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fff> 일본의 주화 | ||||||
<colbgcolor=#8a0808> 액면가 | ||||||
¥1 | ¥5 | ¥10 | ¥50 | ¥100 | ¥500 | |
도안 | 어린 나뭇가지 | 벼 이삭 | 뵤도인 | 국화 | 벚꽃 | 오동나무 |
1. 개요
[ruby(五円硬貨, ruby=ごえんこうか)] / [ruby(五円玉, ruby=ごえんだま)]1948년(쇼와 23년) ~ 1949년(쇼와 24년) | 1949년(쇼와 24년) ~ 1958년(쇼와 33년) | 1959년(쇼와 34년) ~ |
앞면: 국회의사당 / 뒷면: 비둘기, 매화 | 앞면: 벼, 톱니바퀴, 물 / 뒷면: 새싹 | |
지름: 22mm, 무게: 4.0g | 지름: 22mm, 무게: 3.75g, 구멍 지름: 4mm |
일본 조폐국에서 1948년( 쇼와 23년)부터 발행 중인 일본의 화폐. 현재 일본의 유일한 황동 주화이며 1948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구리 60~70%, 아연 30~40%의 합금비를 유지하고 있다.
2. 역사
일본 최초의 5엔 주화는 메이지 유신 직후의 화폐개혁 때 도입한 5엔 금화였다. 메이지 3년(1870년)부터 발행하기 시작하였다.1948년에 일본 정부에서 지폐를 대체할 목적으로 5엔 주화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전후 황동이 많이 남아돌아서 5엔도 황동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많은 황동의 출처는 다름아닌 전시물자였다. 5엔 이외에도 50센(0.5엔), 1엔 주화 역시 제2차 세계 대전 때 쓰였던 전투기 등의 전투물자를 전후에 폐기하면서 나온 황동(놋쇠)으로 만들었다.[1] 전술한 것과 같이 10엔 주화에 비해서도 합금비의 오차가 커진 이유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맨 왼쪽의 사진처럼 구멍이 없었으며 테두리에는 톱니를 새겼지만 해당 주화는 딱 2년 간만 발행되고 지금처럼 구멍이 뚫리고 톱니가 없어졌다. 구멍을 뚫은 이유는 두 이유가 있었는데 가장 큰 이유는 당시의 1엔 황동화와 헷갈렸기 때문이다. 1엔 황동화도 하필 톱니가 새겨져 있어서 둘을 많이 혼동했다. 거기다 당시에 50센 동전도 황동화에 톱니가 있어서 혼돈 그 자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인플레이션으로 원자재값이 올라서 재료비를 줄일 목적으로 구멍을 만들었다.
결국 쇼와 24년(1949년)부터 톱니를 없애고 구멍 뚫은 2차 5엔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했다.[2] 현행 5엔 디자인은 2019년 기준으로 무려 70년이나 된 도안이다. 다만 지금의 5엔 도안과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었다. 우선 지금의 반듯한 5엔의 글씨체와 달리 붓글씨( 해서체)로 되어 있어 고풍스런 느낌이 난다. 또한 당시에는 신자체 체계를 세운 지 얼마 안돼서 일본국(日本国)의 国자를 國으로 썼었다. 이것을 쇼와 33년(1958년)까지 발행했으며, 이러한 주화를 현지에선 후데고(フデ五/붓글씨 5엔)이라 부른다.[3] 지금의 5엔과 도안도 비슷하고 스펙도 차이가 없어서 지금도 섞여서 유통중이긴 하지만 60년도 넘은 주화들이라 찾아보기 매우 힘들다. 같은 입장인 톱니 10엔보다도 시중에서 잘 안보이는 편이다. 톱니 10엔은 비교적 자주 발견되는 편이지만 현지에서 대략 500개 중에 1개 정도 나오는 편이다.
1951년 발행을 시작한 10엔부터 시작해서 5엔을 제외한 모든 액면의 주화에 신자체를 적용함에 따라 (쇼와 34년)1959년에 5엔도 통일성을 위해 国으로 변경하여 발행하기 시작했다. 그와 동시에 글씨체도 고딕체로 변경하였다. 이때 지금의 5엔이 탄생하였다.
한동안 발행량이 많았으나, 전자화폐의 보급으로 2000년대부터 줄기 시작했다. 1엔 주화보단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으로 소비세가 5%였던 시절에도 100엔 샵 등지에서 수요가 나왔다. 그럼에도 많은 양이 남아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는 민트세트 전용으로만 발행하였다. 하지만 2014년부터 한시적으로 소비세를 8%로 인상하면서 통용 5엔 생산을 재개하였다. 소비세가 10%로 오른 이후에도 소액이지만 2021년까지는 매년마다 꾸준히 발행하였다.[4] 2022년부터는 도로 민트세트용으로만 발행하고 있으나 발행비용도 아직 1엔처럼 액면을 넘진 않아서 시중에서 완전히 도태시킬 정도까진 아니다.[5]
3. 쓰임새
자판기에서는 10엔부터 받기 때문에 ATM이 아닌 이상은 1엔과 더불어 애물단지가 되곤 한다. 단기 체류자격으로 방문한 사람 입장에선 ATM 입금을 이용할 일이 없으니 더더욱 그렇다. 극히 일부 자판기업자는 음료수 용기에 5엔을 테이프로 붙여 거슬러주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가격이 125엔인 경우 표시는 125엔으로 해 놓지만 자판기가 받는 가격은 130엔으로 설정해 놓고 뽑으면 테이프로 붙인 5엔 주화를 음료수 용기를 통해 거슬러주는 방식이다.일부 편의점의 복합기에서는 5엔을 받는다. 주로 훼미리마트와 미니스톱의 복합기에서 인식한다. 혹시나 5엔 동전을 처치하고 싶은데 복합기를 이용해야 할 경우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과거에는 세븐일레븐의 복합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으나 새 500엔 동전에 대응되는 설비로 교체하면서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또한 다이소와 일부 슈퍼마켓, 할인점의 셀프계산대에서는 5엔뿐만 아니라 1엔 동전도 받아주기 때문에 점원 눈치볼 것 없이 처리할 수 있다.
4. 5엔주화 발행량
화폐세트 전용 주화는 볼드처리.연호 | 서력 | 5円(엔) |
昭和23年 | 1948 | 74,520,000 |
24年 | 1949 | 구권 : 179,692,000 |
신권 : 111,896,000 | ||
25年 | 1950 | 181,824,000 |
26年 | 1951 | 197,980,000 |
27年 | 1952 | 55,000,000 |
28年 | 1953 | 45,000,000 |
29年 | 1954 | 미발행 |
30年 | 1955 | 미발행 |
31年 | 1956 | 미발행 |
32年 | 1957 | 10,000,000 |
33年 | 1958 | 50,000,000 |
34年 | 1959 | 33,000,000 |
35年 | 1960 | 34,800,000 |
36年 | 1961 | 61,000,000 |
37年 | 1962 | 126,700,000 |
38年 | 1963 | 171,800,000 |
39年 | 1964 | 379,700,000 |
40年 | 1965 | 384,200,000 |
41年 | 1966 | 163,100,000 |
42年 | 1967 | 26,000,000 |
43年 | 1968 | 114,000,000 |
44年 | 1969 | 240,000,000 |
45年 | 1970 | 340,000,000 |
46年 | 1971 | 362,050,000 |
47年 | 1972 | 562,950,000 |
48年 | 1973 | 745,000,000 |
49年 | 1974 | 950,000,000 |
50年 | 1975 | 970,000,000 |
51年 | 1976 | 200,000,000 |
52年 | 1977 | 340,000,000 |
53年 | 1978 | 318,000,000 |
54年 | 1979 | 317,000,000 |
55年 | 1980 | 385,000,000 |
56年 | 1981 | 95,000,000 |
57年 | 1982 | 455,000,000 |
58年 | 1983 | 410,000,000 |
59年 | 1984 | 202,850,000 |
60年 | 1985 | 153,150,000 |
61年 | 1986 | 113,960,000 |
62年 | 1987 | 631,775,000 |
63年 | 1988 | 396,120,000 |
昭和64年 | 1989 | 67,332,000 |
平成元年 | 960,660,000 | |
2年 | 1990 | 520,953,000 |
3年 | 1991 | 517,120,000 |
4年 | 1992 | 301,130,000 |
5年 | 1993 | 413,240,000 |
6年 | 1994 | 197,767,000 |
7年 | 1995 | 351,874,000 |
8年 | 1996 | 207,213,000 |
9年 | 1997 | 239,086,000 |
10年 | 1998 | 172,612,000 |
11年 | 1999 | 60,120,000 |
12年 | 2000 | 9,030,000 |
13年 | 2001 | 78,025,000 |
14年 | 2002 | 143,662,000 |
15年 | 2003 | 102,406,000 |
16年 | 2004 | 70,903,000 |
17年 | 2005 | 16,029,000 |
18年 | 2006 | 9,594,000 |
19年 | 2007 | 9,904,000 |
20年 | 2008 | 9,811,000 |
21年 | 2009 | 4,003,000 |
22年 | 2010 | 510,000 |
23年 | 2011 | 456,000 |
24年 | 2012 | 659,000 |
25年 | 2013 | 554,000 |
26年 | 2014 | 87,538,000 |
27年 | 2015 | 105,004,000 |
28年 | 2016 | 35,064,000 |
29年 | 2017 | 33,927,000 |
30年 | 2018 | 17,960,000 |
平成31年 | 2019 | 16,946,000 |
令和元年 | 20,574,000 | |
2年 | 2020 | 29,528,000 |
3年 | 2021 | 10,133,000 |
4年 | 2022 | 574,000 |
5年 | 2023 | 463,000 |
6年 | 2024 |
최고 발행액: 1975년(쇼와 50년)9억 7000만 장
최저 발행액[6]: 2009년(헤이세이 21년)400만 3천 장
5. 기타
-
일본계
서브컬처에서
최면을 걸때 이 동전을 사용하는 것은
클리셰.
왜 5엔 동전이랑 똑같이 구멍 뚫린 50엔 동전은 안 쓰는 걸까?5엔의 10배 강한 효과를 지녀서. - 아주 가끔 다른 동전과 커플링으로 엮이기도 한다. 예시
- 일본의 주화중에 유일하게 아라비아 숫자가 하나도 없다. 액면의 숫자도 전부 한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자문화권(한,중,일,홍콩,마카오,싱가포르) 이외의(유럽,중동,아프리카,아메리카대륙 국적) 외국인은 숫자를 읽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5엔으로 인해 화폐 구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직관적이지는 않지만 비한자권 외국인 한정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구멍이 있는 동전은 이 문서의 5엔과 50엔 인데, 은색에 구멍이 있는 큰 동전이 50엔, 황동색에 동전 크기가 작은 것이 5엔이다. 이를 알려주면 의외로 금방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아라비아 숫자가 쓰여 있지 않은 동전은 5엔 하나밖에 없으므로 소거법으로도 판단할 수 있다.
- 5엔 동전은 '인연'을 상징하는데, 5엔(五円)과 인연(ご縁)의 일본어 발음이 ごえん으로 같기 때문. 그러나 이 점을 이용해서 기념품점에서 스트랩 등 기념품으로 만들어서 100엔 넘는 가격에 팔아 먹는 것을 보면 묘하다. 이런 이유로 신사나 절에서 참배할 때 보통 신과 인간의 인연을 잇는다는 뜻에서 5엔을 던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일본만화와 소설에서 간간히 산사에서 무녀나 신이 사람들이 소원 들어 달라고 하는 일이 그깟 푼돈이나 던지는것이라고 푸념하는 개그씬이 종종 나오기도 한다.
- 의외로 거스름돈으로 받기 힘든 동전이기도 하다. 5단위 화폐 특성상 1엔보다 거슬러 주는데 쓰이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 바로 위의 이유로 단기체재하는 여행객 입장에선 몇 개 못 얻는데다가 구멍 뚫려서 신기하게 생겼다는 것과 인연과 발음이 같다는 두 이유로 기념으로 많이 남겨온다. 거기에 새것의 경우는 황금색에 가까운 빛깔 때문에 더욱 매력적이다. 노끈으로 매달아 목걸이를 만들기도 하며, 여러 개를 엽전꾸러미처럼 꿰어 놓기도 한다. 반면에 황동의 특성상 녹이 가장 잘 슬어서 보관하기는 힘든 편이다. 조금만 보관을 잘못하면 녹이 금방 슬어버린다.
- 1968년부터 세계식량기구(FAO)에서 식량을 소재로 주화로 만들 것을 여러 나라에 권고했는데 일본에서는 벼가 그려진 이 주화로 퉁쳤다. 한국의 경우 아예 통용 주화로 만들어 버렸는데 그것이 바로 50원 동전. 다만 일본과 차이가 있다면 원래 벼이삭을 넣을 생각이 없던 주화에 FAO의 권고를 따라 넣었다는 것이다.
[1]
따지고 보면 전후 40년대에 발행된 일본의 황동 주화에는
일제강점기에
한반도에서 공출된 무수한 놋쇠도 녹아들어갔다고도 볼 수 있다.
[2]
쇼와 24년(1949년)에는 구멍 없는 것과 있는 것 두 종류를 발행했다.
[3]
10엔 주화에도 비슷한 개념으로 톱니 10엔(기자쥬)이 있다. 이들도 마찬가지로 시중에 소수지만 섞여서 유통중이다.
[4]
1엔은 2016년부터 다시 민트세트용으로만 발행 중이다.
[5]
스웨덴이나
노르웨이,
뉴질랜드의 경우처럼 5엔과 유사한 가치를 지닌 통화를 도태시킨 경우도 있지만 흔한 케이스는 아니다.
[6]
화폐세트 전용 주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