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8:38:37

한국인삼공사

KGC 인삼공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계열사
담배 <colbgcolor=#fff,#1f2023> KT&G | 태아산업
인삼·한방 한국인삼공사 | KGC예본
건강생활 코스모코스 | KGC라이프앤진
제약·바이오 영진약품
레저 상상스테이
문화 KT&G 상상마당 | 어반컴플렉스센터
스포츠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 정관장 탁구단 | 정관장 배드민턴단 | 정관장 황진단
}}}}}}}}} ||
<colbgcolor=#565657><colcolor=#ffffff>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1]
株式會社 韓國人蔘公社
Korea Ginseng Corporation
파일:한국인삼공사 로고.svg
[ 민영화 되기 전인 1999년부터 2011년까지 사용한 로고 ▼ ]
파일:한국인삼공사 로고(1999-2011).svg
설립일 1999년 1월 1일
업종명 인삼 식품 제조업
대표자 안빈
모회사 KT&G
기업 분류 대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직원 수 1,694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718억 5,011만 5,000원(2021년 기준)
매출액 연결: 1조 3,777억 4,156만 2,916원(2021)
별도: 1조 2,928억 2,874만 6,296원(2021)
영업 이익 연결: 1,201억 7,481만 3,928원(2021)
별도: 1,164억 2,702만 4,788원(2021)
순이익 연결: 917억 3,267만 730원(2021)
별도: 862억 9,164만 8,541원(2021)
자산 총액 연결: 2조 3,459억 9,513만 9,907원(2021)
별도: 2조 3,075억 4,097만 8,428원(2021)
부채 총액 연결: 2,233억 7,186만 2,891원(2021)
별도: 1,941억 2,091만 9,728원(2021)
부채 비율 연결: 10.52%(2021년 기준)
별도: 9.19%(2021년 기준)
자회사 KGC라이프앤진
기타 자회사 목록 보기
KGC예본
정관장고빈유한공사
Korean Red Ginseng Corp., Inc.
정관장육년근상업(상해)유한공사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재팬
길림한정인삼유한공사
비전 Total Health-Care Solution Provider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종합 H&B 기업
소재지 본사 - 대전광역시 대덕구 벚꽃길 71 ( 평촌동, KT&G)
서울사옥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416 ( 대치동, KT&G타워)
R&D본부 -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7길 65 A동 ( 갈현동, 과천상상자이타워)
인재개발원 -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보삼로 618-10 (내강리)
제조 공장 소재지 보기
고려인삼창(원주공장)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북원로 2955 (장양리)[2]
고려인삼창(부여공장)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흥수로 846 (내리)[3]
영업 지사 소재지 보기
서부지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 11, 6층 ( 문래동5가, KT&G영등포지사)
남부지사/동부지사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57, 2층 ( 천호동, 트레벨빌딩)
북부지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12층 ( 갈월동,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인천지사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 272, B033호 ( 운서동, 인천국제공항여객터미널)
부산지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로 29, 3층 ( 부전동, KT&G부산부전지사)
경남지사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363번길 22-41, 2층 ( 팔용동, KT&G 창원지점)
대구/경북지사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로 124, 8층 ( 대명동, 코스모대구빌딩)
광주/전남지사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62, 2층 ( 농성동, KT&G전남본부)
대전/충남지사 -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861, 2층 ( 삼성동, KT&G동대전지점)
울산지사 - 울산광역시 중구 북부순환도로 887, 2층 ( 서동, KT&G울산지사)
강원지사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춘로5번길 23, 1층 ( 퇴계동, KT&G강원본부)
전북지사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마전들로 66, 3층 ( 효자동3가, KT&G전북본부)
충북지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대농로 33, 718~721호 ( 복대동, 테라스퀘어)
제주지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북로 33, 6층 ( 노형동, KT&G제주사옥)
사업소 소재지 보기
북부사업소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북원로 2955, 3층 (장양리)
서부사업소 -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동로 70, 501호 ( 망월동, 더오페라1차)
중부사업소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중심상업로 31-4, 6층 601호 (양청리, 엔젤오메가빌딩)
남부사업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남로 29-15, 5층 ( 효자동2가, 휴본빌딩)
웹사이트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홈페이지
전국담배인삼노동조합 한국인삼공사지부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블로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유튜브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인스타그램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카카오스토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페이스북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포스트
대표 전화 1588-2304

1. 개요2. 지배 구조3. 역대 사장4. 브랜드
4.1. 정관장
5. 스포츠단 운영6. 여담7. 관련 문헌

[clearfix]

1. 개요

▲ (주)한국인삼공사 공식 홍보 영상
더 건강한 내일을 만들어가는 기업
(주)한국인삼공사의 슬로건
홍삼 및 홍삼 제품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기업. 원래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했지만 이례적으로 이름은 그대로 '공사' 명칭을 사용한다. #

1899년 12월, 대한제국에서 황실 물품을 관리하는 궁내부 내장원 내에 '삼정과'를 설치한 것이 유래이다. 삼정과 설치 후 정부차원의 홍삼 관리가 계속되어 왔고, 전매청 인삼사업부문-담배인삼공사 인삼사업부문 시기를 거쳐 삼정과 설치 100년을 맞이한 1999년 1월에  KT&G의 자회사로 독립했다.

현재 프로 스포츠 남자 농구단/ 여자 배구단, 탁구단, 배드민턴단을 운영하며 스포츠마케팅에도 힘쓰고 있다.

본사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벚꽃길 71 (평촌동)에 있으며, 서울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416 ( 대치동)에 있다. 이외에도 전국에 14개의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4]

2. 지배 구조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KT&G
100.00%

3. 역대 사장

4. 브랜드

4.1. 정관장

정관장 홍보 영상
KGC측 홍보에 따르면 '정관장'의 시초는 일제강점기였던 1940년, 조선총독부 전매국 지나 짝퉁을 견디다 못해 ' 관청에서 감독한 정품'이라는 의미에서 수출용 홍삼 캔에 붙인 상표였다고 한다. 엄밀히 따지면 제국주의 일본의 상표이자 관청의 세금 수탈의 상징인데 광복과 민영화를 거치면서 더 이상 ' 관청'에서 만들고 파는 제품이 아님에도 브랜드 자체는 잘 사용하다가, 일제강점기 잔재라는 문제가 뒤늦게 터져 홍보 자료에서 유래 부분은 싹 지워버리고 현재는 'SINCE 1899'[5]만 쓰고 있다. # # 앞서 자신들이 자신있게 밝혔다가 뒤늦게 숨긴 이러한 배경을 어느 홍삼 판매업자가 다시 까발렸다는 이유로 너 고소를 시전했다가 패소해 역관광당한 판례는 아예 국가법령정보센터 박제되기까지 했다.

KT&G 담배 사업부처럼 독점 사업자인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가 된 탓에 홍삼 시장에서의 점유율이나 위상은 독보적이다 못해 대부분의 건강기능식품 회사에서 건기식 원료 시장의 4분의 1[6] 이상을 차지하는 홍삼 시장을 포기하거나 매우 적은 수준의 매출만을 가져가고 있으니 시장을 여전히 거의 독점하다시피 과점하고 있다.

과거 광고 모델은 펭수, 안성기 (정관장 일반), 김성령 (화애락), 한석규 (천녹), 정해인, 박은빈 (에브리타임), 김지원 (굿베이스), 전광렬, 유지태, 김동현, 김혜윤 (에브리타임), 엄정화 (천녹톤), 김지훈 (홍삼톤) 등이다.

현재 광고 모델은 임영웅 (정관장 일반), 천우희 (에브리타임) 등이다.

2024년 7월부터 동방신기가 일본 모델을 맡게 되었다. #

써브웨이와 더불어 방송에서 압도적인 양의 PPL을 자랑하고 있다. 과장 좀 보태서 정관장 안 나오는 드라마 찾는게 더 힘들 정도다. 그나마 써브웨이에 비하면 스토리상 등장해도 위화감이 더 적은 편이지만 PPL이 과하게 들어간 드라마의 경우 작중 등장인물이 정말 시도때도 없이 홍삼 스틱을 빨아재껴 드라마의 몰입에 방해를 주는 경우가 많아 시청자들에게 온갖 욕을 들어먹고 있다.

자사 제품을 통신 판매하는 정관장몰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건강식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반려동물 식품 등 품목의 범위가 넓다. 해외 건강 식품 역시 판매 중이다. 홈페이지 접속 렉이 너무 심해서 버퍼링만 10분 넘게 걸리다가 결국 성질 나서 나와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국내 외 시장에서 가짜 홍삼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해 한국조폐공사와 기술 협력을 체결해 위변조 방지 기술을 한국인삼공사 제품에 적용하기로 했다. #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0003905602_001_20170316040537572.jpg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0002350338_001_20170118192611638.jpg

파일:정관장 로고.svg

5. 스포츠단 운영

파일:정관장 로고.svg
정관장 스포츠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농구 배구 배드민턴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 파일: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엠블럼.svg 파일: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KGC인삼공사 배드민턴단 엠블럼.svg
<rowcolor=#ffffff>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정관장
배드민턴단
}}}}}}}}}}}} ||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정관장 탁구단, 정관장 배드민턴단, 정관장 천녹을 KT&G로부터 이관 받아 운영 중이다. 특히 농구단인 안양 정관장은 2010년대 이후로 4회 우승을 차지하는 등 농구 명문의 길을 걷고 있다.
파일:2023-24 정관장 프로농구 로고.svg
2023-2024 정관장 프로농구

2017-2018 시즌 프로농구의 타이틀 스폰을 맡았다. 자사 대표 브랜드인 정관장을 타이틀로 내세웠다. 2021-2022, 2023-2024 시즌 역시 타이틀 스폰을 맡았다.
파일:23-24정관장.png
대전 정관장 천녹
( 한국바둑리그)

이외에도 한국바둑리그에 바둑팀 '정관장 천녹'을 운영하고 있다. 연고지는 대전광역시. 2017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처음엔 '정관장'으로 시작했으나 이후 '정관장 황진단'으로 팀명을 쓰다가 현재는 '정관장 천녹'이라는 명칭으로 운영 중이다.

6. 여담

7. 관련 문헌



[1] 단, 뿌리삼이 들어있는 수출용 캔 등의 한자 표기는 '大韓民國人蔘公社' (대한민국인삼공사)이며, 내수용으로는 '한국'자를 빼고 조금이나마 더 민영기업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KGC인삼공사'라는 표기를 더 많이 사용한다. [2] 본래 모기업인 KT&G 소속의 연초 제조창이었으나 신탄진공장에 통폐합해 폐쇄한 후 내부 시설을 홍삼 제조 시설로 개수하고 자회사 한국인삼공사에 이관했다. 장양리 버스종점 인근에 있다. [3] 1956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홍삼 제조 공장이다. 본래 부여읍 동남리 정림사지 인근에 있었으나 1978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4] 본사가 있는 대전 바로 옆에 인삼으로 우리나라에서 1등인 금산군이 있다. 이 덕분에 인삼공사는 수혜를 보고 있다. [5] KGC 및 KT&G의 근원이라고 볼 수 있는 대한제국 삼정과의 설치 연도인데 KT&G 쪽에서 자기네들 역사를 13년 앞당겨 'SINCE 1899'는 낙동강 오리알이 되어 버렸다. [6] 이마저도 최근 산업의 성장세와 여러 원료들의 개발 등으로 엄청 낮아진 수준이다. [7] 1988년부터 2001년까지 CJ제일제당(당시 제일제당 現 롯데칠성음료 음료사업부)에 위탁 판매했었다. [8] 8.15 광복 직후부터 전쟁 전까지 개성시 38선 이남에 속해 대한민국의 실효지배 영역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