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9:36:25

2009 개정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확률과 통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교육과정 체제하의 동명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확률과 통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 과목 ('14~'17 高1)
기본 과목 일반 과목 심화 과목
(실질상 과학고 전용)
기초 수학
■ 중학교 과목 틀: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과 과목
■ 이전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16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17학년도 ~
2020학년도
가형(자연) 확률과 통계 · 미적분Ⅱ · 기하와 벡터
나형(인문) 수학Ⅱ · 미적분Ⅰ · 확률과 통계
2021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
}}}

1. 개요2. 상세
2.1. 교과 내용
2.1.1. Ⅰ. 순열과 조합2.1.2. Ⅱ. 확률2.1.3. Ⅲ. 통계
2.2.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2.3. 여담

1. 개요

이산수학 조합론 영역과 대학에서 주로 배우는 통계학(기초통계학[1] 포함)의 기초가 되는 과목이다. 단원은 순열과 조합, 확률, 통계 총 3단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중학교 수학 수형도, 수학Ⅱ의 집합의 개념과 라는 기호, 기본적인 적분[2] 이렇게만 알면 공부하는 데 거슬릴 정도가 아니다. 이처럼 교과서 자체가 독립적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1학년이든, 중학생이든, 마음만 먹으면 이 과목을 시작할 수 있다. 사실 자잘한 기호와 통계를 제외하면 중학교 수학과 다를 게 없다. 다만, 대학 통계학과 비교하기에는 다소 억지적인 내용이 섞여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상 고1 과정인 수학Ⅰ 수학Ⅱ를 선 이수해야 하는 선택 이수 과목이다.

2. 상세

2.1. 교과 내용

2.1.1. Ⅰ. 순열과 조합

빈 상자 불가능 빈 상자 가능
서로 같은 상자 k개 서로 다른 상자 k개 서로 같은 상자 k개 서로 다른 상자 k개
서로 같은 공 n개 P(n,k) kHn-k P(n,1)+P(n,2)+…+P(n,k) = P(n+k,k) kHn
서로 다른 공 n개 S(n,k) k!·S(n,k) [3] S(n,1)+S(n,2)+…+S(n,k) kn
여담으로 2016학년도 10월 학평에서 처음으로 가/나형 모두 30번 킬러 문제로 순열/조합 파트에서 나왔었는데, 정답률이 처참했었다. 문제를 풀어보면 심하게 어렵지는 않지만, 30번에 확통이라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거른 것으로 보인다. 만약 평가원에서 이를 갈고 수능 30번에 확통이 킬러로 나온다면.... 정말로 끔찍할 것이다. 여기에서 작정하고 킬러 문제가 제대로 등장하면 감히 미적분이나 공간도형 따위가 범접할 수 없을 정도로 정말로 답이 없기 때문이다.

2.1.2. Ⅱ. 확률

2.1.3. Ⅲ. 통계

2.2.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tablewidth=100%><#A2A2A2><colcolor=#000> 2017~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범위 ||
가형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확률과 통계
( 수학Ⅰ· 수학Ⅱ · 미적분Ⅰ은 간접 출제)
나형 수학Ⅱ」·「 미적분Ⅰ」·「 확률과 통계
( 수학Ⅰ은 간접 출제)

2.3. 여담


[1] '경영통계' 과목 등 각 전공에 커스텀된 기초통계 과목 포함. [2] 미적분Ⅰ을 이수한 학생이 추가로 이수할 수 있는 과정이다. [3] T(n,k)라고도 나타낸다 [4] 하지만 평가원 방침에 따라 최대 ±20%정도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과목에서 나올 수 있는 문제 수는 8~12문제인 셈.(2017학년도와 2018학년도 수능에서 9문제씩 출제) [5] 사실 억지로 공식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그냥 세는 게 나을 때도 있다. 이는 KMO 조합론에서도 많이 쓰이는 테크닉. [6] 사실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는 '숨은꿀'과목으로 취급받기도 했으나 서울대에서 '미분과적분'을 지정하는 바람에 선택률이 낮아진 것이다. 목표대학이 가형을 지정하는 바람에 나형을 칠 수 없는 중위권 학생[12]이거나 미적분에 자신 없는 경우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일부 하위권 학생들이 그냥 대놓고 찍기 위해서 고르는 경우도 있었다. '미분과 적분' 선택자 집단이 거의 고인물이었던 것에 반해 '확률과 통계' 선택자 집단은 수학Ⅰ만 잘해서 전체성적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형 선택과목의 '확률과 통계' 문항들은 수학Ⅰ에 나오는 확률통계 4점짜리 유형들을 배점만 낮춰 3점짜리로 내는 경우가 많아서 공부 부담이 적었다. 난이도가 쉬운만큼 표준점수에서 손해를 본다는 말도 있었지만 과목별 최고표준점수는 해마다 달라서 '미분과적분'이 항상 높게 나온것은 아니다. 선택과목 5문항 '확률과 통계'에서는 그렇게 어려운 문제가 많이 나오지도 않았고 킬러 30번을 제외하고는 수학Ⅰ만 잘해도 무난하게 풀 수 있는 난이도였다. 이것은 고인물이 많아서 문제를 어렵게 내도 고득점자가 많이 나오는 '미분과 적분'과의 표준점수 차이를 줄이기 위해 표본 수준이 다소 떨어지는 '확률과 통계' 난이도를 의도적으로 낮춰 '확률과 통계'의 저득점자를 의도적으로 줄였던 것과 다름이 없다. [7]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9문제가 출제되었다. 이는 출제진들이 미적분을 12문제씩 출제하기에 확통이 한 문제 줄어든것. 20프로 내외에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과목에서 8~12문항을 출제할 수 있다. [8]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가/나형 공통 27번으로 출제된 문제에서 이는 극명히 드러났는데, 만약 객관식이었으면 낮아봐야 정답률 50%대를 기록했을법한 그렇게 어려운 문항은 아니었으나 주관식으로 출제된 탓에 정답률이 30% 극초반대까지 떨어졌다. 객관식의 예는 2018학년도 수능 가형 18번으로 만약 주관식에 출제되었더라면 2017학년도 27번 정도는 아니더라도 정답률이 50%대 이하로는 떨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객관식으로 출제되었기에 정답률이 85%에 육박한다. [9] 뒤로 갈수록 문제 수준이 어려워지는 기하와 벡터와 반대의 케이스이다. 개념 난이도로 비교하면 동일한 케이스. [10] 흔히 '제평평제'(곱의 균-균의 곱)으로 많이 기억하고 있다. [11] [math( [a, b] )]에서 정의된 연속확률분포의
기댓값 [math( E(X) = \displaystyle \int_{a}^{b} xf(x)\,dx )]
분산 [math( V(X) = E(X^{2}) - (E(X))^{2} )]
[math( = \displaystyle \int_{a}^{b} x^{2}f(x)\,dx - (\displaystyle \int_{a}^{b} xf(x)\,dx)^{2} )]
표준편차 [math( σ(X) = \sqrt{V(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