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30 20:50:08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전개3. 원인4. 결과5. 같이보기

1. 개요

1980년 5월 18일 0시를 기준으로 당시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만 한정하여 발령되어 있었던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한 조치. 전두환 노태우가 주축이 된 하나회의 정권 장악을 위해 신군부가 일으킨 5.17 내란의 핵심이다.

2. 전개

1979년 12월 12일 12.12 군사반란으로 사실상 정국을 장악한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은 전두환의 집권 성공을 위해서 야권 노동계, 학생계 민주화 분위기를 차단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 시기에 그들은 대한민국 국회 해산 및 3김의 정치 활동 규제, 비상기구(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의 설치를 기도하고 육군특수전사령부를 중심으로 한 일명 '호국충정훈련'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쿠데타를 위한 사전준비 작업이었다.

민주화 분위기가 고조되던 5월 17일에 신군부 세력 주도로 전군주요지휘관회의가 열렸고 노태우· 황영시 등 신군부 세력은 이 자리에서 국방부 장관이었던 주영복과 주요 지휘관들로부터 '비상계엄 확대 찬성'에 대한 백지(白紙) 의결서를 반강제적으로 받아냈으며[1] 이를 빌미로 대통령 최규하 국무총리 신현확에게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를 취할 것을 강요했다. 결국 5월 17일 24시( 5월 18일 0시) 부로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만 한정하여 발령됐던 비상계엄이 제주도까지 포함한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이때부터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 내란 세력은 쿠데타를 향해 파죽지세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김대중, 김종필을 체포하고 김영삼까지 정치활동 규제 및 강제적 정계 은퇴를 유도하고[2] 특히 김대중 간첩으로 몰아 사형 선고까지 받게 했다. 광주 일원에서 벌어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시민들을 폭도로 규정하고 총포로써 가혹하게 진압하고 잔인하게 학살했다.

부산, 광주, 서울에 집중적으로 군이 배치되었다.

3. 원인

계엄령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누어지며 지역으로 구분하면 '전국계엄'과 '부분계엄'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은 사실상 전국에 가깝지만 형식적으로는 '부분계엄' 밖에 안 되기 때문에 계엄사령부가 국방부 장관의 통제를 받게 된다. 하지만 전국계엄이 선포되면 사정이 다소 달라지는데, 계엄사령부가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변경된다. 즉, ' 제주도 포함 전국 비상계엄'이 선포되면 계엄사령관이 전국의 모든 행정, 입법, 사법을 사실상 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 계엄사령관이었던 육군참모총장 이희성( 육군 대장 / 육사 8기)은 학교 후배이자 하급자인 국군보안사령관 겸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인 전두환( 육군 중장 / 육사 11기)의 사실상 통제를 받고 있었다.[3]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4. 결과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는 신군부가 정권 장악을 위해서 일으킨 5.17 내란의 핵심이었다. 이 조치로 신군부는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등 모든 제도권 정치세력과 학생운동권, 재야민주화운동세력까지 자신들에게 걸리적거리는 모든 반대파를 제거하고 정국을 완벽하게 장악하였다.

이 사태로 모든 정치 활동과 집회는 금지되었고 이후 제도권 내 인사들을 사회혼란 및 학생, 노조 배후조종 혐의 및 부정축재자로 규정하여 수백명의 일반직, 특정직, 정무직 공무원, 야당인사들을 퇴출해 행정권·입법권을 장악했으며 신현확 내각은 반강제로 사퇴했다.

이후 신군부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약칭 국보위)를 설치하고 전두환은 국보위 상임위원장을 거쳐 1980년 8월 통일주체국민회의의 추대로 제11대 대통령에 취임하였으며 1980년 10월 초법적 입법기관인 국가보위입법회의를 설치하여 입법권도 장악하였다.

이듬해 2월 전두환은 기존의 대통령 간선 기관인 통일주체국민회의의 제도를 살짝 변형한 대통령선거인단 제도를 마련해 12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으며 민주화를 향한 국민들의 열망은 좌절되고 다시금 군부통치가 이어지게 되었다.

5. 같이보기


[1] 당시 회의에 참가했던 전성각 3군단 사령관은 군을 떠날 각오를 하지 않고서는 반대의견을 낼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고 말한 적이 있다. [2] 야권 분열을 유도하기 위해 김영삼은 체포하지 않았다. [3] 다만 전두환은 이 시기에 중앙정보부장(서리)을 겸직하고 있었다. 당시 중앙정보부장은 부총리 급이므로 직책상으로는 육군참모총장보다 서열이 압도적으로 높다. 심지어 각 군 참모총장들도 배석하지 못하는 국무회의에도 참석할 수 있었다. 그래서 계급은 낮지만 직책은 더 높은 상황이 벌어진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