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개발 국가 | 기관포 | 대공 유도탄 |
<colbgcolor=#c3d2ea,#15243c> 팰렁스 | <colbgcolor=#c3d2ea,#15243c> | ||
SGE-30 골키퍼 | |||
하이첸-1 | |||
노봉 | CIWS-II | 해궁 | ||
RIM-116 RAM | |||
RAPIDFire | VL-MICA | 사드랄 | 크로탈 | ||
CAMM | 시울프 | 시캣 | |||
메로카 | |||
밀레니엄 | 시 제니스 | |||
DARDO | 오토멜라라 76mm 함포 | |||
바락 1 | |||
괴크데니즈 | |||
데넬 35mm 양용포 | 움콘토-IR | ||
<colbgcolor=#954f4f> | AK-230 | AK-630 | AK-630M1-2 | 카쉬탄 | 팔마/팔라시 | 판치르-ME | 3K95 킨잘 | 4K33 오사-M | 9K32 스트렐라-2 | |
H/PJ-12 730식 CIWS | H/PJ-11 1130식 CIWS | HHQ-10 | FL-3000N | HHQ-7 | HQ-61 | }}}}}}}}} |
미국의 함대공미사일 계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 → → → → → → → → |
}}}}}}}}} |
RIM-116 RAM Rolling Airframe Missile |
|
|
|
<colbgcolor=#c1c1c1><colcolor=black> 발사대 | Mk.49 |
전장 | 2.82m |
직경 | 13cm (날개 포함 43.8cm) |
탄두 | 9.1kg HE 탄두 |
중량 | 73.5kg |
속도 | 마하 2.0 |
사정거리 | Block 1: 9km / Block 2: 12km[1] |
유도 | 패시브 레이더, 적외선 |
[clearfix]
1. 개요
미국과 독일이 합작 개발한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 CIWS)[2]
2. 상세
냉전 당시 구 소련 함대와 Tu-22M을 비롯한 해군 항공대 폭격기들은 " 대함미사일 세례", 즉 상대 함선에게 요격할 기회를 주지 않고 대량의 미사일을 발사 및 P-500 바잘트, P-700 그라니트와 같이 고질량 미사일을 이용하여 함대를 타격한다는 전략을 채택하면서 서방 국가들은 기관포형 CIWS만으로는 쉽게 방어할 수 없음을 느꼈다.[3]해결책으로 함대공 미사일에 기반한 새로운 단거리 대공방어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1972년 독일이 개발을 시작했고, 이후 덴마크 해군까지 참여하였다.
덴마크는 개발을 포기하고 미국이 끼어들면서 레이시온사가 개발에 합류하였다. 미해군은 레이시온사를 통해서 새로운 경량 CIWS는 다목표와의 교전능력을 가지며, 초탄 요격이 실패한다 해도 다른 목표를 노릴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기술 부족으로 개발은 상당한 난항을 겪게 된다.
여러 어려움을 딛고 1987년 생산이 결정된다. 1992년 목표 대함미사일의 레이더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추적하여 요격하는 RIM-116A Block 0이 개발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RIM-116B block 1으로 개량된다. IR 화상유도를 채용해, 수색범위를 늘리고 레이더 전파를 발산하지 않는 물체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해졌다.
현재 RAM은 개발에 참여한 독일 해군과 미 해군이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에서도 사용 중이다. 또한, 일본 해상자위대에서도 파생형인 Sea-RAM을 도입하였다.[4]
RAM은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의 MK-112 고체추진모터와 레이저 근접신관 그리고 WDU-17B 파편탄두를 스팅어 대공 미사일의 시커부분과 조합하여 만들었다. 미사일에는 패시브 레이더 유도 안테나가 2개 장착되어있다.
RAM은 Rolling Airframe Missile의 약자다. 미사일이 회전하면서 날아간다는 뜻이다. 스팅어 지대공미사일이나 우리나라의 신궁같은 소형 미사일도 회전하면서 날아간다. 이는 강선포의 안정성과 같은 이유에서라기보다는, 조종면의 작동장치를 경량화하기 위해서다. 쉽게 말하자면 회전하면서 날개를 펼친다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RAM의 발사방식은 모함의 표적획득 정보를 받고 MK49 발사대가 표적이 있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에 발사가 이루어지고 레이더 유도 안테나가 적이 발산하는 레이더 신호를 역추적하고, 발사된 미사일은 적외선 시커를 통해 적의 목표를 한번더 확인하는 작업을 거친다. 이런 방식은 적 미사일에 대한 요격실패나, 파괴등을 확인하기 위해서이고, 파괴나 실패가 확인될 경우 다른 목표를 찾는 마치 팰렁스 CIWS와 같은 피드백 제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발사대는 Sea-sparrow의 발사대를 사용하는 등 여러가지가 연구되었다. MK49 21연장 발사대형과 Sea-RAM만 실용화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독도급 강습상륙함 1번함인 독도함, 세종대왕급 구축함, 인천급 호위함에 장착되었다. 2005년부터 미국정부로부터 Mk44 GMRP(Guided Missle Round Pack)을 수입한다.
RAM에 Mk44 적외선 시커를 장착하면서 적 미사일뿐만아니라, 적 공중세력에 대한 견제, 심지어는 대함공격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적 전투함이 9km~12km까지 근접할 일은 드물긴 하다.대신 근접한 적의 대함 미사일과 자살 보트에 유용하다.
현재 Mk49 발사대는 두산인프라코어에서 라이센스 생산되며, LIG넥스원에서 추가적으로 미사일을 라이센스 생산할 예정이다.
CIWS답게 대함 공격능력도 있다. Block 2부터는 카나드가 추가되어 기동성을 높이면서 최신 초음속 대함 유도탄에 대한 요격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며, 개발이 완료되어 배치된 상태다. 개발되면 대한민국 해군도 도입해서 FFX에 탑재할 가능성이 있다.
FFX batch-2인 대구급 호위함부터는 국산 함대공 미사일인 해궁 도입이 결정된다. 한국 해군이 RAM을 추가 도입하지는 않으리라 보인다. 다만 기존 장비 업그레이드는 이뤄질 수도 있으나, 현재로는 계획이 없다.
3. 파생형
3.1. Sea-RAM
Sea-RAM은 RAM의 파생형이다. 팰렁스1B CIWS의 KU 밴드 탐색 레이더와 개량형 RIM-116 미사일을 통합했다. 모함의 표적획득능력에 의존하는 기존 RAM과 달리 모함에 대공수색레이더가 없거나 동시교전능력이 낮아도 설치와 사용이 가능하다. 기존의 팰렁스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마운트를 사용하기에 팰렁스가 있던 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 다만 미사일의 수는 21발에서 11발로 크게 줄었다.
팰렁스와 동일하게 KU밴드 레이더와 적외선 카메라로 목표를 추적한다.
이 Sea-RAM은 USS Independence(LCS-2)에 최초로 장착되었다. 이후 일본도 도입했다.
4. 실전
2024년 2월, 아스피데스 작전에 투입된 작센급 호위함 "헤센"에 장착된 RIM-116 RAM이 후티 드론을 1대 격추하는데 성공했다. #5. 탑재 군함
국가 | 함종 | 만재 배수량 | RAM 장착 수량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5,520톤 | 1 |
세종대왕급 구축함 | 11,000톤 ~ 13,000톤 | 1 | |
독도급 강습상륙함 | 19,000톤 | 1 | |
인천급 호위함 | 3,251톤 | 1 |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뤼첸스급 구축함 | 4,720톤 | 2 |
니더작센급 호위함 | 2 | ||
작센급 호위함 | 6,000톤 | 2 | |
바덴-뷔르템베르크급 호위함 | 7,200톤 | 2 | |
브란덴부르크급 호위함 | 4,900톤 | 2 | |
브라운슈바이크급 초계함 | 1,840톤 | 2 | |
게파트급 미사일 고속정 | 390톤 | 1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니미츠급 항공모함 | 100,000톤 | 2 |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 | 100,000톤 | 2 |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41,182톤 | 2 | |
타라와급 강습상륙함 | 40,000톤 | 2 | |
샌 안토니오급 수송상륙함 | 25,298톤 | 2 | |
인디펜던스급 연안초계함 | 3,104톤 | 1 | |
프리덤급 연안초계함 | 3,400톤 | 1 | |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 | 1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 | 27,000톤 | 2 |
모가미급 호위함 | 5,500톤 | 1 | |
[[그리스| ]][[틀:국기| ]][[틀:국기| ]] |
벨하라급 호위함 | 4,460톤 | 1 |
루센급 미사일 고속함 | 668톤 | 1 | |
[[카타르| ]][[틀:국기| ]][[틀:국기| ]] |
알 주바라급 초계함 | 3,300톤 | 1 |
[[이집트| ]][[틀:국기| ]][[틀:국기| ]] |
앰버서더 MK III급 미사일 고속정 | 600톤 | 1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아다급 초계함 | 2,400톤 | 1 |
6. 관련 문서
-
해궁 함대공 미사일(K-SAAM)
대한민국의 LIG넥스원에서 개발한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 수직발사체계가 설치되는 대구급 호위함부터 본격적으로 배치되기 시작했다. 천왕봉급 상륙함이 최초 배치 함선이긴 하지만. - 해상 병기/현대전
7. 둘러보기
🚀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
미국 |
|||
남미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독일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싱가포르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 중앙아시아 '''
|
|||||
서아시아 |
이란 |
||||
''' 오세아니아 '''
|
|||||
아프리카 | }}}}}}}}} |
[1]
출처:
#
[2]
해당 영상은
샌 안토니오급 수송상륙함 LPD-18 뉴올리언스에서 발사되는 모습.
[3]
이 때문에 한 때 20mm를 사용하는 팰렁스보다 30mm를 사용하는 골키퍼 CIWS가 더 효과적으로 방어할 것으로 기대되기도 했다.
[4]
일본의 신형
호위함에도 탑재 된다. 자세한 건
해상자위대 참조.
[5]
미사일처럼 길쭉한 물체는 포탄처럼 회전을 통하여 안정화시키기 어렵다. 철갑탄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강선을 통한 안정을 포기하고 꼬리날개를 단 것도 이 때문이다. 소형 미사일이라면 회전을 통한 안정을 할 수 있지만, 큰 미사일은
카나드라는 날개를 통하여 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