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입석 · 간선 |
||
좌석 | |||
지선 | |||
출근 맞춤 |
|||
셔틀 버스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35번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영진교통[1][2])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계명대학교동문)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30 | 막차 | - | ||
평일배차 | 분 | 주말배차 | 분 | ||
운수사명 | 공동배차 | 인가대수 | 대 | ||
노선 | 파동(가창교 부근) - 들안길삼거리 - 범어네거리 - 동신교 - 칠성시장 - 달성네거리 - 큰장네거리 - 구.대영학원 - 서도초교 - 삼익뉴타운 - 대구의료원 -(죽전119안전센터 ←/→ 죽전성당[3]) - 용산네거리 - 성서초교 - 성서주공1단지 - 계명대학교동문 |
2. 개요
3. 역사
- 435번은 신설 당시부터 배차간격이 20분 가까이 되는 데다가 동산네거리 ~ 414(-1)번 구간 ~ 동구시장 ~ 효신네거리 ~ 범어네거리 ~ 들안길삼거리를 거쳐 파동으로 가는 장거리 굴곡 노선이었기 때문에 승객이 적었다. 성서 방면 운행 시 대구의료원을 지난 후 대구의료원 네거리 앞에 있는 정말 좁디 좁은 죽전길로 꾸역꾸역 그 큰 대형버스를 집어 넣으며 달구벌대로로 나왔다.[4] 이 선형은 운전 환경도 제법 불편하여 도로 폭이 좁아 불법주정차 차량 문제와 보행자와의 사고 위험이 높았고, 편도 운행에 따른 불편으로 이어졌다.
- 2004년 2호선 공사 당시 파동 방면에 한해 죽전네거리와 감삼네거리에 동시에 좌회전이 일시적으로 금지되어 435번이 한동안 구병원 인근에서 U턴하여 와룡로( 중소기업은행 죽전동지점)(계대 본 노선)와 연지무도관 골목(이천리 지원 노선)으로 편도 운행했다. 435번의 이천리 지원운행 차량은 파동방향도 연지무도관 골목으로 들어갔었다. 중리동 방향의 좌회전이 허용된 것은 2호선 개통 후 몇 달 지나서였다.[5]
- 2006년 2월 개편 때 폐선되었다. 435번 이천리 지원운행 구간은 성서3번에 넘겼다.
4. 특징
5. 연계 철도역
폐선일 기준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칠성역,
대구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범어역,
죽전역,
용산역,
이곡역,
성서공단역,
계명대역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대구역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
*
*
6. 관련 문서
[1]
당시 용계리 가창교 부근에 있었던 파동 종점이다.
[2]
영진교통은 삼산리에서 북구 검단동
성보교통 부근으로 이전했고, 이후 북구 동호동으로 다시 이전했다.
[3]
이천리 지원 노선은 양방향 운행 다만 죽전네거리에서 파동 방향은 구병원 앞에서 U턴하여 들어갔다.
[4]
죽전길 구간 정류장명은 "죽전성당"과 "연지무도관"이었다.
[5]
2006년 개편 때 435번을 비롯한 대부분의 노선이 도로 폭이 15m 이하인 도로에서 철수하였고, 큰 도로 위주로만 다니게 됐다. 하지만 이런 도로를 커버해야 할 마을버스인 지선버스들마저 대형버스로 운행하며 큰 도로로 다녀서 담당부서는 역시 시민들에게 까이고 있다(...) 달서3번이 한동안 월성우방타운 옆의 좁은 길로 다닌 적이 있었지만, 이 구간 역시 월성네거리 경유로 변경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