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8:33:27

주여, 이제는 여기에

금관의 예수에서 넘어옴
김민기의 작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민기 1집 (1971年)
친구 아하 누가 그렇게 바람과 나
저 부는 바람 꽃 피우는 아이
아침 이슬 그날 종이연
눈길(연주곡) 세노야* 4월**
김민기 전집 1 (1993年)
가을편지 내 나라 내 겨레 두리번 거린다
꽃 피우는 아이 아침 이슬(연주곡) 아침 이슬
잃어버린 말 아름다운 사람 그날
친구 잘가오 Morgentau
김민기 전집 2 (1993年)
새벽길 나비
혼혈아(종이연) 그사이 고향 가는 길
철망 앞에서 눈산 차돌 이내몸
아무도 아무데도 바다 눈길(연주곡)
김민기 전집 3 (1993年)
상록수 기지촌 가뭄
식구생각 서울로 가는 길 늙은 군인의 노래
강변에서 주여, 이제는 여기에 소금땀 흘리흘리
밤뱃놀이
김민기 전집 4 (1993年)
봉우리 아하 누가 그렇게 백구
작은 연못(연주곡) 날개만 있다면 작은 연못
인형 고무줄 놀이 천리길
아침(연주곡)
그 외 나무위키에 등재된 작품
소리굿 아구 공장의 불빛 이 세상 어딘가에
노래를 찾는 사람들 1 지하철 1호선 의형제
*갈색 재킷 버전에서 꽃 피우는 아이가 빠지고 들어간 곡. }}}
김민기 버전 양희은 버전
1. 개요2. 창작 계기3. 금관의 예수의 의미4. 가사

1. 개요

1973년 김민기 김지하의 연극 금관의 예수에 쓰일 노래들의 작곡을 도우면서 작곡한 곡. 1976년 7월 발매된 양희은의 앨범 <양희은 Best>에 '주여 이제는 그곳에'라는 제목으로 처음 발표되었고, 김민기 버전은 1993년 <김민기 3> 수록곡으로 발표되었다.

2. 창작 계기

1971년, 박정희 긴급조치에 의해 운동권이 자주 열창했던 아침 이슬을 비롯한 김민기의 모든 음반, 앨범에 방송금지 처분이 내려졌다. 그런 그의 앞에 홀연히 김지하가 나타났고, 그는 김민기를 도우며 때로는 야학 활동을 하기도 했다. 이후 김민기는 스스로 김지하로 하여금 "내겐 친형 이상이었다", "나에겐 한글의 생동성을 깨우쳐준 사람"라고 묘사할 정도로 친해졌는데, 이후 2년 뒤인 1973년에 김민기가 김지하의 연극 금관의 예수에 쓰일 노래들의 작곡을 도우면서 창작된 곡이 바로 이 곡이다.[1] 이러한 행적을 통해 김민기는 연극, 희곡에 대한 가르침을 얻게 되고, 5년 뒤 노동 운동계에 길이 남을 명작과 그 후 다시 몇 년 뒤에는 대한민국 최다 상연 뮤지컬을 제작하게 된다.

3. 금관의 예수의 의미

천주교에서 금관의 예수는 예수에 대한 최대한의 영광을 나타내는 수식어이다. 물론 후술할 가사를 보면 알겠지만 이는 반어법이고, 이 노래에서의 '금관의 예수'는 '얼어붙은 벌판', '가난의 거리'의 '우리'가 자신들의 처지를 비관하며, 예수에 대한 원망이 섞인 말이다.[2] 인간의 고통과 고난과 죄을 대속하기 위해 '가시 면류관'을 쓴 예수가 아니라, 돈과 권력의 상징인 '황금관'을 쓴 예수라는 뜻.

다만, 그렇다고 종교 자체를 비판하는 내용보다는 일부 종교인들의 가식적인 행태를 비판하는 내용에 가깝다. 실제로 이런 의미로 양희은, 윤종신 등 여러 기독교 신자인 가수들이 부르기도 했다. 따라서 종교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보는 게 맞다. 때문에 제목만 보고 이 노래가 찬송가인 줄 알았던 이들은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와 예수를 원망하는 가사를 보고 이상함을 느끼는 경우도 더러 있다. 당장 유튜브의 금관의 예수 댓글을 봐도 찬송가인 줄 알았는데 들어보고서 아니란 걸 느끼게 된 사람이나, 노래를 듣고도 찬송가가 아니란걸 못 느껴서 예수를 찬양하는 이들도 몇 있다. 사실 본래 연극의 의도 등을 생각해보면 예수보다도 예수의 뜻을 따르지 못하는 종교인들을 원망하는 것에 가까우니 이런 관점에서 감상하는 게 맞다.

다시 말해 제목은 신적인 존재를 담고 있으나, 역설적이게도 가사는 힘들고 험한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과, 그들을 외면하는 종교에 대한 이야기이다. 가난과 폭력에 시달린 그 시절의 사람들과, 가수의 삶이 살얼음판 그 자체였던 김민기의 삶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먹먹해지는 부분.

위선적인 종교 그리고 종교인을 원망한다는 의도도 있지만, 한국 천주교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주교회의나 교구에서 내는 청년성가집이나 복음성가집에 <금관의 예수>라는 제목으로 수록하고 있어, 하나의 성가로서 대접받고 있다. 사순시기나 진보적 종교집회에서 자주 들을 수 있으며, 심지어 군인성가에도 실린 적이 있다.

4. 가사

얼어붙은 저 하늘 얼어붙은 저 벌판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저 가난의 거리
어디에서 왔나 얼굴 여윈 사람들
무얼 찾아 헤매이나 저 눈 저 메마른 손길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우리와 함께 하소서 

고향도 없다네 지쳐 몸 눕힐 무덤도 없이
겨울 한복판 버림받았네 버림받았네


아 거리여 외로운 거리여
거절당한 손길들의 아 캄캄한 저 곤욕의 거리
어디에 있을까 천국은 어디에
죽음 저편 푸른 숲에 아 거기에 있을까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여기에 우리와 함께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우리와 함께 하소서 
가리라 죽어 그리로 가리라
고된 삶을 버리고 죽어 그리로 가리라
끝없는 겨울, 밑 모를 어둠 못 견디겠네
이 서러운 세월 못 견디겠네
이 기나긴 가난 못 견디겠네
이 차디찬 세상 더는 못 견디겠네
어디 계실까 주님은 어디
우리 구원하실 그분
어디 계실까 어디 계실까
기울임체 처리된 부분은 아이들이 부르는 부분. 볼드체 처리된 부분은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고, 김민기가 무덤덤하게 말하는 내레이션 부분. 혼자 부를 때는 이를 할 수 없어 볼드체 친 부분 없이 부른다. 대표적으로 양희은.


[1] 원주로 공연 가는 버스에서 즉석으로 작곡했다고 한다. 김지하와의 관계도 그렇고, 김민기의 천재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부분. [2] 이 곡을 만든 김민기가 무종교인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특정 종교에 대해 찬양을 하는 곡을 쓰는 게 더 이상하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