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PC 제품 역사 | ||||
PC | XT | jr | AT | PS/2 |
IBM PC XT (model 5160)
1. 개요
IBM PC 5150의 업그레이드 모델로 1983년 3월 8일에 출시. XT는 eXtended Technology의 약자로, IBM PC의 마이너 업그레이드 버전에 해당한다. 기본 구조와 CPU는 IBM PC 5150 모델과 동일하지만, RAM을 늘리고 하드 디스크를 내장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본격적으로 IBM PC가 시중에 보급된 계기를 만들었을 정도로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하였다.POST 메모리 검사 과정을 화면 상에 표현하기 시작한 첫 IBM PC 기종이기도 하다.
2. 하드웨어
하드웨어면에서는 전작 IBM PC 5150의 사양과 거의 유사하다.-
CPU/코프로세서
인텔 8088@4.77MHz. IBM PC 5150과 동일한 제품을 탑재하였다. 보조 연산 장치인 8087 코프로세서나 보조 입출력 장치인 8089 코프로세서를 추가로 달 수 있는 점도 동일.
-
RAM
IBM PC 5150에 비해 가장 업그레이드 된 점이다. 최대 640KB까지 확장할 수 있었다. 초기 리비전은 64~128KB를 메인보드에 납땜하고 256KB까지 확장 가능한 소켓을 두었고 후기 리비전의 경우에는 256KB를 메인보드에 납땜해두고 640KB까지 확장할 수 있는 소켓을 두었다. 초기 리비전의 경우 640KB까지 인식은 했지만 640KB를 설치하려면 별도의 메모리 보드를 확장 슬롯에 설치해야 했다.
여담으로 'RAM은 640KB면 충분하다.' 라는 소문의 근원이 이 컴퓨터였다.[1] 사실 인텔 8088 프로세서가 다룰 수 있는 메모리의 용량은 1,024KB였지만, MS-DOS에서 기본 메모리를 640KB로 설정하고 나머지 384KB는 하드웨어 영역으로 두었으므로 DOS에서는 640KB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MS-DOS 시절 내내 유저들을 괴롭혔던(?) 기본 메모리 640KB 문제도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
그래픽 카드/
모니터
MDA와 CGA 중에 선택할 수 있다는 점도 IBM PC 5150과 동일했다. 모니터도 IBM PC 5150 시절에 쓰던 모델을 계속 사용했다. 1984년에 PC/AT가 나오고 곧이어 EGA와 PGC[2]가 나왔는데 IBM PC XT도 EGA와 PGC를 별도로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었다.
-
사운드
PC 스피커. 변함없다.
-
보조기억장치
기존의 360KB 5.25인치 2D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1~2대를 기본으로 내장. 옵션으로 10MB 짜리 시게이트 하드 디스크를 달 수 있었다[3]. 나중에 이 하드 디스크는 20MB까지 확장이 가능했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기본으로 내장하게 된 대신 카세트테이프는 더 이상 지원하지 않게 되었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 식별 문자로 A와 B를 배당했던 이전의 IBM PC를 따라 IBM PC XT에서도 A와 B를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전용 식별 문자로 설정했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할 경우 C가 배당되었다. 오늘날 Microsoft Windows에서 메인 드라이브 식별 문자가 C로 잡히는 것이 바로 IBM PC XT 시절의 유산인 셈이다.
-
확장슬롯
8비트 ISA(XT 버스) 8개. IBM PC 5150과 같은 인터페이스지만 슬롯의 수가 3개 늘어나서 좀 더 확장성을 꾀할 수 있게 되었다.
-
키보드
83키. PC/AT의 표준 키보드였던 84키와 레이아웃이 약간 다르다. 83키에는 SysReq키가 없고, ESC등 일부 키의 위치가 다르다. IBM의 키보드는 주로 버클링 스프링 방식 키보드를 사용하는데 독특한 키감 덕에 마니아가 많은 편이다. 버클링 모델 M은 85년에 출시되었고 IBM IBM PC XT발표는 그보다 훨씬 이전이므로 버클링이 쓰였다면 모두 모델 F이라고 할 수 있다. IBM PC XT 시그널이 현행 PC와 호환되지 않지만 그래도 관련 정보가 많이 알려져 있다 보니 컨버터들이 있어 여전히 실사용으로도 인기가 좋다.
3.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PC DOS 2.0이 IBM PC XT와 함께 발표되었다. DOS에 디렉토리(폴더) 기능을 최초로 탑재했다. 이후 PC DOS 3.3까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만을 장착한 IBM PC XT를 고려해 만들었다. PC DOS 외에도 유닉스도 사용 가능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AT&T에게 라이선스를 받아 1980년에 만든 'Xenix'라는 유닉스계 운영체제를 IBM PC XT로 이식해 내놓았기 때문이다.[4] 물론 Xenix는 특수한 용도로 쓰는 사람들이나 사용했고 일반 사용자는 PC DOS나 MS-DOS를 더 많이 사용했다.
-
BASIC
IBM PC 5150과 동일한 내용의 ROM BASIC을 내장. BASIC.COM, BASICA.COM을 사용하여 디스크 베이직과 어드밴스드 베이직을 호출하는 것도 동일하다.
4. 한국에서의 IBM PC XT
한국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첫 16비트 컴퓨터가 바로 이 IBM PC XT의 호환 기종이다. 1989년 문교부에서 교육용 PC를 지정하면서 학생용으로는 IBM PC XT 호환 기종을, 교사용으로는 IBM PC AT 호환 기종을 지정했기 때문. 이 사업 이전에도 IBM PC 호환 기종이 업무용 목적으로 한국에 들어와 있었고 세운상가의 업체들에서도 호환 기종을 생산하고 있었다. 기존의 8비트 PC를 제조하던 대기업에서도 삼성전자의 SPC-3000을 비롯한 호환 기종을 만들고 있었으나 가격 문제로 보급량은 미미했다. 이 교육용 PC 사업을 기점으로 한국의 개인용 컴퓨터 환경이 IBM PC 호환 기종으로 재편되었는데 이 컴퓨터가 1983년에 나온 것을 생각하면 본격적인 보급은 상당히 뒤늦었다. 이것은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거의 3배로 급성장한 한편 기업체 보급용으로 세운상가조립 16비트 컴퓨터의 단가가 점점 내려가면서, 중산층 가정에서 자녀 교육용 16비트 컴퓨터를 구입할 수 있게 된 시기가 이때였기 때문이다. 이 변화가 매우 심해서, 바로 3~4년 전인 1985~6년께 정부의 각급학교 컴퓨터 보급 정책은 8비트 PC 에 마춰져 있었고, 1988년쯤에 와서 8비트와 16비트가 경쟁했다. 따라서 1989~91년 무렵[5]에 학생 신분이었던 사람들이 PC를 구입했다면 IBM PC XT 호환 기종이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심지어 학교에는 교육용으로 IBM PC XT 호환 기종이 1993년 이후에도 계속 보급이 되었다. 제조사가 삼성/금성/대우전자[6]였고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1개를 내장했으며 모니터가 흑백이면 거의 맞을 것이다. 상세한 내용은 교육용 PC 사업 문서를 참조.이 시기에 도입된 IBM PC XT 호환 기종은 대부분 인텔 8088계열 8~10MHz를 탑재하여 속도 향상을 꾀하였다. 일부러 좋은 부품을 탑재했다기 보다는 8088이 나온지가 오래되다 보니 그냥 10MHz짜리 고속 버전이 일반적으로 구하기 쉬웠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정(...). 그 때문에 일부 게임 소프트웨어는 지나치게 빠르게 동작하는 경우도 있어 CPU 속도를 터보 버튼이나 특정 단축키로 4.77/10MHz를 전환할 수 있도록 만든 기종도 드물지 않았다. 일부는 NEC V20등의 호환칩도 사용했으며 속도가 8Mhz인 경우 십중팔구 이쪽이었다. 인텔 것에 비해 가격이 저렴했을 것으로 추정. AMD호환칩을 장착한 기종도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대기업 제품들을 중심으로 메인보드 설계를 메모리를 256~512KB에서 확장할 수 없는 구조로 만든다던지 확장 슬롯을 4개 정도로 줄인다던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1개만 설치한다던지[7] 하는 비용 절감이 꽤나 성행했다. 좋게 보면 박리다매를 위한 방법이었지만 나쁘게 보면 호갱님 등쳐 먹기. 이 시기에 IBM PC 호환기종의 가격이 크게 내려간 것은 사실이나 중소기업 제품들은 대부분 오리지널 IBM PC XT에 준하는 사양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좋게 보기만은 어려웠다. 또한 한국에서는 한글 문제로 미국과 달리 서드 파티 제품인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개조한 한글 카드도 시중에 많이 나왔었다.
4.1. 당시 한국에 보급된 주요 호환기종들
- 대우전자 코로나 PC(CPC-3000 시리즈): 훗날 아이큐 슈퍼 시리즈로 이어진다.
- 삼성전자 SPC-3000 시리즈. 훗날 알라딘 시리즈로 이어진다.
- 금성사 파트너 시리즈.
- 대우통신 프로 엘리트. 대우전자가 XT로 큰 재미를 못보던 때 뒤늦게 등장해 3.5인치 FDD를 기본으로 달고나오며 화제가 되었다.
- 현대전자 SUPER-16 시리즈.
- 삼보 트라이젬 시리즈.
이렇게 웬만큼 인지도있는 기업에서는 모조리 XT PC를 내놓아 당시 가정용 IBM-PC 호환기종 보급에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교육용PC 사업이 시작된 이후에는 대부분 8088-I 10Mhz에다가 기본 512-640KB RAM을 달고 나왔고 키보드도 오리지널 IBM PC/XT의 레이아웃을 모방한 한글 86키 멤브레인 키보드가 주류. ISA슬롯은 4개 정도. 차별화된 부분이라면 단색 모니터의 색상(그레이/그린 등)과 기본 장착하고 나온 FDD의 수 정도였다. 번들로 제공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은 저마다 달랐지만 어차피 그런 것을 돌리려고 사는 PC가 아니었기에 큰 의미는 없었다. 정작 수리 면에선 저마다 전용의 메인보드와 파워서플라이 등을 달고 나와 개인 수리가 쉽지 않았으며 심지어 일부 기종은 그래픽카드도 비표준 방식을 달고 나와 향후 확장성도 크게 제한되었다. 오히려 중소기업이나 세운상가 등에서 보급한 기종들이 표준 부품을 사용했기에 유지보수나 확장성 면에서 더 유리했다.
[1]
빌 게이츠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본인은 부인했다.
참고
[2]
Professional Graphics Controller. PGA라고도 한다. 1984년에
VGA에 필적하는 640*480*256 컬러/4096 팔레트를 사용할 수 있었던 굉장한 물건. CAD 등의 전문가용 머신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었으나 가격이 너무 흉악해서 묻혔다.
이거 한 장 가격이 PC 한 대보다 더 비쌌다(...). 용도나 가격으로 보았을 때 요즘으로 치면
NVIDIA 쿼드로나 타이탄 시리즈 같은 특수 목적의 고가 비디오 카드라고 생각하면 비슷할 듯.
위키피디아 PGC 항목. 사진을 보면 요즘 나오는 그래픽 카드처럼 슬롯 2개를 차지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3]
당시 이 회사에서 내놓은 10MB모델은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베이를 2개 차지하는 ST-412로 5MB모델인 ST-506도 있었다.ST-506의 경우 아예 인터페이스 이름으로도 쓰였다.
[4]
원래는 DEC PDP-11용이다.
[5]
1992년 이후에는
IBM PC AT 호환기종이나
386급 기종이 주류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6]
대우는 대우전자와 대우통신이 따로 사업을 진행했었다. 대우통신 쪽의 모델은 당시로서는 흔하지 않던 3.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내장한 것이 특색.
[7]
위 사양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원래 오리지널 XT 사양은 메모리 640KB까지 확장 가능에 FDD 2개, 혹은 FDD 1개+HDD 1개, ISA 확장 슬롯은 8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