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7:52

대만-과테말라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볼드체 표시는 대만의 수교국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아프리카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트메 프린시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다자관계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대만·일본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 ||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대만 과테말라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대사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만 과테말라의 관계.

대만이 유엔에서 퇴출당하고 중국의 외교적 공세로 수교국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과테말라는 9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수교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재 대만의 수교국들 중 가장 수교 기간이 오래된 수교국이다. 그 전에는 파나마가 무려 청나라 시절인 1909년부터 맺어 기간이 길었지만 2017년 6월에 파나마가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하면서 깨지게 된다.

과테말라는 대만의 12개 수교국들 중 가장 많은 인구와 큰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이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대만과 과테말라는 국부천대 이전인 1933년 국민정부 시절 외교관계를 맺었다.

과테말라 내전 당시 대만은 과테말라 정부를 지원해주었다.

2.2. 21세기

21세기 들어 대만과 수교를 유지하고 있지만 과테말라 역시 대만과 단교할 뻔한 순간이 있었다. 과테말라의 경우 인구가 1800만명으로 대만의 13개 수교국들 중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어 중국이 끊임없이 경제적으로 유혹하고 지미 모랄레스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면서 곧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하지만 1800만의 인구를 보유한 과테말라가 중국과 수교했다간 대만에게 큰 타격이기 때문에 차이잉원 총통이 과테말라로 급히 날아가 지미 모랄레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어 과테말라 커피무역 확대와 관세 철폐라는 조건을 내걸며 막은 전력이 있는 만큼 위기가 있었다.

2020년 이후로 양국의 사이가 다시 안정적이다. 알레한드로 잠마테이 대통령 당선인이 대만을 방문하였고 차이잉원 총통과의 회담에서 대만과의 협력을 약속했으며 외교관계를 유지할 것을 밝혔다. 중국이 코로나19가 발병하고 과테말라 위쪽 북미 대륙에는 중국과 패권 경쟁중인 미국이 위치해있으며 2020년 미국에서 타이완 동맹 보호법이 통과되어 미국과 대만 양쪽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기에 과테말라 정부는 대만과 외교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2년 6월에는 알레한드로 잠마테이 대통령이 직접 '과테말라는 하나의 중국을 인정할 것이며, 그 중국은 대만이다'라는 발언을 공식적으로 함으로서, 중국과 수교할 계획이 없음을 밝혔다. #

2023년 4월 25일, 대만을 방문 중인 알레한드로 잠마테이 대통령이 대만은 형제국이자 동맹국이라며 ' 대만 공화국'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

2023년 8월 21일, 대통령 선거에서 중국과 무역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베르나르도 아레발로가 당선되면서 중국과 수교할 것으로 예측되나 아레발로 본인은 중국과의 교류를 주장하면서도 대만과의 단교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아레발로 당선인은 본인캠프와 대만정부가 괜찮은 관계를 유지한다고 밝혔으며 대만과의 수교를 유지하면서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시도하는 투트랙전략을 시도할 것이라고 외신들에게 밝혔다.

아레발로 당선인이 대만과의 단교를 시도하는 건 온두라스와 달리 어려운 게 아레발로 당선인의 정당이 과테말라 의회에서 고작 32석을 차지하는 소수정당인데가가 과테말라 검찰이 집중적으로 본인을 조사하고있어 마음대로 단교를 할 수가 없다.

3. 대사관

외교관계를 맺은 만큼 타이베이에는 주 중화민국 과테말라 대사관이, 과테말라의 수도인 과테말라시티에는 주 과테말라 중화민국(타이완) 대사관이 위치해 있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