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23:22:09

경북대학교/대학원/국제대학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대학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명칭 역사 상징 학사제도
총학생회 학내 언론 총장 사건 사고
산격캠퍼스 칠곡캠퍼스
학부 대학원
역사 학부 생활
졸업생 / 기타
{{{#!wiki style="margin:-16px -11px" 출신 인물 총동창회 미식축구부
}}} ||
관련기관
{{{#!wiki style="margin:-16px -11px" 중앙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자연사박물관
연구소 사범대부설초등학교 사범대부설중학교 사범대부설고등학교
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 ||
}}}}}}}}} ||

<colcolor=#fff>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
KNU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colbgcolor=#DA2127> 개원 <colbgcolor=#FFFFFF>1997년 3월 1일
원장 정재훈 교수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80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209호
링크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입학3. 연혁4. 개설 전공5. 수업6. 졸업
6.1. 전공학점 이수
7. 전임 교수진
7.1. 국제지역학과
7.1.1. 국제정치학전공7.1.2. 미국학전공7.1.3. 북한학전공7.1.4. 일본학전공7.1.5. 중국학전공
7.2. 국제문화학과
7.2.1. 한국문화학전공7.2.2. 다문화학전공7.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8. 특징
8.1. 공통8.2. 국제정치학전공8.3. 미국학전공8.4. 북한학전공8.5. 일본학전공8.6. 중국학전공8.7. 한국문화학전공8.8. 다문화학전공8.9.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전공
9. 졸업 후 진로10.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경북대학교의 국제대학원.

수사과학대학원과 함께 특수대학원에 속한다. 대부분 주간으로 운영되는 타 대학 국제대학원과는 달리 경북대 국제대학원은 특이하게도 전 과정이 야간으로만 운영된다는 점에서 전문대학원의 성격과 특수대학원의 성격을 모두 띤다고 할 수 있다. 국제대학원이 특수대학원으로 분류됨에도 수업 분위기는 일반대학원과 같으며, 교수들도 ‘선생’[1]들은 연구자다. 학내 분위기도 대학원생들 각자가 연구자라는 자세를 항상 가지라고 한다. 교수님들도 특수대학원도 엄연히 대학원이고 연구생 과정이기 때문에 당연히 일반대학원 스타일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운을 띄워 준다[2].

그리고 북한학전공이 개설되어 있는데, 북한학을 배울 수 있는 몇 되지 않는 대학원이기도 하다.

2. 입학

3. 연혁

1997년 3월 1일에 개설되었으며 개설 전공은 다음과 같다.

4. 개설 전공


과거에는 국제경제학과와 국제법학과도 존재하였으나 현재 두 과는 폐과되었다.

5. 수업

6. 졸업

① 수업연한 이상 등록(5회 이상 등록)

② 수료학점 24학점 이상 이수[3]

③ 평점평균: 이수한 전체 교과목의 성적 평균이 2.7 이상[4]

④ 종합시험 합격

⑤ 석사학위논문 심사 합격[5]

⑥ 연구윤리교육 이수

6.1. 전공학점 이수

무논문 석사 학위 취득 희망자는 총 30학점, 논문 석사 학위 취득 희망자는 총 24학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이 가운데 논문연구는 6학점까지 이수가능하다. 단, 입학 첫학기에는 논문연구수업 수강이 제한되며, 지도교수는 입학한 해의 둘째 학기에 배정된다.

7. 전임 교수진

7.1. 국제지역학과

국제대학원 과목을 강의하는 교수가 더 있으면 이를 기재하기 바란다.

7.1.1. 국제정치학전공

7.1.2. 미국학전공

7.1.3. 북한학전공

7.1.4. 일본학전공

7.1.5. 중국학전공

7.2. 국제문화학과

7.2.1. 한국문화학전공

7.2.2. 다문화학전공

7.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8. 특징

8.1. 공통

다른 대학들이 전문대학원 과정으로 국제대학원을 개설하고 있지만, 특이하게도 경북대학교만큼은 국제대학원이 모두 야간제로만 개설하고 있다. 분류상으로는 특수대학원에 속하며, 의외로 21세기가 시작되기도 전인 1997년에 개설하였다. 국제지역학과(세부전공은 2022년 기준 국제정치학, 미국학, 일본학, 중국학, 북한학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과가 존재한다. 이전에는 국제경제학과·국제법학과도 존재하였으나 해당 과는 현재 폐과되었다. 야간제로 수업이 개설되는 특성상 30대 초반이 막내 취급을 받는다. 경북대학교 내 다른 특수대학원과는 다르게 일반대학원 수준의 학업 강도에[6] 수업 분위기도 일반대학원 수준이며, 지필고사가 존재하는 교수들도 일반대학원처럼 논술형으로 시험을 치게 한다.

그래서 다른 특수대학원과는 다르게 대학원을 다니면서 무논문 석사 취득 대신 논문 석사 취득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박사과정 진학에 뜻을 둔 직장인들이 많다. 실제로 일본학과에서 이러한 경향이 짙으며, 국제대학원 일본학과 졸업 후 일본에 가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도 많다.

모든 전공이 논문 졸업의 경우는 타전공을 12학점 이상 수강할 수 없으며, 무논문 졸업의 경우도 타전공을 15학점 이상 수강할 수 없다.

8.2. 국제정치학전공

국제대학원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모집하며, 경쟁률도 2:1에서 3:1 정도 된다. 또, 매 학기마다 전공수업을 2 ~ 3개씩 개설한다.

2023년 10월 30일 공군참모총장이 된 이영수 장군이 국제정치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8.3. 미국학전공

영어를 굳이 잘 하지 않더라도 지원할 수 있다. 과거에는 미국의 정치외교나 통상정책과 관련된 과목이 개설되었지만, 2022년 이후로는 거의 다 영문학 과목만 개설되고 있다[7]. 심지어 2021년 2학기부터 지금까지 매 학기당 전공 과목은 달랑 하나만 개설되고 있다[8]. 2024년 1학기에도 전공과목은 달랑 하나만 개설되었다. 이 정도면 미국학전공은 폐지 수순을 밟을 우려가 있다.

미국학과 석사과정생들이 졸업을 하려면[9] 일반대학원 법학과의 미국법 관련 과목이나 국제법, 통상정책 관련 과목[10]을 함께 수강하거나 일반대학원 무역학과나 국제물류학과의 통상정책 관련 과목[11]을 함께 수강함으로써 어떻게든 졸업 학점을 채워야 한다. 이렇게 되면 반은 미국학, 반은 법학/경제학 석사가 되어버린다. 그렇다고 해도 타 전공의 과목을 수강해서라도 학점을 채우지 못하면 석사 수료로 남는 것은 시간 문제.

8.4. 북한학전공

북한학 전공이 개설된 몇 안 되는 대학원이다.

8.5. 일본학전공

국제대학원에 있는 전공 중에서도 학업 강도가 가장 세고 논문 졸업자가 많은 전공이다. 물론 무논문 석사 학위도 가능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박사 진학을 노리기 때문에 대부분 논문 졸업을 많이 한다. 일반대학원과 동일한 학업 강도에 교수들의 엄격한 지도 덕에 학위논문의 질도 일반대학원과 차이가 없다.

학부 전공은 일어일문학과나 일본학과가 아니지만 일본의 정치외교·역사를 공부하려는 직장인들이 많이 지원한다.

실제로 일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학계로 진출한 사람들이 많다.

일본학과 석사과정생들은 일반대학원의 일어일문학과 석사과정생들과 관계가 좋은 편이며, 일반대학원생들과 야간 수업을 같이 수강하기도 한다.

8.6. 중국학전공

중국학전공의 수업은 대부분 중국어를 할 수 있어야 수업을 따라갈 수 있으며, 학부가 중어중문학과나 중국학과는 아니지만 중국의 정치외교·역사를 공부하려는 직장인들이 지원한다. HSK 5급 이상이 없어도 지원할 수 있으나 5급 이상이 있으면 수업을 보다 수월하게 따라갈 수 있다.

8.7. 한국문화학전공

8.8. 다문화학전공

8.9.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전공

9. 졸업 후 진로

10. 출신 인물


[1] 국제대학원 교수들은 국제대학원생들에게 ‘선생’ 또는 ‘선생님’이라고 호칭하는 편이다. 일반대학원 석사·박사생들에게 붙는 호칭이 ‘선생’인데 이는 전혀 이상한 게 아니다. [2] 특히 일본학과에서 이런 경향이 짙다. 실제로 이러한 이유로 국제대학원 일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일본에 가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들도 적지 않다. [3] 무논문 석사 학위 취득예정자는 30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4] 무논문 석사 학위 취득예정자는 3.3 이상 [5] 무논문 석사 학위 취득예정자는 수료학점 30학점 이상 이수로 이를 대신한다. [6] 특히 일본학과가 이런 경향이 짙다. [7] 원래 국제대학원은 통상정책, 정치외교, 안보 과목이 많아야 하며, 그게 정상이다.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등 다른 국제대학원들은 다 저렇게 돌아간다. [8] 일본학전공, 중국학전공 등 다른 전공에서는 한 학기에 최소 두 과목 이상 개설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9] 논문 졸업과 무논문 졸업 모두 해당한다. [10]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중에서 법학과는 야간 수업이 존재한다. [11]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의 무역학과나 국제물류학과는 야간수업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