기묘함, 괴상한 비명소리, 대충 녹음한 듯한 몇몇 대사, 쓸데없이 두툼한 입술(...) 등 보기만 해도 웃긴 비주얼과, 여럿이 모이면 발휘되는 무지막지한 병맛이 필수요소로서 너무나도 잘 들어맞기 때문.

특히 예비 병력 중에 독일 GSG 9 예비 병력(개편 전)은 비명소리가 매우 처절하고, 특이하면서 웃기기 때문에 # 하나의 밈으로서 많은 레식 유저들의 웃음을 자아내기도 하였다. 부상당한 아군 독일 예비 병력을 일부러 소생을 시전 후 취소하며 맵 전역에 독일 예비군의 병맛스러운 비명소리를 계속 전달시켜 웃음을 자아내기도 한다.

아웃브레이크 모드에서 예비 병력으로 플레이 시 탄약을 보충하면 "훈련 때라면 이걸 만지지도 못하게 했을거야!"라는 대사를 하는거 보면 평소엔 작전에 참가하지도 못하는 듯.

2019년 진행되었던 쇼다운 이벤트에서도 선택할 수 있었다. 서부극 배경에서 다른 오퍼들은 서부 스킨으로 등장하는데 비해 혼자 대테러 부대 복장이라는 엄청난 괴리감을 자랑한다. 시꺼먼 의상이기 때문에 서부 황량한 사막 배경에서는 위장 효과는 당연히 누리지 못한다. 그나마 사이트 내부가 매우 어두워 사이트에 숨기 좋은 편. 예비 병력을 포함한 모든 오퍼들이 동일한 조준경 없는 더블 배럴 샷건과 리볼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게임과는 달리 예비 병력을 선택한다 해도 크게 손해를 받지 않는다. 가젯은 여전히 하나 적게 주지만 다른 모드에 비해 가젯보다 조준 실력이 중요시 되기 때문에 큰 손해는 없는 예비 병력을 사용하는 플레이어들이 꽤나 많은 편이다. 그러나 2021년에 쇼다운 이벤트가 돌아오면서 버그로 나오는 경우가 아닌 이상 선택할 수 없게 되었다.

2019년에 진행된 할로윈 이벤트인 닥터의 저주 모드에서 방어팀이 버그로 예비 병력을 고를 수 있는 경우가 있었는데, 문제는 이 이벤트의 오퍼레이터들이 전원 총기 및 폭발물 없이 망치 혹은 가젯으로만 싸우는데 예비 병력만 혼자서 총기류를 포함한 원래 무장을 쓸 수 있었다. 덕분에 해당 모드 한정으로 예비 병력은 최강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또한 2021년에 진행된 격리 이벤트와 쇼다운 이벤트에서도 예비 병력이 선택되는 버그가 있어서 예비 병력 혼자 기존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2019년과 달리 2021년에 진행된 닥터의 저주 이벤트에서는 예비 병력이 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멜루시의 밴시를 사용하는 버그도 등장했다.

이전에는 오퍼레이터 선택 시간이 다 될 때 까지 오퍼레이터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무조건 예비 병력이 선택되어 간간히 예비 병력이 나오던 시절이 있었다. 이후 패치로 오퍼레이터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보유 중인 랜덤 오퍼레이터를 자동으로 픽 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일부러 하지 않는 이상 예비 병력을 보는 일은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무계급과 랭크 게임에서는 예비 병력을 선택할 수 없으며[5], 오퍼레이터가 아예 없거나 다른 팀원이 오퍼레이터를 모두 선택해서 남은 오퍼레이터가 없다면 자동적으로 예비 병력이 선택된다. 이벤트에서도 삭제하는 추세이다.

예비 병력이 재작업 되기 이전에는 소속별 부대마다 장갑 및 속도가 달랐고 부대별로 정해진 무기를 사용했으며 무기에는 부착물을 부착할 수 없었다. 또한 공용 도구의 개수가 일반 대원보다 적거나 쓸 수 없는 것도 있었다. 방어팀은 강화벽을 강화할 수 있는 횟수도 1번이었던 단점이 있었다. 이후 Y5S1 패치로 예비 병력이 재작업 되면서 공격팀과 방어팀 모두 2속도로 능력치가 고정되고 무기가 바뀌었으며 소속 부대가 사라졌다.[6] 무기에는 부착물이 정해져 있어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없고 예비 병력답게 특수 능력도 없지만 대신 도구를 2종류 들고 다닐 수 있으며 각 도구의 소지량도 일반 대원들과 동일하다. 강화벽 강화 가능 횟수도 1번에서 2번으로 늘어 일반 대원과 같아졌다. Y5S3 패치 이후에는 다른 대원들과 마찬가지로 강화벽 개수를 공유한다.

배틀 패스가 도입된 이후부터 생긴 문제점으로 통상적으로 픽률이 매우 저조하다는 점을 이용해 매크로들이 배틀 패스 경험치를 채우기 위해 예비 병력을 픽하고 잠수를 타는 일이 생겨서 안 그래도 좋지 않던 인식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특이하게 공식 모바일 버전의 공격 예비 병력은 여성으로 등장하며, 이는 Y9S2 패치에서 디자인과 함께 그대로 적용되었다.

Y8S3 패치노트에 일부 만능 대원들과 블랙비어드와 함께 리워크 예정 대원에 포함되었다. 밸런스 패치가 시급하던 다른 대원들과 달리 목록에 포함된 것에 의아해하는 유저들이 많은 편이다.

Y9S1 부터 랭크전 최소 요구사항에 공격팀/방어팀 대원 10명 보유가 추가되면서 아무런 오퍼도 구매하지 않고 예비병력으로만 레벨 50을 찍은 뒤 예비병력 랭크플레이를 하는 행위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변경되었다.

Y9S2 New blood 시즌 패치로 대규모 리워크를 받아 팀당 한명만 픽할 수 있게 되는 대신 일반이나 랭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일반 대원들처럼 공격팀 스트라이커, 방어팀은 센트리라는 코드명을 받게 되었다. 총기 부착물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원하는 것을 부착할 수 있으며, 가젯도 중복 없이 원하는 2종을 선택할 수 있다. 변경된 예비병력은 제로와 동일한 ROS 소속으로 로드아웃을 제외하면 스트라이커와 센트리 모두 디자인을 모바일의 예비병력에서 그대로 가져왔으며 공격팀 예비병력이 여성인 것도 동일하다.

4. 능력치

생명력 속도

예비 병력은 공격팀, 방어팀 각각 정해진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비 병력은 공격팀, 방어팀 모두 2 속도 고정이며, 고유한 특수 능력이 없는 대신 공용 장비를 2개 고를 수 있다.

4.1. 스트라이커

주무기 보조 무기 도구
M4
파일:R6S_wpn_M4.png
돌격소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44
연사력 750
기동성 50
장탄수 30+1/150 }}}}}}}}}}}} 5.7 USG
파일:R6S_wpn_5.7_USG.png
권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42
연사력 단발
기동성 45
장탄수 20+1/100 }}}}}}}}}}}} 수류탄

연막탄

섬광탄

대인 지뢰

접착 폭약

강력 접착 폭약

충격 EMP 수류탄
M249
파일:R6S_wpn_M249.png
경기관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48
연사력 650
기동성 50
장탄수 100/201 }}}}}}}}}}}} ITA12S
파일:R6S_wpn_ITA12S.png
산탄총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29
연사력 펌프액션
기동성 50
장탄수 5/31 }}}}}}}}}}}}

공격팀 예비 병력의 상징인 M249는 유지되었으며, 과거와 달리 다른 공격 대원처럼 2.5배율을 부착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DMR은 없지만 주무기 돌격소총이 L85A2에서 M4로 변경되었다. 원 사용자인 매버릭과 달리 2속이지만 L85보다 준수한 연사력을 가지고 있기에 엔트리 사용이 좀 더 용이해졌다. 보조무기는 기관권총인 C75를 빼앗겼지만 슈퍼쇼티에서 변경된 ITA12S 산탄총이 있어서 경로 개척에 사용이 가능하다.

베타 당시 공식 사이트에서는 공격팀에서는 유일하게 충격수류탄을 던질 수 있었으나 수정되었다.

4.2. 센트리

주무기 보조 무기 도구
COMMANDO 9
파일:R6S_wpn_Commando_9.png
돌격소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36
연사력 780
기동성 50
장탄수 25+1/150 }}}}}}}}}}}} C75 Auto
파일:R6S_wpn_C75_Auto.png
기관권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35
연사력 1000
기동성 50
장탄수 26+1/104 }}}}}}}}}}}} 철조망

이동식 방패

원격 제어 폭탄

충격 수류탄

방탄 카메라

근접 알람

관측 차단기
M870
파일:R6S_wpn_M870.png
산탄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42
연사력 펌프액션
기동성 50
장탄수 7/43 }}}}}}}}}}}} SUPER SHORTY
파일:R6S_wpn_Super_Shorty.png
산탄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F58223> 피해 35
연사력 펌프액션
기동성 50
장탄수 3/43 }}}}}}}}}}}}

초창기부터 유지된 예비 병력의 상징과도 같은 무기인 M870이 유지되었으며, 공격팀 예비 병력과 달리 배율 조준경을 부착할 수 없다.

MP5K에서 변경된 주무기 코만도는 연사력이 소폭 낮지만 피해량이 6이나 높아서 훨씬 우수한 주무기이며 M870은 피해량과 레이저의 너프로 다소 주춤하긴 해도 산탄총 중에서는 높은 피해량 덕분에 상위권의 산탄총 자리를 유지하고 있어 근접전에서 강력하다. 보조 무기에 슈퍼 쇼티가 추가돼서 산탄총 주무기로 사용하지 않아도 공사가 가능해졌다는 장점이 생겼지만 일반 권총이 사라졌고 방어팀 예비병력이 항상 쓸 수 있었던 고성능 기관권총 SMG-11이 가시성 나쁜 C75로 바뀐 게 흠이다.

뇌크와 워든 이후로 총기가 재탕된 신규 오퍼들이 모두 기존의 장전 모션을 그대로 가져온 반면 센트리는 의외로 코만도의 장전 모션이 모지와 다르게 정석적이다.[7] 당연히 성능의 차이는 없으므로 코만도와 슈퍼쇼티 조합으로 초창기 모지같은 플레이를 하거나 M870과 C75 조합으로 쏜과 동일한 플레이를 시도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는 로드아웃 조합만으로 다른 공격팀 오퍼들과 확실한 차별점을 보이는 반면 센트리는 코만도 장전모션을 제외하면 다른 방어팀 오퍼와 겹치는 총이 많아서 센트리만의 개성이 살짝 부족한 편.

5. 특수 기술

특수 기술



도구 키트 (Gadget Kit)
도구와 기술 대신 도구를 두 개 장비합니다. 팀이 사용할 수 있는 어떤 도구든 선택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스트라이커와 센트리가 공유하는 특수 기술로 예비 병력은 특수 기술이 없지만 대신 특수 기술 슬롯에 도구를 장착할 수 있어 중복되지 않는 도구를 두 개 장비할 수 있다.

예비병력 출시 당시부터 유지된 기능이나 이전에는 일부 도구끼리는 장비가 동시 사용이 불가능했던 것과 달리 중복을 제외하면 모든 도구가 동시 사용이 가능해져 강력 접착폭약과 충격 EMP 수류탄, 연막탄과 섬광탄 조합처럼 전보다 다양한 전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8]

6. 평가

두번의 리워크를 통해서 중복 픽이 불가능해진 대신 방어팀도 보조무기 산탄총이 추가되어 공사가 가능해지고 다양한 도구 조합으로 큰 메리트를 갖게 되는 지원의 역할이 강해졌다.

공격팀 예비병력인 스트라이커는 준수한 로드아웃과 더불어 가젯 면에서 메리트가 있는 편인데 이전처럼 수류탄과 섬광탄 조합, 아니면 연막탄과 섬광탄 조합을 들고 유사 잉처럼 사용하거나 충격 EMP 수류탄과 강력 접착 폭약이 동시에 사용 가능해지면서 매버릭처럼 혼자서 강화벽 브리칭이 가능해졌다. 2속이긴 하지만 강화벽이나 트랩도어를 토치로 긋다가 C4로 폭사할 위험이 있는 매버릭과 달리 강력 접착 폭약은 설치시 즉발로 작동하기 때문에 EMP로 무력화 후 바로 브리칭이 가능하다.

방어팀인 센트리는 로드아웃은 괜찮은 편이지만 방어팀 예비 병력은 공격팀 예비병력과 달리 대부분의 도구가 중복 픽이 가능했고 방어팀은 공격팀과 달리 죽어도 가젯이 남지만 방어팀의 도구는 이동식 방패나 철조망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기존 대원 가젯의 하위호환 수준이라 남아 있더라도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데다가 대체 불가능한 능력들이 많다. 충격 수류탄과 C4 조합이나 근접 알람, 혹은 방탄 카메라와와 C4로 언더 C4가 가능하지만 이전에도 가능했거나 다른 대원에 비해 하위호환스러운 점이 많다.

때문에 총체적으로 보면 이전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해졌지만 중복 픽이 불가능한데다가 예비병력의 한계는 여전한데 완전한 지원의 역할로 들더라도 연막과 섬광은 잉에서 밀리고 방탄캠 C4는 발키리에 밀리는 등 다른 대원들을 대체하기에는 애매한 점이 크다. 그나마 공격팀은 죽으면 끝이기에 특능면에서 다재다능한 스트라이커가 외부에서 브리칭을 돕거나 빠르게 치고 들어가 가젯을 다 써버리고 준수한 총기로 밀고 들어갈 수 있지만 방어팀 도구는 어딘가 모자란 점이 많기에 도구 하나를 포기하더라도 특능이 훨씬 유용하기 때문이다. 스트라이커도 혼자서 강화벽 브리칭등 그나마 센트리에 비해 낫다는 거지 작정하고 강화벽을 뚫을 생각이면 에이스나 히바나와 대처를 드는게 낫기에 여전히 예비병력을 선택하면 눈총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9]

성능과는 별개로 도구 선택을 제외하면 로드 아웃 일부 변경 수준에다가 모델링과 보이스는 모바일에서 그대로 가져왔기에 리워크치고는 너무 부실하다는 의견이 많다.

7. 1차 재작업 전

위에도 언급했다시피 리워크 전에는 5개 부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부대가 쓰는 무장을 사용할 수 있었다. 대신 페널티로 부착물을 전혀 달 수가 없었으며, 수비팀의 경우 강화 횟수도 1번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7.1. 능력치

SAS, GSG-9
장갑 속도
FBI SWAT
장갑 속도
GIGN, SPETSNAZ
장갑 속도
도구 1 도구 2
공격팀 수류탄X1
섬광탄X3
접착 폭약X2
연막탄X2
방어팀 철조망X2 원격 제어 폭탄X1
이동식 방패X1

기본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대원이며 SAS, FBI SWAT, GIGN, Spetsnaz, GSG-9 부대 소속 예비 병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비 병력의 소속 부대가 어디인지, 또한 공격 팀인지 방어 팀인지에 따라 정해진 무기를 고를 수 있다. 또한 예비 병력은 소속 부대에 따라 갑옷 모델링이 달라지는[10] 캐릭터들인데, SAS와 GSG-9은 3 속도, FBI SWAT은 2 속도, GIGN과 Spetsnaz는 1 속도이다.[11] 또한 예비 병력은 고유 장비가 없는 대신 공용 장비를 2개 고를 수 있다. 다만 여기엔 페널티가 있는데 신병이 받는 몇몇 공용 장비의 개수는 네임드 오퍼레이터들보다 모자라다. 섬광탄, 연막탄, 이동식 방패, C4, 철조망은 다 받지만 수류탄과 접착 폭약은 1개 모자르다. 또한 대인 지뢰와 충격 수류탄을 장비할 수 없다. 또한 방어 팀일 경우 네임드 오퍼레이터들은 2개의 벽 강화 패널을 가지고 시작하지만 예비 병력은 1개만을 받는다. 또한 예비 병력은 무기 커스터마이즈가 불가능해, 부착물과 스킨을 사용할 수 없다. 즉 조준장비를 사용할 수 없으니 기계식 조준기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조준에 애로사항이 있다.

또한 특수 능력이 있는 오퍼레이터를 제외한다면 예비 병력의 방패병은 전투 능력이 좋았다. 보통 조금이라도 많이 쏴버리면 탄약이 거덜나는 다른 방패 오퍼레이터들과는 달리 방패병이 장비하는 권총인 5.7 USG는 20+1발의 탄약에 예비탄 60발을 주고 수류탄[12]과 접착 폭약, 연막탄까지 있어 꽤나 알찬 구성이었다. 오퍼가 가진 특수 능력보다 방패와 권총에만 집중해 진입에 앞장서 사격하고 싶다면 예비 병력도 좋았다.

하지만 Y5S1 업데이트로 예비 병력이 개편되어 위와 같은 예비 병력은 더 이상 플레이할 수 없게 되었다.

7.2. 무기

소속 부대의 거의 모든 무기 중 하나를 지정해 사용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일반 오퍼레이터에서는 불가능한 조합이나 특정 팀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무기를 쓸 수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전자는 공격팀 SAS에서의 AR33+SMG11이, 후자는 공격팀 GSG 9에서의 M870이 있다.[13]

7.2.1. 공격팀

대부분 SAS나 GSG 9 예비 병력을 골라서 샷건 러쉬에 사용한다. 샷건은 다른 자동화기에 비해 총기 부속품의 의존도가 낮은데다 공격팀 무기 중 3속 오퍼가 사용할 수 있는 샷건은 히바나의 SUPERNOVA 뿐이라서 M590A1이나 M870을 들고 3속으로 달리는 예비 병력 쪽이 좀 더 경쟁력 있기 때문. 그 외에 FBI SWAT 예비 병력으로 방패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20+1발이라는 경이로운 장탄수를 가진 5.7 USG와 하나뿐이기는 해도 수류탄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공격팀 방패 오퍼들과 차별화를 갖는다. GIGN 예비 병력은 이동 속도가 느려 많이 쓰이지 않는다. Spetsnaz도 이동 속도가 느리지만 최상급 소총인 AK-12가 있어 GIGN보다 많이 쓰였다.
7.2.1.1. SAS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M590A1 산탄총 48 펌프액션 50 7/29
L85A2 돌격소총 47 670 50 30+1/210
AR33 돌격소총 41 749 50 25+1/175
보조무기 P226 MK 25 권총 50 단발 45 15+1/60
SMG-11 기관권총 35 1270 50 16+1/80
주무기는 M590A1을 쓰는 경우가 많지만 부착물 없는 L85A2와 AR33도 그럭저럭 쓸만한 편이다. 주목해야 할 점은 보조무기 쪽인데, 기계식 조준기가 그다지 좋지 않지만 3속으로는 플레이 할 수 없는 SMG-11을 골라서 양민학살을 하는 고인물이 가끔 있다.
일반 공격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AR33 + SMG-11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7.2.1.2. FBI SWAT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방탄 방패 - - 30 -
M1014 산탄총 34 반자동 50 8/25
R4-C 돌격소총 39 860 50 30+1/210
556XI 돌격소총 47 690 50 30+1/210
보조무기 M45 MEUSOC 권총 58 단발 45 7+1/49
5.7 USG 권총 42 단발 45 20+1/60
훌륭한 순수 성능의 R4-C를 사용해도 좋지만 FBI SWAT의 예비 병력은 애쉬보다 발이 느린 건 둘째치고 R4-C의 기계식 조준기가 매우 불편해서 556XI 쪽이 초심자가 쓰기에는 더 좋을 수 있다. 보조무기로는 M45보다 화력은 낮지만 반동도 적고 장탄수도 권총 최고급인 5.7 USG가 낫다.

하지만 FBI 예비 병력의 진정한 가치는 바로 방패에 있는데, 다른 방패병 권총에 비하면 아주 우월한 장탄수와 휴행탄수를 지닌 앞의 5.7 USG와 그 어떤 방패병도 못 쓰는 파편 수류탄의 조합을 통해 방패 든 퓨즈나 몽타뉴보다도 전투 면에서 공격적으로 활약할 수 있다. 만약 예비 병력으로 방패를 들 작정이라면 무조건 FBI를 고르고 부무장으로 5.7 USG를 들라.

여담으로 클로즈 알파 시절에는 G36C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일반 공격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방탄 방패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방탄 방패 + M45 MEUSOC
방탄 방패 + 5.7 USG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G36C
7.2.1.3. GIGN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방탄 방패 - - 30 -
F2 돌격소총 37 980 50 25+1/175
417 저격소총 69 단발 50 20+1/140
SG-CQB 산탄총 53 펌프액션 50 7/29
보조무기 P9 권총 45 단발 45 16+1/64
LFP586 권총 78 단발 45 6/36
모든 돌격소총 중에 초당 피해가 상위권에 속하고 기계식 조준기가 쓸만한 F2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나, 장탄수가 적고 반동이 심해 부착물 없이 제대로 활용하긴 힘들다. 417은 조준경도 없고 해서 잘 안 쓰인다.

가장 안 쓰이는 예비 병력 중 하나. 발도 느리고 그나마 쓰이는 F2도 부착물 없이 잘 쓸 수 있는 사람이 손에 꼽힌다.
일반 공격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7.2.1.4. Spetsnaz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방탄 방패 - - 30 -
SASG-12 산탄총 50 반자동 50 10+1/30
6P41 경기관총 46 680 50 100/301
AK-12 돌격소총 45 850 50 30+1/210
보조무기 GSH-18 권총 44 단발 45 18+1/54
PMM 권총 61 단발 45 8+1/40
성능은 게임 내 최고에 속하고, 기계식 조준기도 깔끔하며 부착물에 크게 구애받지 않지만 사용 가능한 대원이 퓨즈 딱 하나밖에 없는 AK-12를 쓸 수 있다는 점은 확실한 메리트다. 실제로 부착물 없는 AK-12 사용에 익숙해지면 퓨즈가 선택됐을 때 팀에 AK 하나 보태는 게 도움이 되기도 하고, 예비 병력 무기 중 가장 활약하기도 좋다. 반동이 크지 않고 역시 기계식 조준기가 깔끔하며 화력 지속성이 높은 6P41도 나쁘지 않다. Saiga-12는 시야는 마찬가지로 탁 트이는데 레이저 조준기를 달 수 없어서 지향사격이 매우 좋지 않고 손잡이를 부착할 수 없다보니 반동 제어가 매우 어려워 폭풍같은 예능 러쉬에서 종종 등장하고 만다.
일반 공격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OTs-03
7.2.1.5. GSG 9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AUG A2 돌격소총 42 720 50 30+1/210
552 COMMANDO 돌격소총 48 690 50 30+1/210
M870 산탄총 60 펌프액션 50 7/29
G8A1 경기관총 37 850 50 50+1/250
보조무기 P12 권총 44 단발 45 15+1/60
M870 산탄총을 쓰는 러쉬 조합의 예비 병력은 유독 강력한데, GSG-9 예비 병력의 경우 3속이라 기동성이 뛰어난 것은 물론이고, 가지고 갈 수 있는 공용 장비로 러쉬 플레이에 최적화된 접착 폭약과 수류탄을 둘 다 동시에 가져갈 수 있다.[14] 산탄총 중 가장 데미지가 강력한 M870과 공용 장비, 그리고 3속의 시너지로 인해 굉장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일반 공격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M870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M870+P12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7.2.2. 방어팀

7.2.2.1. SAS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FMG-9 기관단총 34 800 50 30+1/150
M590A1 산탄총 48 펌프액션 50 7/29
MP5K 기관단총 30 800 50 30+1/150
보조무기 P226 MK 25 권총 50 단발 45 15+1/60
SMG-11 기관권총 35 1270 50 16+1/80
준수한 성능의 주무기들과 근접전에서 훌륭한 위력을 보이는 SMG-11의 조합이 강력하지만 이후 업데이트로 뮤트가 SMG-11을 들 수 있게 되면서 메리트가 반감했다. 하지만 여전히 3속이라는 이점이 있어 로밍용으로 사용하면 쓸만하다.
일반 방어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7.2.2.2. FBI SWAT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M1014 산탄총 34 반자동 50 8/25
UMP45 기관단총 38 600 50 25+1/150
보조무기 M45 MEUSOC 권총 58 단발 45 7+1/49
5.7 USG 권총 42 단발 45 20+1/60
캐슬과 펄스의 UMP45와 M1014의 성능은 어디가서 내세울 수준이 안 되는, 쓰기 어렵고 성능도 시원찮은 무기들로 악명이 높다. 하물며 특수 능력 없고 총에 부착물도 못 다는 예비 병력이기에 가장 안 쓰이는 방어팀 예비 병력 중 하나다.
일반 방어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7.2.2.3. GIGN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MP5 기관단총 27 800 50 30+1/150
P90 기관단총 22 970 50 50+1/200
SG-CQB 산탄총 53 펌프액션 50 7/29
보조무기 P9 권총 45 단발 45 16+1/64
LFP586 권총 78 단발 45 6/36
닥과 룩 모두 이 게임에서 가장 쉽다는 평을 듣는 오퍼레이터이고 GIGN 예비 병력은 룩, 닥과 똑같은 1속 3갑이라서 정말로 방어팀에서 GIGN 예비 병력을 사용할 이유는 없다. 심지어 떡장갑 페널티의 보상으로 주어지는 ACOG도 장착하지 못 하니 그냥 쓰레기.
일반 방어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7.2.2.4. Spetsnaz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SASG-12 산탄총 50 반자동 50 10+1/30
9x19VSN 기관단총 34 750 50 30+1/150
보조무기 GSH-18 권총 44 단발 45 18+1/54
PMM 권총 61 단발 45 8+1/40
캅칸 자체의 난이도도 상당히 쉽고 캅칸보다 느린 1속이라서 사용할 메리트가 거의 없다.
일반 방어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7.2.2.5. GSG 9
무장 선택 피해 연사력 기동성 장탄수
주무기 416-C CARBINE 돌격소총 38 740 50 30+1/210
MP7 기관단총 32 900 50 30+1/150
M870 산탄총 60 펌프액션 50 7/29
보조무기 P12 권총 44 단발 45 15+1/60
게임 내에서 기계식 조준기가 가장 잘 나온 걸로 유명하며 성능도 최고 범주에 속하는 MP7과 기계식 조준기는 형편없지만 수비팀에 얼마 안되는 돌격소총인 416-C, 부착물에 구애받지 않는 최강의 산탄총 M870이 있어 방어팀에서 기용된다면 매우 높은 확률로 등장하는 예비 병력. 해당 화기들은 당연히 부착물 달 수 있는 밴딧과 예거가 가장 잘 활용할 수 있지만, 이 둘이 이미 선택됐을 때 고성능 화기를 팀에 추가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일반 방어팀에서 사용 불가능한 무기 -
일반 대원이 사용할 수 없는 조합 -
예비 병력이 사용할 수 없는 총기 -

8. 2차 재작업 전

Y5S1 패치로 리워크가 이루어졌으며, Y9S1까지 유지되었던 예비 병력 로드아웃이다.

8.1. 능력치

생명력 속도

8.1.1. 공격팀

주무기 보조 무기 도구
L85A2
파일:R6S_wpn_L85A2.png
돌격소총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47
연사력 670
기동성 50
장탄수 30+1/150
부속품 홀로그래픽, 소염기, 수직 손잡이 }}}}}}}}}}}} P12
파일:R6S_wpn_P12.png
권총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44
연사력 단발
기동성 45
장탄수 15+1/90
부속품 소음기 }}}}}}}}}}}} 수류탄

연막탄

강력 접착 폭약

충격 EMP 수류탄
Mk 14 EBR
파일:R6S_wpn_Mk_14_EBR.png
저격소총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60
연사력 단발
기동성 50
장탄수 20+1/100
부속품 3.0배율 스코프, 포구 제퇴기, 수직 손잡이 }}}}}}}}}}}} SUPER SHORTY
파일:R6S_wpn_Super_Shorty.png
산탄총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35
연사력 펌프액션
기동성 50
장탄수 3/43
부속품 레이저 }}}}}}}}}}}} 접착 폭약

섬광탄

대인 지뢰
M249
파일:R6S_wpn_M249.png
경기관총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48
연사력 650
기동성 50
장탄수 100/201
부속품 리플렉스, 컴펜세이터, 수직 손잡이 }}}}}}}}}}}} C75 Auto
파일:R6S_wpn_C75_Auto.png
기관권총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35
연사력 1000
기동성 50
장탄수 26+1/104
부속품 - }}}}}}}}}}}}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격 훈련병에게는 공격 라운드의 기본을 익히도록 디자인된, 미리 정해진 부속품이 있지만, 고유한 도구는 없는 특별한 장비창이 제공됩니다.
주무기는 돌격소총, 저격소총, 경기관총에 보조무기는 권총, 산탄총, 기관권총으로 주무기 산탄총을 제외한 다양한 무기군을 사용해 볼 수 있다. 2속이고 주무기로 산탄총이 없어서 개편 전 M870을 들고 하던 GSG 9 예비 병력 러쉬는 불가능하지만 각 무기들의 성능이 평균은 가고 보조무기 선택 폭이 다양해서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다. 보조무기 샷건인 SUPER SHORTY가 쓸만해서 개편 전 샷건 러쉬를 부분적으로나마 시도할 수도 있다. 전원이 M249를 드는 전략도 있는데 5명이서 100발의 탄창으로 쏴대는 제압사격이 상당히 위력적인 편이다.

주목해야 할 점은 보조 도구로, 섬광탄 + 수류탄 조합으로 투척물을 5개나 던지면서 예거의 ADS, 와마이의 Mag-NET, 아루니의 Surya 게이트를 모조리 무력화하며 진형을 흔들거나 강력 접착 폭약 + 대인 지뢰 조합으로 강화된 벽이나 해치를 열면서 천천히 사이트를 푸쉬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담으로 Mk 14 EBR은 도깨비가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Korean army 각인이 박혀있다. 예비군

8.1.2. 방어팀

주무기 보조 무기 도구
MP5K
파일:R6S_wpn_MP5K.png
기관단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30
연사력 800
기동성 50
장탄수 30+1/150
부속품 홀로그래픽, 소염기 }}}}}}}}}}}} P9
파일:R6S_wpn_P9.png
권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45
연사력 단발
기동성 45
장탄수 16+1/96
부속품 포구 제퇴기 }}}}}}}}}}}} 원격 제어 폭탄

충격 수류탄

근접 알람
M870
파일:R6S_wpn_M870.png
산탄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42
연사력 펌프액션
기동성 50
장탄수 7/43
부속품 리플렉스 }}}}}}}}}}}} SMG-11
파일:R6S_wpn_SMG-11.png
기관권총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탯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56575d> 피해 32
연사력 1270
기동성 50
장탄수 16+1/96
부속품 레드 도트, 컴펜세이터, 수직 손잡이 }}}}}}}}}}}} 방탄 카메라

철조망

이동식 방패

관측 차단기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방어 훈련병에게는 방어 라운드의 기본을 익히도록 디자인된, 미리 정해진 부속품이 있지만, 고유한 도구는 없는 특별한 장비창이 제공됩니다.
공격팀보다는 무기 개수가 적다. 주무기로 무난한 성능의 MP5K 기관단총과 M870 산탄총을 사용할 수 있고, 보조무기로 강력한 SMG-11이 있어서 M870과의 궁합이 좋다. 또한 SMG-11에는 수직 손잡이와 컴펜세이터가 달려 있어 반동 역시 잡기 수월하다. 게다가 강화벽 페널티가 사라졌고 도구의 선택 폭이 넓어져서 활용도가 높아졌다. 특히 방어팀의 가장 강력한 가젯인 이동식 방패와 C4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상당한 강점이다. 사이트 내에서 공사를 담당할 수도 있고 2속이지만 무기군이 좋아 로밍에도 상당히 쓸만한 게 장점. 다만 총기 부착물이 약간 아쉬운 편으로, M870에 레이저가 달려 있지 않고, SMG-11에는 호불호가 갈리는 기본형 레드 도트 A가 부착되어 있다.

여담으로 과거 워든의 성능이 처참하던 시절에는 예비 병력보다도 못하다는 드립이 유행했다. 현재는 워든의 지속적인 버프와 다른 오퍼레이터의 너프로 인해 해당 드립은 잘 나오지 않는 편이다.[15]


[1] 승격시 각 분대의 분대장들이 심사와 평가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스트라이커 배경 설정으로 람 역시 정식 전문 대원이 아닌 예비병력으로 활동할 예정이였으나, 상술할 사건에 휘말렸음에도 불구하고, 침착함과 냉정함을 유지하고 데이모스의 전투헬기를 격추시키고 비질과 함께 잔존병력을 제거, 데이모스의 다음 공격 예정지와 타겟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는데 성공하여 정식 전문 대원으로 편입되었다. 현재까지 밝혀진 상태로는 람이 유일하나, 다른 정식 오퍼레이터 역시 예비병력으로 활동하다 정식 오퍼레이터로 승격되었을 가능성 역시 생겼다. 이를 통해 야나와 같이 실제 작전 수행에 의구심이 드는 오퍼들도 이런 형식으로 능력을 인정받아 정식 대원으로 편입되었다 가정할 수도 있다. [3] 영어 원문은 Available and reliable. 실제로 게임 내에 이렇게 적혀있다. 이 내용으로 볼 때 레인보우 소속은 아니고 PMC에서 고용한 용병일 가능성도 있다. [4] 레인보우 식스 초기작에서부터 쓰이던 대테러부대 디자인으로, 당시에는 모든 네임드 대원이 전사하면 어쩔 수 없이 써야 하는 평이한 능력치의 클론 병사들이었다. [5] 다만 이 경우에도 버그로 인해 구매한 오퍼가 잠긴 상태라거나, 그 어떤 오퍼레이터도 구매하지 않은 경우 예비 병력밖에 없기에 이 경우만 선택이 가능하다. [6] 개편 전 2속 예비 병력이 FBI SWAT밖에 없기도 했고 예비 병력으로 게임을 해도 FBI SWAT 미션이 완료되는 것을 보면 게임 시스템 상으로는 FBI SWAT 소속으로 추측된다. [7] 후속겸 외전인 익스트랙션에서 그리드락이 코만도를 사용했지만 모지와 동일한 모션을 사용했다. 사실 설정상 모지는 레인보우 내에서도 성격이 특이한 편이고 역동적인 장전 모션에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 있는건데 예비 병력은 숙련된 전문 대원인 모지와 달리 각 잡힌 훈련병이니 모지와 동일한 모션을 사용했으면 그거대로 문제였을 것이다. [8] 설정상 기존의 도구 제한은 레인보우에서 자립심과 적응력을 기르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한했으나, 현재와 같이 제한을 해제한 이후로 오히려 예비 병력의 사기가 올랐다고 한다. [9] 이는 레식이 5VS5의 한계로 보인다. 외벽의 존재로 외벽을 뚫어야하는 맵의 경우 하드브리처+대처+엔트리+버티컬 및 소프트 브리처 오퍼는 일단 필수로 짜고 본다. 여기에 해치 하나를 뚫기 위해 또 다른 서포팅 이나 엔트리 오퍼를 제외하고 예비병력을 넣는 선택치가 많지가 않다. [10] 라이트 아머일 경우 방어구를 착용하지 않고, 미디움 아머일 경우 방탄 조끼를 입으며, 헤비 아머일 경우에는 어깨보호구가 생기고, 등부분에 방탄 플레이트 주머니가 생기는 사소한 변화가 있다. 하지만 현재는 2갑으로 고정됐기 때문에 중장갑 예비 병력을 볼 수 없다. [11] 단, 소속 부대에 상관없이 방패를 들면 1 속도로 고정된다. [12] 방패 오퍼레이터인 몽타뉴, 퓨즈, 블리츠는 수류탄이 없다. [13] 단 이하 차트에서 몽타뉴와 블리츠는 방탄 방패로 간주한다. [14] 혹은 수류탄과 연막탄을 들고 연막 러쉬를 뛰기도 한다. [15] 예비 병력의 무장을 보면 주무기는 기관단총과 산탄총, 보조무기는 권총과 기관권총으로, 이는 워든의 무장과 비슷하다. 워든과 예비 병력의 무기를 비교하면 MP5K는 물총 소리 듣는 MPX보다 훨씬 쓸만한 기관단총이고 산탄총은 M590A1도 좋은 산탄총이지만 M870은 주무기 산탄총 중 대미지가 가장 높은 우수한 산탄총이었다. 보조무기는 좌우 반동이 강한 SMG-12보다 SMG-11의 반동이 더욱 안정적이라 2속도마저 똑같은 워든은 특수 능력은 애매한데 무기마저 예비만 못하다고 부관참시를 당했다는 농담도 나왔다. 또한 예비 병력은 방탄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막 투시라는 워든의 능력을 어느 정도는 대신할 수도 있다. 이후 워든의 MPX에 1.5배율이 추가되고, 섬광탄이 버프를 받고 스마트 안경 지속 시간이 10초에서 20초로 늘어나면서 섬광 카운터인 워든을 픽할 가치가 늘어나게 되어 워든이 예비 병력보다 못하다는 드립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하지만 워든이 이후 1속으로 롤백되고 1.5배율마저 삭제되면서 픽률이 줄긴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27
, 4.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2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