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02:41:15

도이 쇼스케

도위창에서 넘어옴
도위창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롯데우승엠블럼V1.jpg 파일:롯데우승엠블럼V2.jp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1984 1992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초대 2대 3대 4대
박영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3)
감독 대행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6)
성기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어우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rowcolor=#ed1c24> 5대
6대
7대
김진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
감독 대행
도위창 파일:일본 국기.svg
(1990)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8)
감독 대행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rowcolor=#000> 8대 9대
10대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감독 대행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감독 대행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백인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감독 대행
김용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로이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2008~2010)
양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rowcolor=#fff> 15대 16대
17대
18대
김시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조원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8)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감독 대행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파일:롯데 자이언츠 워드마크.svg
허문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2021~2023)
감독 대행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4번
결번 도위창
(1984~1987)
이재성
(1988~1991)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7번
김청옥
(1987~1989)
도위창
(1990~1992)
김봉근
(1993~1998)
}}} ||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348919_STD.jpg
롯데 자이언츠 수석 코치 시절
도이 쇼스케
[ruby(土居, ruby=どい)] [ruby(章助, ruby=しょうすけ)] | Shosuke Doi
등록명 도위창 (都偉彰)
출생 1937년 9월 3일 ([age(1937-09-03)]세)
고치현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조토 고등학교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56년 ( 고쿠테츠)
소속팀 고쿠테츠 스왈로즈 (1956~1960)
요미우리 자이언츠 (1961)
다이마이 오리온즈 (1962~1963)
지도자 롯데 오리온즈 코치 (1972~1975)
롯데 자이언트 코치 (1976~1980)
롯데 오리온즈 코치 (1983)
롯데 자이언츠 수석코치 (1984~1987)
롯데 오리온즈 수석코치 (1988~1989)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1990)[1]
롯데 자이언츠 감독대행 (1990)[2]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1991~1992)
중신 슝디 엘리펀츠 타격코치 (1993~1996)
가오핑 레이공 타격코치 (1997~1999)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3] 야구인.

우리나라에서는 '도위창'이라는 등록명으로 활동하였다.

2. 선수 경력

1937년 일본 고치현 태생으로, 죠토 고등학교(현 고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6년 고쿠데츠 스왈로즈에 입단하여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이마이 오리온즈를 거치며 1963년 까지 현역으로 뛰었다.

주 포지션은 유격수였으며 프로 통산 성적은 526경기 출장, 177안타, 타율 0.194, 10홈런, 47타점, 51도루.

3. 지도자 경력

파일:external/www.jiji.com/photo04l.jpg
롯데 오리온즈 코치 시절[4]

은퇴 후 오사와 케이지, 카네다 마사이치 감독 휘하에서 롯데 오리온즈의 스카우트와 코치, 2군 감독으로 재임했고, 롯데의 1974년 일본시리즈 우승에 한 몫 했다.

1975년 한국 롯데그룹 실업야구 롯데 자이언트를 창단하면서 롯데 오리온즈에 코치 파견을 요청해 왔고, 이듬해인 1976년 도이 코치를 보내면서 한국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실업 롯데 코치 시절 그는 도이 쇼스케라는 본명을 썼지만, 1984년 롯데 자이언츠의 수석 코치로 한국에 들어왔을 때부터는 도위창[5]이라는 한국 이름으로 선수들을 지도하였다.

1980년 일본으로 돌아간 도이는 다시 롯데 오리온즈의 스카우트와 2군 감독을 역임했고, 한국프로야구 출범으로 실업 롯데가 해체되고 프로팀으로 재편된 롯데 자이언츠가 도이 쇼스케에게 러브콜을 보냈다. 1984년 시즌 정식 감독에 취임한 강병철[6]이 코칭스태프를 구성하면서 한국 생활 경험이 있는 도이에게 코치로 오지 않겠냐며 제의했는데, 도이는 이를 수락하여 다시 롯데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도이는 선수들의 기술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며 롯데가 그해 1984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두기까지 수석 코치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였다.[7]

당시 감독이던 강병철이 이후에도 "1984년의 우승에는 도위창의 역할이 컸다" 고 공공연히 말했고, 선수로 뛰던 김용희 또한 "도위창 코치는 누구보다도 야구에 대한 열정이 뜨거웠고, 야구를 보는 눈이 굉장히 예리했다" 라고 존경의 뜻을 표할 정도였다.

1986년 시즌 후 강병철이 계약 만료로 물러나면서 감독으로 취임한 성기영 밑에서 1시즌을 더 코치로 활동한 도이는 1987년 시즌을 마치고 일본 롯데로 복귀하여 1988~1989년 수석 코치를 맡았지만 팀은 2년 연속 최하위에 그쳤다. 이후 1990년 롯데 자이언츠 코치로 다시 한국에 왔는데, 감독이던 김진영이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으로 중도 퇴진하면서, 도이가 감독 권한 대행으로 잔여시즌을 마무리하였다.
역대 전적
경기
총계 24 8 15 1
그해 시즌 후 롯데의 후임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의 경험이 풍부한 도이를 정식 감독으로 올리려는 구단의 검토가 있었고 실제로 롯데가 KBO 측에 "규정 상 외국인이 감독을 맡으면 안 된다는 내용이 있는가?" 라고 정식으로 문의하자 KBO는 그런건 규정에 없다고 회답했다는 얘기도 있다. 그렇지만 당시 야구계 정서상 외국인 특히 일본인이 감독 자리에 오르는 것은 용납이 어려웠던 시기라[8] 결국 빙그레 이글스 코치를 그만둔 강병철이 감독으로 재영입되었다. 도이는 다시 강병철과 함께 2년을 롯데에서 활동했고, 1992년 두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의 감격을 맛본 후 그 해를 마지막으로 한국 야구와의 인연을 접었다.[9]

파일:cRL8U5G.jpg
대만 프로야구 슝디 엘리펀츠 코치 시절.

1993~1997년까지 슝디 엘리펀츠 타격 코치 등 대만 프로야구에서도 지도자로 활약하며 한국, 일본, 대만 3국의 프로야구를 전부 경험하기도 했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8월 27일 [2] 8월 28일~ [3] 도위창이라는 한국식 등록명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송일수처럼 재일교포 혹은 한국계 일본인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으나, 순수 일본인이다. [4] 1969~1972년 당시 롯데의 유니폼은 팔 왼쪽의 오리온즈 로고와, 앞면의 LOTTE 로고를 빼곤 아무것도 없는 단색 유니폼이었다. 이후 1973년 시즌부터 지바 롯데 마린스로 바뀌기 전까지 롯데 자이언츠와 같은 디자인의 유니폼을 착용했다. [5] 한자는 都偉彰. 성과 이름의 앞글자는 본명 발음에서, 뒷글자는 본명의 이름자에서 따온 것. [6] 1983년 시즌 중 박영길이 감독에서 해임되며 권한 대행으로 그해 시즌을 마쳤다. [7] 참고로 이 때 롯데는 6개 구단 중 투수코치가 없는 유일한 팀이어서 도이가 투수코치 역할까지 대행했다. 도이의 회고에 따르면 1984년 한국시리즈 7차전 당시 컨디션 점검 차 마운드를 방문한 도이에게 최동원이 "코치님 배가 고프네요"("힘이 드네요"라는 의미로 말한 듯)라고 하자, 도이 코치는 "아 그래? 이제 2이닝도 안 남았다. 힘을 내거라!" 라고 격려해 주었다고 한다. [8] 그래도 롯데는 도이 쇼스케 이후 1990년대 초반 미국인 코치 조 알바레즈를 영입했었고, 후일 도이 쇼스케 이후 최초의 정식 외국인 감독인 제리 로이스터를 비롯해 래리 서튼을 감독으로 영입하는 등 감독의 문호를 외국인에게도 열어젖히는데 그나마 가장 적극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9] 1992년 한국시리즈 항목에 나와있는 우승 당시 선수들에게 헹가래 받고 있는 사람이 바로 도이 코치이다. 강병철 감독과 함께 롯데의 단 두 번 밖에 없는 우승을 견인한 지도자로서 올드 롯데 팬들 및 선수들에게는 그야말로 각별한 존재였다. 한국프로야구 지도자의 마지막 시절을 우승으로 장식하며 말 그대로 박수칠 때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