摹 모뜰 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ボ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mó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摹는 '모뜰 모'라는 한자로, '모뜨다'를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莫(없을 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647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AKQ(廿日大手)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𢸆[⿰扌摹](U+22E06)
5. 유의자
- 描(모뜰 묘)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蟇(두꺼비 마)
- 𦹪[⿱莫火](불타는모양 막)[1]
- 幕(장막 막)
- 㱳(죽어쓸쓸할 막)
- 驀(뛰어넘을 맥)
- 𡖶[⿱莫夕](적막할 맥)
- 慕/ 𢟽[⿱莫心](그릴 모)
- 謩/ 𠻚[⿱莫口](꾀 모)[2]
- 募(모을/뽑을 모)
- 暮(저물 모)
- 𡠜[⿱莫女](추녀 모)[3]
- 墓(무덤 묘)
- 𩐍[⿱莫韭](스스로 자)[4]
- 𦿉[⿱莫良](대궁 준)[5]
- 𧃊[⿱莫食](반찬 찬)[6]
- 𥡡[⿱莫禾](볏가리 찬)[7]
- 𱥕[⿱莫死]
- 𦷤[⿱莫山]
- 𮐋[⿱莫么]
- 𪷂[⿱莫水]
- 𦻒
- 𰲀[⿱莫圭]
- 𦿹[⿱莫⿱口水]
- 𧅌[⿱莫黑]
- 𬑤[⿱莫目]
- 𱰠[⿱莫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