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07:44:30

대구 버스 646, 646-1

대구 버스 646/646-1에서 넘어옴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입석
·
간선
좌석
지선
출근
맞춤
셔틀
버스
}}}}}}}}} ||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및 특징
3.1. 구 120번3.2. 구 121번
4. 연계 철도역5.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일반버스 646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월성지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월성지구)
종점행 첫차 05:20 기점행 첫차 -
막차 22:20 막차 -
평일배차 15분 주말배차 15분
운수사명 경신교통, 성보교통[A] 인가대수 10대
노선 월성지구 → 달서구청 → 본리네거리 → 성당주공아파트 → 원화여고 → 감삼네거리 → 평리네거리 → 서구청 → 비산네거리 → 북비산네거리 → 시민회관 대구역 → 신천교 → 고속터미널 동부정류장 → 법원 → 범어네거리 대구은행본점 → 대봉교 남구청 영대병원 서부정류장 → 본리네거리 → 달서구청 → 월성지구
대구광역시 일반버스 646-1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월성지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월성지구)
종점행 첫차 05:20 기점행 첫차 -
막차 22:20 막차 -
평일배차 15분 주말배차 15분
운수사명 경신교통, 성보교통[A] 인가대수 10대
노선 월성지구 → 달서구청 → 본리네거리 → 서부정류장 → 영대병원 → 남구청 → 대봉교 → 대구은행본점 → 범어네거리 → 법원 → 동부정류장 → 고속터미널 → 신천교 → 대구역 → 시민회관 → 북비산네거리 → 비산네거리 → 서구청 → 평리네거리 → 감삼네거리 → 원화여고 → 성당주공아파트 → 본리네거리 → 달서구청 → 월성지구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지구(6)에서 범어네거리(4)을 거쳐 월성지구(6)까지 운행했던 대구광역시 일반버스.

3. 역사 및 특징

1998년 개편 전에는 120번과 121번이었고 두류네거리에서 원화여고를 순환하여 다시 두류네거리를 지나는 구간 왕복노선이었으나, 서부정류장에서 두류공원 구간을 자르고 북비산네거리-원대오거리-시민운동장 구간을 미경유하는 노선으로 직선화하여 운행 거리와 시간을 줄였다.

배차간격이 길고 승객이 많은 편은 아니었지만 명덕로 서부정류장을 오가는 수요가 많았다. 반면 북비산로-태평로-동부로 구간은 수요가 적은 편이었다. 다만 동부로 구간 중 동인네거리~ 신천네거리 구간은 한때는 단독구간이었다. 정확하게는 1998년 6월 개편 때부터. 1998년 개편 전에는 66번, 331번 등이 다녔고, 1998년 개편 후에도 149번, 404번, 601번 등이 더 있었지만, 이 노선들이 폐선 또는 노선 변경으로 인해 이 구간을 떠나면서 단독구간이 되어버린 것. 같은 해 9월부터 131번이 들어오고[3] 1999년 1월에 414번이 신설되면서 들어오고, 그 후 신천교 동쪽 구간 한정으로 435번도 들어오면서 버스 노선이 늘어났고, 2006년 개편 이후로는 버스 노선들이 그럭저럭 다양해졌다.

2호선 개통 및 환승할인제 시행에 따른 버스개편에 맞추어 수요 부족으로 646(-1)번 노선은 폐선되었다. 651번 달서4(-1)번이 대체하고 있다.[4]

3.1. 구 120번

운행 경로: 대곡지구 - (?) - 상인네거리 - 달서구청 - 본리네거리 - 동본리네거리 - 제일여상 - 금봉네거리 - 서부정류장 - 안지랑네거리 → 영대병원 → 명덕네거리 → 대백프라자 → 대구시교육청 → 범어네거리 → MBC → 동부정류장 → 고속터미널 → 상공회의소 → 동신교 → 중앙네거리 → 대구역네거리 → 시민운동장 → 고성네거리 → 북비산네거리 → 평리네거리 → 삼익뉴타운 → 두류정수사업소 → (원화여고 입구 삼각교차로 끼고 U턴) → 감삼네거리 → 두류네거리 → 두류공원 → 안지랑네거리 - 대곡지구

엄청난 굴곡 노선을 자랑하던 장거리 순환형 노선. 동본리네거리에서 바로 직진하면 서부정류장으로 갈 수 있지만 여기서 좌회전해서 성당주공아파트[5]와 금봉네거리를 찍고 서부정류장으로 갔다. 여기부터 영대병원을 거쳐 명덕네거리까지는 그냥 평범한 구간이지만 명덕네거리에서 그대로 직진하면 대구역네거리로 갈 수 있지만 여기서 우회전해서 크고 아름다운 역ㄷ자를 그렸다.

명덕로를 따라 가다가 범어네거리를 거쳐[6] MBC로 갔다. 여기서도 동부정류장과 고속터미널이라는 대수요처를 그냥 놓칠 수는 없는지 동부정류장과 고속터미널, 상공회의소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서 국채보상로로 진입했다. 그리고 대구역으로 간 뒤 태평네거리에서 이번에도 야구장 축구장 수요를 놓칠 수 없는지 북쪽으로 살짝 우회해서 북비산네거리로 진입했다. 그리고는 서대구로를 따라 가다가 이번에는 경덕여고, 원화여고, 경화여고, 상서고, 달성고 등 통학수요를 놓칠 수 없는지 삼익뉴타운으로 들어간 뒤[7] 감삼네거리를 통과한 다음 원화여고 앞 삼각 교차로를 끼고 U턴해서 다시 감삼네거리와 두류네거리로 왔다.[8] 여기서부터는 두류공원로를 따라 안지랑네거리로 간 뒤 왔던 길을 따라서 종점으로 갔다. 그리고 개편 후 다시 삼익뉴타운 경유는 폐지하고 두류네거리에서 감삼네거리로 와서 좌회전하여 원화여고 입구만 거쳐서 바로 성당주공네거리(現 두류시장네거리)로 하여 본리네거리로 거쳐서 종점으로 갔다. 1회당 운행시간은 3시간을 훌쩍 넘겼을 것으로 추정되며 배차간격도 긴 편이었다.

3.2. 구 121번

운행경로: 설화동 - (?) - 상인네거리 - 송현여고 - 남부교육지원청 - 서부정류장(관문시장) - 안지랑네거리 - 두류네거리 - 감삼네거리 - (?)[9] - 삼익뉴타운 (이상 위 120번의 역순으로 운행)
120번의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 달서구 구간이 120번과 달리 송현여고를 경유했다.

90년대 중반 75번이 편도로 송현여고로 들어오기 전까지는 이쪽이 단독구간이기도 했다. 역시 120번과 마찬가지로 굴곡 노선의 끝판왕이었다.

4. 연계 철도역

5. 관련 문서



[A] 2006년 개편 전까지는 공동배차제 시행으로 고정 배차 회사가 따로 없었다. 여기서 기준은 폐선 당시 운행했던 운수회사 기준으로 설명한다. [A] [3] 배차간격이 길고 편도운행 구간이긴 했다. [4] 다시 말해 651번 감삼네거리 서구청을 경유하지 않기에 646(-1)의 대체 노선은 아니다. [5] 성당 래미안 e편한세상. [6] 중간에 우방궁전맨션이 아닌 대구시교육청을 경유했다. 반대편 121번도 대구시교육청을 경유하다가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해 대구은행네거리에서 좌회전이 금지되면서 수성4번처럼 동일초교와 수성시장을 경유해서 명덕로를 진입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7] 삼익뉴타운 경유는 1990년대 중빈부터고, 그 전에는 두류네거리까지 내려와서 감삼네거리와 원화여고를 찍고 다시 두류네거리로 나왔다. [8] 이유는 서부공고와 원화여고의 통학 수요로 감삼네거리에서 두류네거리 방향으로 당시 좌회전이 안되어 원화여고 삼각 교차로를 끼고 U턴해서 서대구세무서까지 찍고 감삼네거리로 돌아온 것. 구지 통학 수요만 아니라면 곧바로 신평리네거리에서 삼익뉴타운 안거치고 바로 두류네거리로 직진했을 것이였다. [9] 현. 서부공업고등학교로 추정되나 정류소명이 명확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