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2:11:08

디지몬 어드벤처: 운명적 만남

파일:9064813238978760640.png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V 애니메이션
파일:9064813238978760640.png 파일:digimon_adventure_02_logo_hd_by_nelanequin-d6ducox.png 파일:디지몬 어드벤처: Ψ-로고.png
디지몬 어드벤처
(1999~2000)
파워 디지몬
(2000~2001)
디지몬 어드벤처:
(2020~2021)
극장판
파일:디지몬 어드벤처 극장판 로고.jpg 파일:우리들의 워 게임 로고.jpg 파일:Movie_3_logo.png 파일:디아블로몬의 역습 로고.jpg
디지몬 어드벤처
운명적 만남
(1999)
디지몬 어드벤처
우리들의 워 게임!
(2000)
디지몬 어드벤처 02
전편 디지몬 허리케인 상륙!!
후편 초절진화!! 황금의 디지멘탈
(2000)
디지몬 어드벤처 02
디아블로몬의 역습
(2001)
파일:디지몬 어드벤처 트라이 로고.jpg 파일:digimon_le_logo_01.png 파일:digimon_le_logo_02.png
디지몬 어드벤처
tri.
(2015~2018)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
(2020)
극장판 파워 디지몬
더 비기닝
(2023)
코믹스
파일:Digimon Adventure V-Tamer 01 (Logo).png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 01
(1998~2003)
}}}}}}}}} ||

디지몬 어드벤처: 운명적 만남 (1999)
Digimon Adventure
デジモンアドベンチャー
파일:디지몬어드벤처극장판.jpg
{{{#!wiki style="margin: -16px -11px" 디지몬 애니메이션 극장판 시리즈
- 운명적 만남 우리들의 워 게임!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애니메이션, SF, 드라마
감독 호소다 마모루
각본 요시다 레이코
원작 혼고 아키요시
제작 야마구치 아키히코, 타카이와 탄
타마무라 테루오, 토마리 츠토무
주연 후지타 토시코, 아라키 카에, 사카모토 치카
촬영 안도 시게루
음악 아리사와 타카노리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애니메이션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온미디어, 얼리버드픽쳐스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얼리버드픽쳐스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9년 3월 6일
파일:투명.png 2023년 10월 20일( 재개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개봉[1]
상영 시간 20분
일본 박스오피스 9억 엔
국내 스트리밍
[[왓챠|
WATCHA
]]



상영 등급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관람가

1. 개요2. 특징3. 줄거리4. 사운드트랙5. 평가6. 흥행
6.1. 일본6.2. 대한민국
7. 기타

[clearfix]

1. 개요

1999년 3월 6일 개봉한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의 첫 번째 극장판이자, 디지몬 어드벤처의 프롤로그.

한국에선 2000년 KBS에서 디지몬 어드벤처 본편을 첫 방영하고, 2003년 투니버스에서 본작에 '디지몬의 탄생'이라는 부제를 붙여 더빙해 방영하였다. 하지만 원제는 별도 부제가 없다. 이는 애당초 이 영화가 TV판 제작이 확정적이지 않았을 때부터 기획되어, 이 작품만으로도 완결성을 지을 수 있도록 제작됐기 때문.

인터넷 커뮤니티 초창기 시절 일부 팬들은 팬픽에서 만든 '운명적 만남'이라는 제목으로 불렀는데, 18년 후 얼리버드픽쳐스에서 진짜 '운명적 만남'이라는 부제를 달고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과 동시에 개봉하면서 공식이 되어버렸다.

동시 상영작은 유희왕(극장판) 닥터 슬럼프: 아라레의 깜짝 부웅. DVD와 BD는 우리들의 워 게임!과 합본 출시. 2016년에 토에이 측에서 1999년부터 2006년까지의 디지몬 극장판을 합본으로 출시한 바 있다.

2. 특징

연출은 호소다 마모루. 애니메이터로는 이소 미츠오, 하마스 히데키, 아라이 코이치, 타케우치 노부유키, 이시하마 마사시, 사이 후미히데, 마스나가 케이스케 등이 참여했다. 작화로도 좋은 평을 받는 작품이다.

분위기와 작품 묘사가 TV판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TV판과는 다른 맛이 느껴진다.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훨씬 어둡고, 디지몬의 느낌 자체가 디테일해서 본편의 만화라는게 확실히 느껴지는 만화다운 그림체와는 달리 진짜 괴수를 보고 있는 느낌. 특히 작중 등장하는 그레이몬은 본편의 그레이몬과 상당히 차이가 나는데, 본편의 꼿꼿이 서고 배가 나온 우스꽝스러운 공룡의 모습이 아니라 진짜 가로로 서고 날씬하며 제대로 된 공룡, 아니 괴수처럼 생겼다.[2]

성장기 디지몬인 아구몬이 격렬하게 싸우는 것을 볼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성장기 디지몬이 이렇게 화끈하게 싸우는건 디지몬 세이버즈 극장판과 본작이 전부다.[3] 단, 디지몬 세이버즈와는 다르게 어드벤처 극장판은 아구몬이 덩치가 커져서 성장기라는 느낌이 안든다.

덧붙여 본편에서의 언급에 따르면 이 때의 코로몬은 원시종이다. 당시 디지털 월드와 현실의 시간 차이[4]을 생각해 보면 이 코로몬과 그 진화체들이 괴상하리만치 크기가 커다랬던 것도 이해가 간다.[5]

나리의 호루라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로 쓰러진 코로몬(그레이몬)이 다시 눈을 뜨게끔 한 것이다. 그 외에도 나리는 호루라기 소리로 의사 표시를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짧게 삑! 하면 긍정, 길게 삐이익 하면 부정의 뜻.

이 극장판에서 나리가 보여준 진화의 힘이 선택받은 아이들 시스템의 초석이 되었다. 한편 태일은 본질적으로 가진 성향인 용기로 아구몬을 그레이몬으로 진화시켰는데[6], 이 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게 문장이다.

3. 줄거리

작중 시점은 1995년 3월.[7] 디지몬 어드벤처의 주인공인 신태일과 그의 여동생인 신나리가 어린 시절[8] 코로몬을 만났을 때의 이야기이다. 현실 세계에 떨어진 디지타마에서 부화한 깜몬 코로몬이 되어 두 남매와 함께 지내다가 아구몬, 그레이몬으로 진화해 현실에 나타난 패롯몬과 싸우고 사라지게 된다.[9]

이 부분은 디지몬 어드벤처의 선택받은 아이들이 선택받게 된 계기가 된 사건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극장판을 보지 않고 디지몬 어드벤처를 곧바로 보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대표적인 게 21화에서 신나리가 현실 세계로 온 코로몬을 어색해하지 않는 장면[10]과 29화에서 아이들이 현실로 돌아간 직후 빛의 언덕에서 4년 전 폭탄 테러 사건의 진실을 떠올리는 장면.

본편의 사건은 현실 세계에서 폭탄 테러로 인한 일로 종결지어졌으며, 대부분의 아이들은 기억하지 못했고 그나마 정석이 기억하고 있었다. 이후 아이들은 비슷한 거구의 싸움인 가루다몬과 맘몬의 싸움을 보고서야 해당 사건의 진상을 기억해냈고, 선택받은 아이들은 공통적으로 빛의 언덕에서 그레이몬과 패롯몬의 싸움을 목격한 아이들 중 하나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파일:Wb76FMY.jpg
(일본어 원판)
그건, 아직 이른 만남이었다. 그때 우리 세계에서는 만나선 안될 괴물이었다... 그래서 지금, 나는 여기에 있다.
(한국어 더빙)
우린 너무 빨리 만났었다. 그때 우리 세상에선, 디지몬의 출몰은 충격이었다... 그래서 내가, 이곳으로 왔다.
엔딩 직전에 나오는 태일이의 대사는 디지몬 팬들에게 큰 의미가 있는 명대사이며 어린 아이의 목소리에서 소년의 목소리로 바뀌는 게 백미이다. 그레이몬을 끌어안는 태일이의 모습도 디지몬 어드벤처의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11]

4. 사운드트랙

삽입곡
Bolero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작곡 모리스 라벨
편곡 아리사와 타카노리

대표적인 삽입곡은 극장판 초반부와 전투씬 등에 삽입된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이다. 라벨의 대표적인 발레 음악이지만, 이 극장판을 본 대부분의 사람들에서는 여기에 삽입된 곡으로 더 유명하다. 이후로도 볼레로는 디지몬 어드벤처의 극장판에 단골로 사용되었다. 본편[12]에도 가끔 나온다.

ED
Butter-Fly
일본판
한국판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와다 코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영호
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치와타 히데노리(千綿 偉功)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동준
작곡 치와타 히데노리(千綿 偉功)
편곡 와타나베 체루

TV판 버전과 달리 "그래 그리 쉽지는 않겠지~"로 시작하는 하이라이트 가사 소절부터 시작하며 첫 소절 부분이 무반주로 시작하다가 하이라이트가 다시 한 번 반복되는 부분에서 반주가 삽입되는데, 영상과 시너지를 이루어서 굉장한 임팩트를 준다.[13] 이 때문인지 한국에서 Butter-Fly 하면 이 디지몬 어드벤처 극장판 버전을 더 인상깊게 기억하고 있는 팬들이 많다. 실제로 Butter-Fly가 한국에서 펀딩되어 발매되었을 때도 이 무반주 삽입판이 부제가 붙지 않은 기본형으로, 무반주 도입부 없이 곧장 본곡이 시작하는 원곡판이 외려 우리들의 워 게임 ver.라는 부제를 달고 수록되었다.

5.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없음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2.97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
평점 없음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9.1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0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75%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27889"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27889;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7889|{{{#!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6.7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3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
평점 7.58 / 10.0
기준: / ()


기본적으로 디지몬 어드벤처, 그걸 넘어 디지몬 시리즈 영상화의 첫 스타트를 잘 끊었다는 평가가 많다. TVA와 다른 작화와 분위기 때문에 취향은 갈리지만 20분짜리 짧은 분량의 극장판인지라 작화 퀄리티는 준수하다. 본편과 이어지는 설정을 충실히 담고 있고 인간과 디지몬의 첫 만남[14]을 아련하게 잘 연출했다.

특히 세기말 감성과 분위기가 매우 뛰어나 높은 평가를 받는데, 그 중 모리스 라벨 볼레로가 OST로 나오는 장면은 작화와 세련되게 잘 어우러지면서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여주며 어른이 되어 다시 보았을 때도 이 감정선을 잊지 못하게 해준다.[15]

디지몬 시리즈가 처음으로 애니메이션화된 작품이라 아구몬이나 그레이몬 같은 디지몬들도 애니화가 많이 이루어져 어느 정도 대중성에 맞춰 다듬어진 최신작과 달리 정말 초창기 컨셉트 그대로의 작화로 등장한다. 그 덕에 작중 나오는 아구몬과 그레이몬의 액션씬은 정말 거대 괴수물로 봐도 될 정도로 박력이 있다.

신태일 신나리의 어렸을 적 귀여운 모습을 잘 그려내서 좋아하는 팬들도 많다.

6. 흥행

6.1. 일본

파일:305883hxk29.png
일본판 포스터

6.2.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온미디어가 수입하여 2003년에 투니버스에서 방영했다. 그러나 하필이면 2009년에 온미디어가 오리온그룹에서 CJ그룹으로 넘어갈 때 디지몬 극장판 시리즈의 판권이 넘어가지 않았다. 온미디어 매각 협상 당시 양 그룹 모두가 세계금융위기 때문에 경영 상황이 긴박했기 때문에, 회사 매각 관련해서 판권 이전 여부에 대해 명확히 규정해두지 않아서 사달이 난 것이다.

디지몬 시리즈 뿐만 아니라 신의 괴도 잔느, 소년탐정 김전일, 원피스 같은 모든 토에이 애니메이션 계열 애니메이션의 판권들도 온미디어에서 CJ E&M으로 넘어가지 않았다. 토에이 측에서 CJ그룹으로의 판권 이전을 거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온그룹과 CJ그룹이 토에이와 협상을 해서 이전하는 판권 범위를 명확히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운 지점이다. 결국 토에이는 한국 내 판권자를 전부 상실했고, 토에이 작은 이후 한국에 개별적으로 수입된다. 토에이 작품은 1970년대부터 2003년 이전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수입하다가[16] 2003년부터 온미디어와 협상해서 극장판은 온미디어한테 넘겼는데[17], 2009년 온미디어가 CJ E&M으로 팔리면서 토에이 판권은 한국에서 증발하고 말았다.

이렇게 판권이 붕 떠 있다가 2020년 얼리버드픽쳐스[18]에 의해 모든 역대 극장판이 재수입됐다.[19]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심의는 TV판 시절의 심의를 그대로 받았고, 따라서 영화에는 적용되지 않는 7세 관람가가 지정됐다. 얼리버드 측에서는 한국어판 판권 문제 때문인지 재더빙을 하지 않고, 일본어 원판에 한국어 자막만 재수입했다.

한국에서의 극장 개봉은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과 연속 상영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2020년 5월 23~24일 이틀간 서울극장 특별상영회에서 상영이 되었으며, 2021년 2월 17일에 인연이 CGV에서 정식 개봉을 하면서 간접적인 형태지만 운명적 만남도 극장에서 정식 상영되었다.

7. 기타



[1] 2003년 5월 8일 우리들의 워 게임!과 함께 투니버스를 통해 방송하면서 처음 공개되었다. 이후 얼리버드픽쳐스에서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 특별상영회 및 영화관 개봉 당시 동시에 상영. [2] 같은 감독이 맡은 21화에서도 크기는 작지만, 아구몬의 공격 묘사가 기존의 소년물이 아닌, 이 극장판에서와 같은 괴수와 같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3] 사실 작화가 유동적인거지 아구몬이든 그레이몬이든 몸 자체는 그렇게 많이 움직이지 않는다. 특히나 아구몬의 경우 육탄전 한번 안하고 진화를 한다. [4] 현실의 1분 = 디지털 월드의 1일. 즉, 극장판이 어드벤처에서 4년 전의 시점이니, 계산해보면 디지털 월드 시점으로는 약 5760년 전이다. [5] 현실의 원시 시대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그 옛날에는 거대했던 생물들이 시대를 거치면서 점점 작아진 것. [6] 정확하게는 진화 자체는 나리의 힘으로 한 것이다. 태일이 한 건 아구몬이 가진 힘을 이끌어낸 것. [7] 디지몬 어드벤처에서 4년 전의 시점이다. [8] 작중 둘의 나이는 각각 7살, 4살이다. [9] 이때 아구몬은 파트너를 얻지 못한 탓에 회수된 것이라고 한다. 최초로 진화의 힘을 보여주고 선택받은 아이들이라는 시스템의 초석을 마련한 신나리 쪽이 디지몬의 파트너가 될 자격을 가지고 있었지만 아구몬에 걸맞는 파트너는 아직 자격을 갖추지 못한 신태일 쪽이었기 때문. [10] 코로몬을 어떻게 아냐는 태일의 물음엔 그냥 '알고 있었다'고 대답했지만. 아마 극장판 당시의 기억이 잠재적으로 남아있었던 듯. [11]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과 같이 상영할 때는 이 마지막 장면이 잘렸다. 엔딩곡인 Butter-Fly가 중복으로 나와서 그런 듯한데, 디지몬 팬들에게 반응이 굉장히 나빴다. [12] 호소다 마모루가 감독을 맡았던 21화가 대표적. [13] 이는 디지몬 어드벤처 원판에서 아포카리몬을 무찌르고 선택받은 아이들이 디지몬들과 헤어질 때 한 번 더 쓰였다. 정확히는 마지막 장면에 미나의 모자가 날라가는 장면에서 재생된다. [14] 설정상 첫 만남은 아니다. 엄밀히 따지면 어드벤처 본편 세대의 선택받은 아이들과 디지몬의 첫 만남이다. [15] 이후 볼레로는 어드벤처 시리즈를 상징하는 OST중 하나로 자리잡았고 다른 어드벤처 시리즈에서도 한번쯤 꼭 등장한다. [16] 일부는 MBC SBS에서 방영한 것도 있다. [17] 본편의 방영권은 당시 디지몬 시리즈 판권을 가지고 있던 대원미디어 계열의 대원방송으로 넘어갔다. [18] 이보다 앞서 디지몬 어드벤처 tri.를 수입한 적이 있다. [19] 대원방송에서 방영했던 디지몬 세이버즈 극장판도 이곳에서 재수입했다. [20] 본작의 연출을 맡은 호소다 마모루가 빅토르 에리세 팬이다. [21] 그 당시 아구몬, 그레이몬 언급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