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23:15:22

효령태자

<colbgcolor=#670000>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정윤 황태자 · 왕태자 · 왕세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d400> 태조 (정윤) 광종 (정윤) 경종 (정윤) 성종 (후계자)
왕무
(혜종)
왕주
(경종)
왕치
(성종)
왕송
(목종)
현종 문종 선종 숙종
왕흠
(덕종)
왕훈
(순종)
왕욱
(헌종)
왕우
(예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왕해
(인종)
왕현
(의종)
왕기
(효령태자)
왕오
(강종)
왕태손

왕씨
명종 신종 희종 강종
왕태제

왕탁
(신종)
왕영
(희종)
왕지
(창원공)
왕철
(고종)
고종 원종 충렬왕 충선왕
왕정
(원종)
왕거
(충렬왕)
왕장
(충선왕)
왕감
(광릉군)
왕태손

왕거
(충렬왕)
충숙왕 우왕 공양왕
왕정
(충혜왕)
왕창
(창왕)
왕석
(정성군)
}}} 국왕}}}}}}
효령태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고려의 왕자
[[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양헌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594B;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안경공|{{{#!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국왕 · 왕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colbgcolor=#670000><colcolor=#ffd400>
고려 의종의 왕태자
효령태자 | 孝靈太子
출생 1149년 6월 4일
고려 개경 정궁
(現 경기도 개성시 만월동)
책봉 1153년 4월 20일
사망 1175년 이후 (향년 26세 이상)
미상
능묘 미상
재위기간 고려 왕태자
1153년 4월 20일 ~ 1170년 9월 2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70000><colcolor=#ffd400> 본관 개성 왕씨
홍(泓) → 기(祈)
부모 부왕 의종
모후 장경왕후
형제자매 1남 3녀 중 장남
배우자 태자비 왕씨[1]
자녀 1남
태손(太孫) 왕씨 조졸
시호 효령태자(孝靈太子)
}}}}}}}}} ||

1. 개요2. 생애3. 평가

[clearfix]

1. 개요

고려의 왕족. 의종 태자였으나 부왕이 무신정변으로 쫓겨남으로 왕위를 계승하지 못했다.

2. 생애

의종 3년인 1149년 4월 27일(음력) 의종과 장경왕후 원자로 태어난다. 의종 7년인 1153년 1월 홍(泓)이라는 이름을 받는데, 이후 기(祈)로 바꾼다. 같은 해 4월에 태자로 책봉된다. 의종 11년인 1157년 왕이 민가 50여채를 헐어 지은 수덕궁 대평정의 편액을 어명으로 쓰게 된다. 의종 16년인 1162년 11월 성년이 되어 원복이 더해진다. 의종 22년인 1168년 1월 강양백 왕감의 딸을 태자비로 맞으며 의종 24년인 1170년 4월 수성(壽星)이 출현하니 복원궁에서 초제를 지낸다. 같은 해 9월 정중부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영은관(迎恩館)에 보내졌다가 다음날 바로 전라도 진도현으로 유배된다. 《 고려사절요》와 《 고려사》반역열전 정중부 편에 따르면 태자비와의 사이에서 태손(太孫)인 아들이 있었는데 정중부 등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

3. 평가

후일 명종이 즉위한 뒤, 의종의 '퇴위'와 동생의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해명하기 위해 금나라에 보낸 표문에 태자가 "어려서는 지혜가 없고, 자란 뒤에도 허물이 많았다."[2]라고 묘사했다.


[1] 강양공 왕감 덕녕궁주의 딸이다. [2] 少而無慧, 長且多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