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18 01:55:03

난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8A2C8 0%, #C8A2C8 20%, #C8A2C8 80%, #C8A2C8);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임시 제3대 말대
성무제 혜민제 창려왕 소무제 소문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37 0%, #233067 20%, #233067 80%, #000037);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모용부 慕容部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막호발 모용목연 모용섭귀 무선제 문명제
전연 前燕
초대 제2대 제3대
문명제 경소제 헌무제
서연 西燕 후연 後燕
초대 제2대 초대 제2대
열문제 위제 성무제 혜민제
임시 제3대 임시 제3대
단수 모용의 창려왕 소무제
제4대 제5대 제4대
민제 모용충 소문제
제6대
하동왕
남연 南燕 북연 北燕
초대 제2대 초대 제2대 제3대
헌무제 말주 혜의제 문성제 소성제
토욕혼 吐谷渾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토욕혼 토연 쇄해 엽연 시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시비 오흘제 수락간 아시 모괴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모리연 섭인 도이후 부연수 과여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세부 부윤 낙갈발
}}}}}}}}}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제호 창려왕(昌黎王)[1]
연호 청룡(靑龍, 398년)
성씨 난(蘭)
한(汗)
생몰년도 ? ~ 398년
재위 기간 398년

1. 개요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중국 5호 16국시대, 16국중 하나인 후연의 비정통 황제였다.

폐주이기에 묘호 시호는 없다. 제호(帝號)는 창려왕(昌黎王)이었다. 자신의 딸 둘을 모용해(慕容楷)와 열종 혜민제 모용보에게 시집보냈으며, 형 난제(蘭堤), 동생 난가난(蘭加難)과 함께 모용씨 황실의 외척으로 세조 성무제 모용수로부터 신임을 받았던 평범한 외척이었다. 용성에 주둔하던 모용회(慕容會)의 반란[2]을 물리치는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398년 혜민제 모용보는 중신들이 반대하는데도 불구하고, 북위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남은 세력을 이끌고 남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을연(乙連)에 이르렀을 때 단속골(段速骨)이란 자가 반란을 일으켜 다시 용성으로 돌아가야 했다.

그런데 난한은 사실 단속골과 한패였다. 5월에 용성으로 돌아온 난한은 혜민제와 그의 태자인 모용책(慕容策)을 시해하고 마침내 자신을 '창려왕'이라 칭한 후 제위에 올랐다. 그의 아들인 난목(蘭穆)은 아버지가 황제가 되자 잠시동안 태자로 책봉되었다.

어째서인지 난한은 자신의 사위이자, 혜민제 모용보의 서장자인 모용성(중종 소무제)만큼은 죽이지 않고 남겨놓았는데, 모용성은 황실 복고를 위해 난한과 그 형제들 사이를 이간질하여 갈라놓았다. 398년 7월 모용성이 정변을 일으키면서 난한은 일족과 함께 목숨을 잃었고, 이후 모용성이 제위에 오르게 되었다.

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8A2C8 0%, #C8A2C8 20%, #C8A2C8 80%, #C8A2C8);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임시 제3대 말대
성무제 혜민제 창려왕 소무제 소문제
}}}}}}}}}


[1] 자칭. 특이하게도 황위를 찬탈해놓고도 제(帝)의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유목민족 국가들의 칭호인 선우보다 더 격이 높은 대선우를 칭했고, 대장군으로도 칭했다. [2] 용성을 포위하고 자신을 태자로 삼을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