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 | |||
연기대상 | KBS 연기대상 | MBC 연기대상 | SBS 연기대상 | |
연예대상 | KBS 연예대상 | MBC 방송연예대상 | SBS 연예대상 | |
연말 가요제 |
KBS 가요대축제 KBS 국악대상 |
MBC 가요대제전 | SBS 가요대전 |
대한민국의 예능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국방송대상 |
백상예술대상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 | |||||
한국PD대상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청룡시리즈어워즈 |
SBS 연예대상 | |
|
|
<colbgcolor=#00558f><colcolor=#ffffff>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주최 | 스튜디오프리즘 |
첫 시상 | 2006년([age(2006-01-01)]주년) |
대상 수상자 | 탁재훈 ( 미운 우리 새끼, 신발 벗고 돌싱포맨 / 2023년) |
링크 |
| | | | | | |
[clearfix]
1. 개요
SBS에서 연말에 진행하는 연예 부문 시상식 방송. 2008년부터 2015년까지는 매년 12월 30일에 진행했고 2016년에는 12월 25일에 열렸다. 그리고 2017년에는 다시 12월 30일에, 2018년과 2019년에는 12월 28일에 개최했다. 2020년부터는 최근 3년 간 12월 셋째주 토요일[1]에 개최했다. 그러다가 2023년에는 6년 만에 예년대로 12월 30일에 개최하기로 확정됐다. 이후 2024년에는 역대 최초로 연말을 장식하게 됐다.1992년 마지막 날 '92 올해의 스타상'을 시작으로 1995년까지 'SBS 스타상'에서 코미디 부문을 시상했고 이후 2005년까지 연기대상에서 MC 부문과 라디오 DJ 부문 특별상을 시상하기도 했다. 1992년 첫 시상식에서 '코미디 전망대'의 진행을 맡아온 김경태에게 신인상을 수여했는데, 요즘은 흔해진 일명 중고신인[2]에게 신인상을 수여한 최초의 사례로서 당시 큰 화젯거리가 되었다.[3] 수상 당시 김경태는 58세에 경력 20년의 코미디 PD[4]였으나 프로그램에 직접 출연한 것은 처음이었다. 당시 기사
2006년 'SBS 코미디대상'이란 이름으로 코미디 부문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고, 모든 예능 프로그램을 포괄한 본격적인 연예대상은 2007년에 신설돼서 다른 방송국들에 비하면 늦어도 한참 늦은 편.[5] 연예대상이 역사가 짧아서인지, 아니면 방송국의 특징인지는 모르지만 공동 수상을 너무 남발하거나 상의 이름이나 체제도 미흡한 편이었던 탓에 타 방송사 연예대상들에 비해 가장 평가가 좋지 못한 편이다.[6]
2. 역사
2.1. 2007~2010년
자세한 내용은 SBS 연예대상/2007~2010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2. 2011~2015년
자세한 내용은 SBS 연예대상/2011~2015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3. 2016~2020년
자세한 내용은 SBS 연예대상/2016~2020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4. 2021~2025년
자세한 내용은 SBS 연예대상/2021~2025년 문서 참고하십시오.3. 수상자
자세한 내용은 SBS 연예대상/수상자 문서 참고하십시오.4. 기록
- 역대 최다 수상자는 유재석으로, 총 7회 ('08~'09, '11~'12, '15, '19, '22) 수상했다.
- 역대 최다 진행자는 신동엽으로, 총 4회 ('09~'10, '13, '20) 진행했다.
- 2년 연속 대상을 거머쥔 유일한 인물은 유재석으로, '08~'09, '11~'12년도에 두 번이나 연속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7]
- 역대 최고 시청률은 2008년에 달성한 21.4%이다.
5. 비판
자세한 내용은 SBS 연예대상/비판 문서 참고하십시오.6. 역대 진행자
<rowcolor=#ffffff> 연도 | 진행자 |
2007년 | 박은경, 엄지원, 류시원 |
2008년 | 예지원, 이휘재, 신봉선 |
2009년 | 신동엽, 이소연, 현영 |
2010년 | 신동엽, 박선영, 장윤정 |
2011년 | 김원희, 김용만, 신봉선 |
2012년 | 하하, 수영, 윤도현 |
2013년 | 신동엽, 김원희, 정수정 |
2014년 | 이경규, 성유리, 배성재 |
2015년 | 이경규, 전현무, 장예원 |
2016년 | 강호동, 이경규, 이시영 |
2017년 | 전현무, 추자현, 이상민 |
2018년 | 박수홍, 한고은, 김종국 |
2019년 | 김성주, 박나래, 조정식 |
2020년 | 신동엽, 이승기, 차은우 |
2021년 | 이승기, 장도연, 한혜진 |
2022년 | 탁재훈, 장도연, 이현이 |
2023년 | 이상민, 이현이, 김지은 |
2024년 | 전현무, 이현이, 장도연 |
7. 시청률
- 닐슨미디어코리아 전국 시청률 기준.
<rowcolor=#ffffff> 연도 | 1부 | 2부 | 3부 |
2007년 | 13.1% | 13.5% | [2부] |
2008년 | 17.1% | 21.4% | |
2009년 | 19.3% | 21.1% | |
2010년 | 17.9% | 19.6% | |
2011년 | 13.4% | 15.6% | |
2012년 | 8.5% | 16.3% | |
2013년 | 10.5% | 12.2% | |
2014년 | 9.2% | 11.5% | |
2015년 | 9.2% | 10.6% | |
2016년 | 9.9% | 7.8% | |
2017년 | 13.1% | 13.8% | |
2018년 | 11.8% | 11.9% | |
2019년 | 8.4% | 12.7% | |
2020년 | 6.5% | 6.8% | 5.5% |
2021년 | 5.0% | 6.3% | [2부] |
2022년 | 4.8% | 4.5% | 5.5% |
2023년 | 6.0% | 7.5% | 6.3% |
[1]
2020년은
12월 19일, 2021년은
12월 18일, 2022년은
12월 17일. 2022년의 경우
카타르 월드컵 기간과 겹쳐 다른 날짜에 개최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그대로 셋째 주 토요일에 개최했다.
[2]
방송계 입문은 오래됐지만 연예계에는 이제 막 데뷔한 경우.
[3]
'
시상식이 장난이냐?'는 의견과 '시상식까지 코미디로 승화시켰다'라는 의견, '
진짜 신인인데 왜 그러냐?'라는 의견 등.. 분분했다.
[4]
대표 연출작으로는 MBC 웃으면 복이와요와 부부극장, TBC의 고전 유머극장 등이 있다. 신인상을 받은 뒤 약 3년 후인 1995년 간암으로 사망했다.
[5]
유재석과
강호동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아쉬운 부분인데, 5년 정도만 더 빨리 신설됐더라면
X맨,
진실게임,
리얼로망스 연애편지,
야심만만 시즌 1 등을 바탕으로 적어도 각각 1~2번의 대상을 더 수상할 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6]
2004년 SBS 연기대상 당시 MC였던
박수홍이 '연기대상'을 '연예대상'으로 잘못 말한 적이 있다.
[7]
'09년도에는
이효리와 공동 수상.
[2부]
2부로 진행.
[2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