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4 10:52:56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행성우주과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과목이 계승한 지난 교육과정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과학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고등학교 과목 ('25~ 高1)
공통 과목 (1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융합 선택
※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및 실험 과목은 과학 계열 선택 과목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고).
■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2027학년도 이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조 바람.
2028학년도 ~ 통합사회 · 통합과학 (상대평가) (문항 수, 시험 시간 미정)
}}}}}}}}} ||




1. 개요2. 단원
2.1. 우주탐사와 행성계2.2. 태양과 별의 관측2.3. 은하와 우주
3. 변화4. 여담

1. 개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과 진로 선택 과목인 행성우주과학에 관한 문서. 약칭 행우.

2. 단원

2.1. 우주탐사와 행성계

[12행우01-01] 태양계 탐사선의 활동을 통해 알아낸 성과를 이해하고, 인공위성을 활용한 우주탐사의 필요성을 토론할 수 있다.
[12행우01-02] 태양 활동 감시 시스템과 지구 접근 천체를 비롯한 지구를 위협하는 우주 위험 감시 기술의 중요성을 우주 재난 측면에서 인식할 수 있다.
[12행우01-03] 태양계를 지배하는 힘이 태양의 중력임을 이해하고,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을 이용하여 태양계 구성 천체들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12행우01-04] 행성과 소천체의 정의를 구분하여 이해하고, 소천체 탐사 자료를 통해 이들의 특징을 추론할 수 있다.
[12행우01-05] 외계 행성계 탐사의 원리를 이해하고, 외계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과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논증할 수 있다.

2.2. 태양과 별의 관측

[12행우02-01] 태양의 광구와 대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고, 이러한 현상이 다양한 파장의 관측 자료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할 수 있다.
[12행우02-02] 별의 시차와 밝기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비교⋅평가할 수 있다.
[12행우02-03] 별의 시선 속도와 접선 속도의 합으로 공간 운동이 나타남을 이해하고,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의 장시간에 걸친 형태 변화를 추론할 수 있다.
[12행우02-04] 쌍성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항성의 질량을 직접적으로 구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질량-광도 관계를 이용하여 쌍성이 아닌 별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12행우02-05] 광도 곡선의 특징을 비교하여 맥동 변광성과 폭발 변광성을 구분하고, 폭발 변광성 중 초신성 관측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과학적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2.3. 은하와 우주

[12행우03-01] 성단의 C-M도를 이용하여 성단의 나이와 거리를 비교하고, 맥동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이용하여 우리은하의 구조와 규모를 추론할 수 있다.
[12행우03-02] 성간 소광 자료를 통해 성간 티끌의 존재를 추론하고, 성간 티끌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2행우03-03] 은하의 회전 속도 곡선을 이용하여 질량 분포를 이해하고 은하에 빛을 내지 않는 물질의 존재를 추론할 수 있다.
[12행우03-04] 대규모로 이루어진 외부은하의 적색 편이 탐사의 성과를 이해하고, 은하의 공간 분포를 파악함에 있어서 분광 관측 자료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12행우03-05] 은하의 공간 분포 자료를 통해 은하의 집단을 이해하고, 은하 장성, 보이드 등 우주의 거시적인 구조를 현대 우주론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3. 변화

4.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