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18:38:23

EGA

IBM PC 그래픽 카드
MDA CGA EGA VGA XGA
파일:external/www.tommoody.us/ega_art_detail2_448.gif 파일:external/www.welovedosgames.net/old_032.png
LOOM 무도관[1]

1. 개요2. 상세3. 동아시아에서의 EGA

1. 개요

1984년에 IBM이 개발한 그래픽 카드. EGA는 Enhanced Graphic Adaptor의 약자다. 이름대로 CGA에 비해 강화(Enhanced)된 그래픽 기능을 가지고 나온 카드로 IBM PC AT가 나오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발매되었다. 연결 단자로 RGBI를 사용한다.

2. 상세

EGA가 출력할 수 있는 화면 모드는 다음과 같다.
CGA는 고작 16KB의 비디오 메모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320×200 해상도에서 4색, 640×200 해상도에서 2색만 표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EGA는 기본 비디오 메모리로서 64KB를 탑재하였고, 최대 256KB까지 확장할 수 있었다. 128KB 이상의 메모리 상태에서는 640×350까지의 해상도에 16색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었다. CGA의 최대 단점이었던 낮은 해상도와 색상 표현력을 보완한 셈이다. 게다가 적록청 화소의 밝기를 4단계(꺼짐, 어두움, 중간, 밝음)로 해서 총 64색(43)을 팔레트 공간으로 가졌다. 즉, '색상'과 '고해상도' 중 어느 쪽도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다. 이게 개발되면서 IBM PC와 그 호환 기종들은 본격적인 고해상도 컬러 그래픽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하위 호환에 신경쓰는 IBM 답게 MDA 모니터(IBM 5151), CGA 모니터(IBM 5153)와 호환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EGA에서 지원하는 64색은 다음과 같다. 이들 중 # 표시가 있는 색상은 CGA에서도 지원하는 16색.
# # # # # # #
#
# # # # # # # #

CGA에서 저해상도 글꼴이 악명 높았으나, EGA로 넘어오면서 이 점도 수정되어 보다 미려한 로만체를 지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문자 모드에서 글꼴 세로 해상도를 반토막내 43행을 지원하는 기능도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85년에 나온 아미가 아타리 ST, 그리고 그 이듬해인 1986년에 나온 애플 IIGS는 색상 표현이 EGA보다 월등했기 때문에 CGA의 악명 높은 색상 표현 수준을 벗어나긴 했어도 높은 평가까지는 받지 못했다. 그냥 나쁘지는 않다, 내지는 CGA의 저질 그래픽에서 벗어났다 정도.

파일:external/i472.photobucket.com/guybrush368.jpg
루카스 아츠의 원숭이 섬의 비밀 초기판.

같은 16색을 사용하는 비슷한 시기의 컴퓨터( MSX2 등)과 비교했을 때도 64색의 적은 팔레트 공간 때문인지 색감이 전반적으로 원색적이고 튀는 느낌이 있다. 척 보면 EGA 그래픽인 것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독특하다.

똑같이 동시 발색 수가 16개인 비슷한 시기의 컴퓨터( MSX 2등)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색감이 원색적이고 튀는 느낌이 있다. 위와 같이 게임에서 피부 색깔이 묘하게 벌겋게 묘사됐다 하면 십중팔구 EGA 이는 다른 컴퓨터 기종이 필요에 따라 팔레트 공간에서 가장 적절한 색 조합 16색을 사용한 데 반해, EGA는 64색 팔레트 중 기본 16색 팔레트만 쓴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EGA의 기본 16색 팔레트는 CGA 모니터가 표현할 수 있는 색상 가지 수와 일치했다. 기본 16색 팔레트를 쓸 경우 CGA 모니터(16색 표현 가능)와 EGA 모니터(64색 표현 가능)를 모두 지원할 수 있었으므로, 게임 개발사는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의도적으로 사용 색상을 제한했다. 만약 CGA 모니터가 지원할 수 없는 색상을 사용할 경우, 주류인 CGA 모니터 사용자에게는 게임을 판매할 수 없고 소수인 EGA 모니터 사용자만 판매 범위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EGA 색상 팔레트에 피부색을 표현하기에 더 적절한 색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불그스름한 색상이 피부색으로 선택된 이유이다.

그래도 IBM의 표준 컬러 그래픽으로 자리매김하며 ATI의 EGA Wonder 같은 호환 카드도 나오는 등 나름 북미와 서유럽 지역에서 선방했으며 1987년에 EGA 하위 호환 기능을 갖춘 VGA가 발매될 때까지 충분히 대중화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지원하는 게임은 아주 많이 있다. 1990년 무렵까지도 EGA까지 지원하는 게임을 흔하게 볼 수 있었고 VGA가 일반화되고 난 1990년대에도 한참을 EGA 그래픽을 동시 지원하는 게임이 많이 나왔다. 한국에도 많이 알려진 게임이라면 대만에서 만든 삼국지 게임인 삼국연의[2]가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와 함께 EGA의 640×350 16색 그래픽 모드를 지원한다. PC판 삼국지 2도 EGA를 지원하지만 PC-8801판을 이식했기 때문에 8801판의 해상도에 맞추어 640×200 해상도를 사용한다.

3. 동아시아에서의 EGA

북미, 유럽과 달리 많이 저조했다. 한 시대를 풍미하며 표준 그래픽 어댑터로 자리매김했던 미국, 유럽과 달리 한국, 홍콩, 대만에서는 그리 널리 쓰이지 못하고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에 밀리다가 바로 VGA로 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에서도 1980년대 후반에 일부 중소업체가 EGA 호환 보드를 내장한 AT급 PC를 내놓기도 했으나 그다지 많이 팔리지는 못했다. 일단 모니터를 포함한 가격이 당시 개발도상국이었던 대한민국에서 너무 비쌌고, 640×350의 해상도로 2바이트 문자권(DBCS) 국가들의 표준 문자 규격인 40×25행으로 출력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싼 가격을 감수하고 도입할 장점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사무용 시장은 무시할 수 없지만 당시에는 사무용 시장이 개인용 시장보다 컸기 때문에 문자 모드는 중요한 요소였다.

이러한 문제로 동아시아에서는 EGA보다는 비록 단색이지만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다가 1990년대에 ATI, S3 Graphics, Tseng Labs 같은 기업들에서 표준 VGA와 완전히 호환되면서도 더 많은 색상과 고해상도(SVGA), 윈도우 GUI 가속 기능들을 추가로 넣은 그래픽 칩셋들을 우후죽순 발매하며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가격이 저렴해진 이후에 VGA로 넘어갔다. 이런 이유들로 동아시아의 EGA 보급은 대체로 매우 저조하였다. 그러나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인들에게도 EGA 그래픽이 보여주는 독특한 미감은 제법 익숙한 편인데, VGA가 EGA를 완벽하게 지원했고 상당기간 EGA까지만 지원되는 게임이 꽤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동시기 일본은 개인용 컴퓨터로 PC-98 시리즈가 주류였기 때문에 EGA가 쓰일 일이 없었다. PC-9801은 40자×25행의 가나/한자 표기를 목표로 개발된 컴퓨터였기 때문에[3] 이전부터 640×400의 고해상도를 지원하고 있었다. 한편 색상의 경우 4096색 중 최대 16색 발색을 지원했다. 일본 PC 환경 시장의 주류가 PC-98 시리즈에서 IBM PC 호환 기종으로 넘어간 것은 Windows 95 발매 이후이다.


[1] 단 이 게임은 원래 320×200/256색의 VGA 모드까지 지원한다. 그냥 EGA 모드로 출력한 것. [2] 한국에도 정식 유통되어 최초로 한글을 지원하는 삼국지 게임으로 홍보했다. 그 전에 삼국지 2 영문판이 (불법복제로) 유통되긴 했지만 한참 나중에 비스코가 정식으로 수입하기 전까지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았다. [3] PC-9801이 일본에서 워낙 성공하여 널리 보급되어 가정용, 게임용으로도 쓰였지만 애초 1982년 첫 발매 당시에는 가정용 포지션은 PC-8801이 차지하고 있었고 9801은 IBM PC처럼 사무용으로 개발된 기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