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1:40:09

그라드

1. 슬라브어권 언어에서 광장, 마을, 도시를 뜻하는 말
1.1. 현존하는 지명1.2. 과거 지명1.3. 가공의 그라드1.4. 대전략 게임 이용자들의 은어
2. 다연장로켓3. 인명

1. 슬라브어권 언어에서 광장, 마을, 도시를 뜻하는 말

러시아어 : Град[1]

그라드는 각각 큰 도시의 초대형 광장으로써 큰 전쟁이 일어나면 전투 중의 주요 무대이다. 엄폐가 쉬워서 유명한 격전지가 됐다.

어원은 슬라브어에서 따왔으며 성, 광장, 마을, 도시라는 뜻이 있다. 지금도 이름에 그라드가 붙은 도시가 여러 동구권 국가에 남아있다.

독일에도 그라드와 비슷하게 부르크라는 이름이 붙은 지명이 많다. 문서 참조.

행정구역으로서의 '시'는 город(고로드)를 써야한다.

1.1. 현존하는 지명

1.2. 과거 지명

1.3. 가공의 그라드

1.4. 대전략 게임 이용자들의 은어

유래는 레닌그라드 공방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게임 중 자신보다 월등히 강한 적을 상대하거나 다굴당하는 시점에서 자국의 수도나 임시수도를 차릴만한 주요 도시 몇 개를 제외한 모든 지역을 포기하고 결사항전, 농성하는 상황을 뜻한다. 공격자 패널티가 크게 들어가는 강이나 산지를 끼고 막거나 (쓸만한 지형지물이 없을 경우)고단계 요새를 짓고 대공망과 보급허브를 올리는 식으로 방어력을 극대화시키며 적군의 기세가 꺾이거나 강력한 아군의 지원을 받을때까지 항복하지 않고 버티는 전략이다. 어지간하게 포위했다가 역공당하고 싶지 않은 이상 적군은 그라드에 계속 병력을 소비해야 되기 때문에 아군이 싸우고 있는 전선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잘만 버티면 적군의 조직력을 무너뜨려 역공을 시도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Hearts of Iron IV에서 그라드의 정석은 폴란드. 폴란드는 현실 역사에서처럼 독일과 소련한테 얻어터지고 찢기는 경우가 허다하기에 아예 전선을 다 버리고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갖춘 수도 바르샤바에서 농성할 수 있다.[3] 에티오피아 역시 게임 시작부터 전쟁중인 이탈리아보다 훨씬 약하기 때문에 아디스아바바를 중심으로 산악 지형을 낀 그라드가 강제된다. 네덜란드의 경우 헤이그와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하여 제방을 터트리는 중점을 찍고 그라드에 요새화까지 해놓으면 독일 기갑은 물론 추축이 줄줄이 몰려와도 버텨낼 수 있을 정도로 방어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4] 체코는 개전하자마자 슬로바키아를 버리고 주데텐란트와 산을 끼고 발악할 수 있으며,[5] 베오그라드 그라드로 유명한 유고슬라비아나 황하나 베이징에 대규모 후퇴선을 박는 중국[6] 등 그라드를 실행할 수 있는 국가는 많다.

물론 방어측 입장에서는 항복만 면할 최소한의 영토로 싸우는 만큼 한정된 자원과 생산능력으로 승부수를 띄우는 것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임시방편 혹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해야 되는 양날의 검이다. 방어병력을 너무 많이 배치해 보급선을 망가뜨리거나 인력이나 생산력이 없어 방어선 유지를 못하게 되는 자충수를 두는 경우도 많다. 결정적으로 제아무리 우주방어를 구축한다 해도 대체로 보병 편제로 짜는 그라드 특성상 적군이 너무 강하면(...) 결국 돌파당하고 만다.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던간에 모든 그라드의 목표는 적군의 병력을 갉아먹으면서 반전[7]이 올때까지 존버하는 것이 기본이다.

2. 다연장로켓

BM-21의 애칭이다.

3. 인명



[1] 접미사(~град)로 쓰일 때 한정이며, 단독으로 쓰이면 우박이라는 뜻이 된다. 도시 따위의 뜻으로서의 단독어는 Город(고라트)이다. [2] 비슷한 사례로 예카테린부르크도 도시 이름은 바꾸었는데 주 이름은 소련 시대 그대로 스베르들롭스크주로 유지하고 있다. [3] 일명 바르샤바그라드. 물론 독일이나 소련에 붙으면 할 필요가 없다. 배후에 든든한 아군의 지원이 들어오기 때문. [4] 멀티플레이에서는 네덜란드 그라드시 침수와 더불어 핵폭격이 줄줄이 떨어지는 극후반 이전에는 그 어떤 세력도 그라드를 뚫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네덜란드 그라드를 밴하거나 네덜란드 자체를 플레이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5] 심지어 독일이 양면전선이라면 정신없는 사이 베를린을 찍먹하고 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방어병력을 차출한 후엔... 그리고 공성포와 열차포, 기갑으로는 자주 뚫린다. 그리고 독일은 알다시피 기갑이 매우 좋다. 즉 최후의 발악. [6] 중국은 3단 그라드가 가능한데,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전 터지면 산서군벌과 몽강 사이의 좁은 입구를 틀어막는 베이징 그라드, 황하 제방 폭파를 하면 황하 그라드, 나중엔 양쯔 그라드를 쓸 수 있는데, 셋 다 도하 패널티와 함께 일본 보급이 박살나는 지역이다. 번외편으로 공산당이 일본편에 붙어버리면 반쯤 강제되는 난징 그라드, 중일전 개망하면 발악용으로 할 수 있는 충칭 그라드, 공산당의 옌안 그라드나 거얼무 그라드 등이 있다. [7] 적군의 지나친 소모, 동맹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