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5:16:16

The Game/라이브 투어

파일:Queen White.png
1970s ~ 1980s Live Performances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70s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arly Tour
1970. 6. 27 ~ 1973. 4. 9
Queen Tour
1973. 7. 13 ~ 1974. 1. 27
Queen II Tour
1974. 3. 1 ~ 1974. 5. 11
Sheer Heart Attack Tour
1974. 10. 30 ~ 1975. 5. 1
A Night at the Opera Tour
1975. 11. 14 ~ 1976. 4. 23
1976 Summer Gigs
1976. 9. 1 ~ 1976. 9. 18
A Day at the Races Tour
1977. 1. 13 ~ 1977. 6. 7
News of the World Tour
1977. 11. 11 ~ 1978. 5. 13
Jazz Tour
1978. 10. 28 ~ 1979. 5. 6
Crazy Tour
1979. 11. 22 ~ 1979. 12. 26
}}}||
1980s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he Game + Flash Gordon Tour
1980. 6. 30 ~ 1981. 11. 25
Hot Space Tour
1982. 4. 9 ~ 1982. 11. 3
The Works Tour
1984. 8. 24 ~ 1985. 5. 15
LIVE AID
1985. 7. 13
18:41~19:00
Magic Tour
1986. 6. 7 ~ 1986. 8. 9
}}}||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라이브 투어 문서 참조.
}}}||

The Game Tour
파일:퀸1980밴쿠버.jpg
1980년 6월 30일, 캐나다 밴쿠버의 퍼시픽 콜리세움(Pacific Coliseum) 공연.
<colbgcolor=#bbbfc2><colcolor=#ffffff> 관련 앨범
기간 1980년 6월 30일 ~ 1981년 11월 25일
기록된 공연 횟수 82회

1. 개요2. 일정3. The Game 투어
3.1. 특징3.2. 공연 장비3.3. 세트리스트
4. Flash Gordon 투어
4.1. 특징4.2. 공연 장비4.3. 세트리스트
5. 1981년 아메리카 투어
5.1. 특징5.2. 세트리스트

[clearfix]

1. 개요

퀸의 8집 The Game의 라이브 투어이다. 추가로 9집 Flash Gordon의 연주도 포함된 투어이다.

2. 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Game/라이브 투어/상세 일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The Game 투어

1980년 6월 30일부터 1980년 9월 30일까지 북미에서 진행된 투어.

3.1. 특징

프레디는 전체적으로 최상의 보컬 능력을 보여준다. 역대 퀸의 북미 투어 중 가장 많은 공연을 한 투어다. 하지만 공연 음원은 안타깝게도 그렇게 많이 남아 있지 않다.[1]

대표적인 공연은 7/5 샌디에이고 공연[2], 7/12 잉글우드 공연[3], 7/13 오클랜드 공연[4][5], 8/20 햇포드 공연[6], 8/26 프로비던스 공연[7], 9/10 밀워키 공연[8] 등이 있다.

아쉽게도 타 투어에 비하면 양반이긴 하나, 여기서도 어느정도 컨디션이 추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초기 7월 공연들은 Crazy 투어만큼은 아니지만 거의 준하는 수준의 파워와 고음역대, 깔끔한 음색을 선보이지만 8월 공연들로 가면 음색이 두텁고 거칠어지며[9] 고음역도 조금씩 사리기 시작한다. 결국 9월 첫 공연인 밀워키에서 초반엔 잘가나가 싶더니 공연 후반으로 갈수록 목소리가 갈라지고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이후 9월 중순, 세인트 폴 공연[10]과 로즈먼트 공연에서는 꽤나 저조한 목상태였다가 투어 막판인 뉴욕 공연들에서는 다시 어느정도 호전된 목소리를 보여줬다.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 중 1980년 게임 US 투어에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공연은 투어 초반기인 샌디에이고, 오클랜드, 피닉스, 잉글우드 공연이다. 특히 이 중에서 가장 고평가를 받는 건 센디에이고와 오클랜드로, 양쪽 모두 뛰어난 목상태와 퍼포먼스를 보여주어 어느 한 쪽도 감히 누가 더 좋은지 평가하기 힘든 상태에 가깝다. 굳이 뽑자면, 샌디에이고 공연에서의 Need Your loving tonight이 그다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어 오클랜드가 조금 더 고평가를 받는 편이다.

프레디의 복장은 Crazy 투어와 동일하게 검은 가죽 자켓에 빨간 넥타이, 파란 무릎 보호대를 한 빨간 가죽 바지였다.[11][12] 오프닝, 앙코르 무대에서 가죽 모자는 쓰지 않았다. 또한 이때부터 프레디가 콧수염을 길렀는데, 이로 인해 완전히 달라진 프레디의 외모에 불만을 품은 팬들이 무대로 면도칼을 던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13]

여담으로 6월 30일 밴쿠버 공연은 아쉽게도 공개된 자료가 하나도 없다. 유튜브에 재생목록이 딱 하나가 존재하는데, 그냥 다른 북미 게임투어 라이브들을 짜깁기한 가짜 영상이다.[14] 팬들은 7월 공연들이 매우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었으니, 이 밴쿠버 공연도 뛰어날 것이라며 큰 기대를 품고 있다.

3.2. 공연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라이브 투어/사용 장비/The Game & Flash Gord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세트리스트

The Game 앨범에서 Another One Bites the Dust, Play the Game, Dragon Attack, Need Your Loving Tonight이 추가되었고, 몇몇 공연에서 Rock It(Prime Jive)를 부르기도 했다. 6/30 밴쿠버 ~ 7/14 오클랜드 공연까지는 종종 Somebody to Love가 연주됐다. 또한 Don't Stop Me Now, Spread Your Wings, If You Can't Beat Them, '39가 사라졌다.
1 Jailhouse Rock
2 We Will Rock You (fast)
3 Let Me Entertain You
4 Need Your Loving Tonight[15]
5 Play the Game
6 Mustapha
7 Death on Two Legs (Dedicated to...)
8 Killer Queen
9 I'm in Love with My Car
10 Get Down, Make Love
11 You're My Best Friend
12 Save Me
13 Now I'm Here
14 Dragon Attack
15 Now I'm Here (Reprise)[16]
16 Fat Bottomed Girls
17 Love of My Life
18 Keep Yourself Alive
19 Instrumental Inferno
20 Brighton Rock (Reprise)
21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22 Bohemian Rhapsody
23 Tie Your Mother Down
24 Another One Bites the Dust[17]
25 Sheer Heart Attack
26 We Will Rock You
27 We Are the Champions
28 God Save the Queen

4. Flash Gordon 투어

1980년 11월 23일부터 1981년 2월 18일까지 유럽, 일본에서 진행된 투어.

4.1. 특징

파일:퀸1981도쿄.jpg
1981년 2월 16일, 일본 도쿄의 일본 무도관(Nippon Budokan) 공연에서.
일반적으로 이 공연들은 The Game 투어로 분류되나, 80년 유럽 투어를 기점으로 Flash Gordon 수록곡들이 세트리스트에 추가됐기 때문에 'Flash Gordon 투어'라고도 부른다.

대표적인 공연들로는 1980년 버밍엄 공연, 1980년 웸블리 아레나 공연, 1980년 프랑크 프루트 공연, 1981년 도쿄 공연 등이 있다.

초기 11월 공연들과 대부분의 일본투어는 프레디의 컨디션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18] 그러나 80년 12월의 유럽 공연의 경우 강력한 전성기의 보컬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는 기복이 어느정도 있는 투어.

이때의 프레디의 옷은 처음에는 북미 Game 투어와 동일했지만 80/11/27 레이던 공연에서 넥타이 대신 런닝셔츠를 입었고 이후 기존 북미 Game 투어 의상과 번갈이 입다가[19] 80/12/8 런던 공연을 기점으로 무릎 보호대가 사라지고 런닝셔츠나 티셔츠에 빨간 가죽바지와 백바지를 번갈아 입는다.[20]

여담으로, 일본 2월 16일 공연에서 Get down, Make Love를 부르는 도중 E7(5옥타브 미)를 찍었다는 소문이 있다. 그러나 공개된 자료가 관객 녹음본 뿐이고, 녹음본의 음질이 좋지 못한 데다 5옥타브는 어느 음을 내든 흔히 말하는 돌고래 소리가 나기에 관객들이 소리 지른 것인지 구분이 어려워 정식적인 프레디 머큐리의 음역대에는 미포함되었다. 그러나 추후 E7이 맞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프레디 머큐리의 최고음은 갱신이 된다.

4.2. 공연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라이브 투어/사용 장비/The Game & Flash Gord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세트리스트

Flash Gordon의 수록곡인 Flash, The Hero, Battle Theme이 연주되었고 You're My Best Friend가 사라졌다.
12/6 버밍엄 ~ 12/9 런던, 12/13 브뤼셀 공연에서는 특이하게도 Bohemian Rhapsody 바로 다음 순서로 WWRY & WATC을 불렀고 그 다음으로 Another One Bites the Dust, Sheer Heart Attack, Tie Your Mother Down을 불렀다.
1 Jailhouse Rock
2 We Will Rock You (fast)
3 Let Me Entertain You
4 Play the Game
5 Mustapha
6 Death on Two Legs (Dedicated to...)
7 Killer Queen
8 I'm in Love with My Car
9 Get Down, Make Love[21]
10 Save Me
11 Now I'm Here
12 Dragon Attack
13 Now I'm Here (Reprise)
14 Fat Bottomed Girls
15 Love of My Life[22]
16 Keep Yourself Alive
17 Instrumental Inferno
18 Battle Theme
19 Flash
20 The Hero
21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22 Bohemian Rhapsody
23 Tie Your Mother Down
24 Another One Bites the Dust
25 Sheer Heart Attack
26 We Will Rock You
27 We Are the Champions
28 God Save the Queen
2/17 공연에서는 Sheer Heart Attack 다음 순서로, 2/18 공연에서는 끝곡으로 Teo Torriatte를 연주했다.
1 We Will Rock You (fast)[23]
2 Let Me Entertain You
3 Play the Game[24]
4 Mustapha
5 Death on Two Legs (Dedicated to...)
6 Killer Queen
7 I'm in Love with My Car
8 Get Down, Make Love
9 Rock It (Prime Jive) [25]
10 Save Me
11 Now I'm Here
12 Dragon Attack
13 Now I'm Here (Reprise)
14 Love of My Life
15 Keep Yourself Alive
16 Instrumental Inferno[26]
17 Vultan's Theme
18 Battle Theme
19 Flash
20 The Hero
21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22 Bohemian Rhapsody
23 Tie Your Mother Down
24 Another One Bites the Dust
25 Sheer Heart Attack
26 We Will Rock You
27 We Are the Champions
28 God Save the Queen

5. 1981년 아메리카 투어

파일:queen south america.png [27]

1981년 2월 28일 ~ 1981년 11월 25일까지 남미, 북미[28]에서 진행된 투어.

5.1. 특징

파일:퀸1981상파울로.jpg
1981년 3월 21일, 브라질 상파울루의 이스타지우 두 모룸비(Estádio do Morumbi) 공연에서.
프레디 보컬이 최상의 기량을 발휘했던 시기로, 굉장히 능수능란한 음역대와 가창력을 자랑하는 투어다.

총 세번에 걸쳐서 투어를 진행했는데, 투어별로 명칭이 존재한다.

1981년 브라질 상 파울로 공연[32] [33], 멕시코 투어[34][35][36],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투어[37] , 그리고 1981년 11/24,25 양일간 진행된 몬트리올 공연[38] 이 진행되었다.

한편 1981년 3월 8일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 공연에서는 디에고 마라도나가 공연 시작 전 퀸을 소개했었다고 한다. 아직 해당 영상은 발굴되진 않았으나, 최근 해당 공연의 테이프 영상은 유튜브에서 비공식 공개되고 있다.

이 시기의 공연은 전체적으로 다 꽤 뛰어난 컨디션을 유지한다. 2월 28일부터 3월 1일 공연까지는 그저 그런 평범한 공연이었으나, 3월 6일 로자리오 공연을 시작으로 점점 좋아지더니, 3월 8일 공연부터 컨디션이 확 좋아지기 시작한다. 이후 상 파울로 공연부터 고음의 상태가 매우 좋아진다. 그리고 공연의 끝맺음인 11월 25일 몬트리올 2일차 공연까지 쭉 좋은 컨디션을 유지한다.

참고로 남미투어에서는 멕시코를 제외하면 방송 촬영된 비디오가 하나씩 존재하고[39] 그 중 공개되지 않은 영상 자료도 존재한다고 한다. 또한 이 때 We Are the Champions의 C5를 몬트리올, 카라카스, 아르헨티나 공연을 제외하고는 다 성공한다. (상파울로 2번째 밤은 음질이 매우 좋지 않아 식별이 불가능하다.)한 마디로 멕시코는 다 C5를 찍었단 얘기다..

프레디의 의상은 기본적으로 Flash Gordon 투어와 동일하지만 South America Bites the Dust 공연에서는 앵콜 부분에서 Jazz 투어나 Crazy 투어처럼 가죽 캡 모자를 썼고, 3/8 부에노스 아이레스 공연, 3/20 상 파울로 공연에서는 파란 무릎 보호대를 찼다. 또한 Gluttons For Punishment 공연에서는 백바지를 입을때 Jazz 투어처럼 멜빵을 맸다.

퀸 멤버 4명이서만 공연을 한 마지막 라이브 투어다. 이후 퀸의 라이브 공연에서는 밴드 멤버 이외에 타 뮤지션들이 참여한다.

여담으로, 게임 투어 중 몬트리올 공연은 1980년 8월에도 한 번 있었는데, 이 때는 컨디션이 저조했다. 특히 7월 공연들과 8월 초기 공연들에 비해면 매우 초라하다. 이를 듣고 81년 몬트리올 양일 공연을 시청하면 환골탈태 급으로 컨디션이 차이가 남을 느낄 수 있다.

5.2. 세트리스트

이전의 유럽, 일본 투어에서 연주됐던 Battle Theme이 세트리스트에서 제외되었고, Somebody to Love가 다시 세트리스트에 추가됐다.
1 We Will Rock You (fast)
2 Let Me Entertain You
3 Play the Game
4 Somebody to Love[40]
5 Killer Queen
6 I'm in Love with My Car
7 Get Down, Make Love
8 Need Your Loving Tonight
9 Save Me
10 Now I'm Here[41]
11 Dragon Attack
12 Now I'm Here (Reprise)[42]
13 Love of My Life[43]
14 Keep Yourself Alive
15 Instrumental Inferno
16 Flash
17 The Hero
18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19 Bohemian Rhapsody
20 Tie Your Mother Down
21 Another One Bites the Dust
22 Sheer Heart Attack[44]
23 We Will Rock You
24 We Are the Champions
25 God Save the Queen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0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0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애초에 북미는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녹음을 잘 안하는 편이다. [2] 이 공연의 Rock It, Save Me 라이브는 최고의 버전으로 손꼽힌다. Play the Game, Death on Two Legs,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Bohemian Rhapsody 등도 매우 걸출하다. [3] 원래 We Are the Champions의 1절 we are the champions, we are the champions(B♭4) 파트를 소화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아쉽게도 최근에 음질이 더 좋은 테이프가 출시되면서 낮춰 부른게 확인되었다. [4] 기존에는 7/14일 공연으로 잘못 알려졌다. [5] Play the Game, Mustapha, Death on Two Legs, Save Me 등이 매우 특출나며 아쉽게도 Tie Your Mother Down 이후로 누락됐지만 프레디의 목소리, 음질이 매우 뛰어나 인기가 많은 콘서트다. [6] 여담으로 이 공연에서 Another One Bites the Dust를 처음으로 부른 날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가사를 많이 틀린다. [7] 음질 녹음상태도 최상이고, Play the Game, Another One Bites the Dust,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등 퍼포먼스도 훌륭하다. [8] 특이하게도 이때는 앵콜 타임 때 나타난 프레디의 옷차림이 청바지에 나시티였다. [9] 프레디가 흡연을 시작한 시기가 정확히 1980년이다. 아마 이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10] 8mm 필름으로 촬영된 영상이 존재한다. 여담으로 이 공연 영상에서 Mustapha가 온전히 촬영되어 현재로선 그 공연 모습을 볼 수 있는 유일한 자료다. [11] 검정 바지+ 빨간 무릎 보호대 조합의 복장은 더 이상 입지 않았다. 7/1 시애틀 공연과 7/5 샌디에이고 공연에서는 초록색 무릎 보호대를, 9/16 에임스 공연과 9/23 글렌즈 폴스 공연에선 빨간색 보호대를 착용했다. [12] 가끔씩 Flash Gordon 티셔츠에 검은 핫팬츠를 입기도 했다. [13] 7/6 피닉스 공연에서는 프레디 수염에 대해 불만을 표하는 관객의 목소리가 녹음됐다. 이 영상의 20초 쯤에 한 관객이 "I don't like Freddie with his mustache."라고 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 대표적으로 Mustapha - Killer Queen - I'm in Love with My Car 메들리는 샌디에이고 음원이, Bohemian Rhapsody는 밀워키 음원으로 올라와있다. [15] Now I'm Here 전후에 연주하기도 하였다. [16] 7/5~7/11, 8/6 공연에서는 Rock It (Prime Jive)를 이 곡 다음으로 연주하였다. [17] 8/20 햇포드 ~ 8/26 프로비던스 공연 까지는 Save Me 다음 순서였고, 8/29 몬트리올 공연에서는 Bohemian Rhapsody 다음 순서로 연주했다. [18] 대표적으로 11/23 취리히, 11/26 쾰른, 11/27 레이던 공연 등. 일본 공연들도 Jazz 투어 정도는 아니지만 공연 도중 크랙이 자주 발생한다. 최근에는 크랙이 있음에도 쇼에 대한 평가는 꽤나 많이 올라간 편이다. [19] 80/12/6 버밍엄 공연에서 처음으로 백바지를 입고 나왔다. [20] 80/12/13 브뤼셀 공연에서는 나시티 대신 넥타이를 맸다. [21] 12/8 런던 공연까지는 이 곡 다음으로 Need Your Loving Tonight을 연주하였다. [22] 12/9 런던, 12/14 프랑크푸르트, 12/16 스트라스부르, 12/18 뮌헨 공연에서는 이 곡 후에 Imagine을 불렀다. 존 레논의 암살을 추모하기 위함인 듯. 또 12/6 버밍엄 공연에서는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를 기타로 연주하였다. [23] 2/12~2/16 공연들에서는 Jailhouse Rock를 오프닝 넘버로 쓰고 WWRY Fast를 다음에 연주했다. [24] 2/18 공연에서는 이 곡 전에 The Millionaire Waltz의 첫 부분을 잠깐 연주하였다. [25] 2/16~2/18 공연들에서만 연주됨. [26] 2/16 공연에서는 기타 솔로 도중 In the Death Cell의 멜로디를 잠깐 연주하였다. [27] 남미 투어인 South America Bites the Dust 투어의 포스터. [28] 멕시코, 캐나다 [29] 브라질, 아르헨티나 공연들. [30] 멕시코, 베네수엘라 투어. [31] 몬트리올 양일 공연. 이 2개의 공연은 공식적인 Game/Flash 투어 일정엔 포함되지 않는다. [32] Somebody to Love에서 C5를 찍는다. [33] 원래 3월 13일 포루투알레그리와 3월 19일 리오 데 자네이루에서 열려 했으나 둘 다 취소되었다. [34] 여담으로 퀸 멤버들은 멕시코 여행을 최악이라고 평했는데 그 이유는 관객들이 사납고 매너가 장난아니게 개판이였기 때문이라고....(술주정에 욕설은 기본이고 물건을 던지거나 심지어 공연장 파손까지 했다고 한다. 공연장이 워낙 폐건물급이어서 파손되었을 수도 있지만...) 또한 공연장 상태도 다 쓰러질 것같이 최악이었고 현지에서 공연 장소를 마음대로 바꾸거나 티켓팅도 없이 관객들이 들이닥치는 등등... 그리고 식사로 KFC 치킨버거를 먹었는데, 순살인 치킨 패티에서 뭔가가 씹혀서 브라이언과 존이 켈리포니아에 가져와 조사를 해본 결과, 이 아니라 시궁쥐(...)를 튀겼다고 한다... 후에 1983년에 취소됐던 남미 Hot Space 투어에서 멕시코에서 열려 했을때도 그들은 지옥에 한 번 더 가라는거냐고 질색팔색을 했다고 한다(...). [35] 가령 푸에블라 1일차 공연에서는 관중들이 술에 너무 취해 계속 자기들 신발을 무대 위로 던졌는데 프레디는 그게 매우 엿같았고 위협을 느껴서(...) 빨리 공연을 끝내기 위해 Sheer Heart Attack을 스킵하고 바로 We Will Rock You, We Are the Champions로 넘어갔다.(물론 다음날 공연은 정상적인 원래 셋리스트로 불렀다.) 그리고 WATC가 끝난 뒤 God Save the Queen이 연주될 때, 프레디가 말하길, 신발 감사합니다! 이 타코덩어리 니미씨발새끼들아! 아디오스 아미고! 라고 했다... 참고로 브라이언에 따르면 프레디는 진심으로 이 말을 한 것이였다고... 여기에 그 음원 자료가 존재한다. [36] 참고로 이때 보너스 트랙에서 아직 발매도 안됐던 Under Pressure를 사운드체크용으로 연주하며 불렀다! 당시 음원자료 [37] 원래는 5번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하필 3번째 공연 이후 로물로 베탕쿠르 베네수엘라 전 대통령이 타계해 남은 공연들을 취소했다 한다. [38] 24일 공연의 경우 거의 모든 공연이 녹음된 부틀렉이 존재한다. [39] 멕시코도 방송 촬영으로 녹화되었으나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으로 방송국이 무너져 유실되었다 한다... [40] 2/28 부에노스아이레스, 3/21 상파울루 공연에서는 이 곡 다음에 Death on Two Legs를 불렀다. [41] 11/24 몬트리올 1일차 공연에서는 Dragon Attack을 생략하고 이 다음에 Under Pressure가 최초로 연주되었다. 10/17 푸에블라 공연 사운드 체크때 연주해보기도 했지만 무대에서 정식으로 선보인 것은 이때가 처음. 싱글은 10월 26일에 발매되었다. [42] 아르헨티나 공연들과 3/20 상파울루, 10/9 몬테레이 공연들에서는 이 곡 다음에 Fat Bottomed Girls를 연주했다. [43] 11/25 몬트리올 2일차 공연에서는 Under Pressure를 이 곡 다음에 연주했다. [44] 11/24, 11/25 몬트리올 양일 공연에서는 다음곡으로 Jailhouse Rock을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