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0:11:05

한일톱텐쇼/방영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일톱텐쇼
1. 개요2. 1회 : 복수혈전3. 2회 : 사랑 명곡 대전4. 3회 : 계은숙 쇼5. 4회 : 불타는 삼파전6. 5회 : 도전! 서머 퀸7. 6회 : 우리가 황금듀엣

[clearfix]

1. 개요

2024년 5월 28일부터 방송 중인 한일톱텐쇼의 방영 목록.

2. 1회 : 복수혈전

2024년 5월 28일 방송. 대결 테마는 복수혈전.

한일가왕전 이후 2주동안의 재정비를 거쳐서 다시 돌아왔으며 연예인 판정단으로 출연했었던 대성과 강남의 MC 아래에 한국 팀의 등장곡은 대성의 날 봐 귀순, 일본팀의 등장곡은 스미다 아야코가 커버해서 크게 인기를 얻은 콘도 마시히코의 노래인 긴기라기니 사리게나쿠를 부르면서 등장했다.

판정방식의 경우에는 3개 국가에서 섭외된 글로벌 판정단이라는 제도를 도입하여 일본, 한국, 캐나다에서 온 3인의 글로벌 판정단의 투표로 결정되며 2표 이상을 받아야 승리하게 된다.

또한 중간에 쉬어가는 코너로 베스트 댄서를 찾아라! 라는 댄스배틀 타임이 벌어졌는데 해당 대결에서 MC 강남의 호명으로 우타고코로 리에가 뽑혀서 골드 바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였다.[1]
Show Concept
복수혈전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900000><rowbgcolor=#900000><rowcolor=#fff><width=8%><|2> 라운드 ||<width=42%><-2><#cd0000> 한국 ||<|2> 승리 ||<width=42%><#0000CD><-2> 일본 ||
<rowcolor=#fff> 참가자 선곡 선곡 참가자
1R <colcolor=#900000> 마이진 봉선화 연정
현철
<colcolor=#fff> 마법소녀
오렌지캬라멜
<colcolor=#900000> 카노우
미유
2R 그대에게
안전지대
보쿄 종카라
호소카와 타카시
아즈마
아키
3R 전유진 타인
이미자
세토의 신부
코야나기 루미코
스미다
아이코
4R 김다현 계단말고 엘리베이터
임영웅
Goodbye Day
카스가 타카오
우타고코로
리에
5R 별사랑 사치코
닉 뉴사
애모[2]
김수희
마코토
6R 박혜신 이별의 종점
혜은이
애인
등려군
후쿠다
미라이

최종결과는 3:3의 무승부로 끝이 났으며 방송시간의 관계상 마리아와 나츠코는 대결을 하지 않았다.

3. 2회 : 사랑 명곡 대전

2024년 6월 4일 방송. 대결 테마는 사랑 명곡 대전.

이번 대전은 개인전이 아닌 팀전으로써 진행되는 관계로 양국간 멤버 구성의 방식이 잠시 바뀌었는데 한일 양국에서 각각 한명씩을 일시적으로 트레이드 해서 팀원을 영입해오는 룰이 나왔으며 예고편에서 부터 보여진 바와 같이 한국팀에서는 스미다 아이코가 영입되었고 일본팀 측에서는 김다현이 감으로써 한일의 막내가 뒤바뀌게 되었다.

또한 이번 회차에서 한국 팀의 TOP 7중 한명인 마이진이 개인 스케쥴로 인해 불참하게 되어서 한국 팀 측의 특별 게스트로 현역가왕의 참가자중 한 명이었던 요요미가 대타로 출연하였다. 그리고 지난주에 나왔던 3개국 글로벌 판정단 중에서 캐나다가 빠지고 우즈베키스탄이 등장하였다.

유투브 공식채널의 선공개 영상으로써 전유진이 부른 이문세 원곡의 '사랑은 늘 도망가'와 1980년대에 일본인으로써는 최초로 한국에 진출해서 활동한 일본 3인조 여성그룹인 소녀대의 KOREA가 공개 되었는데 이 곡은 2라운드가 끝나고 나서 김다현, 카노우 미유, 스미다 아이코가 꽃소녀들이라는 유닛으로 결성하여 스페셜 무대로 꾸미게 되었다.

총 7번의 대결이 펼쳐졌으며 이중에서 특별 룰이 적용된 대결이 무려 3번이나 벌어졌다.[3]

Show Concept
사랑 명곡 대전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900000><rowbgcolor=#900000><rowcolor=#fff><width=8%><|2> 라운드 ||<width=42%><-2><#cd0000> 한국 ||<|2> 승리 ||<width=42%><#0000CD><-2> 일본 ||
<rowcolor=#fff> 참가자 선곡 선곡 참가자
1R <colcolor=#900000> 마리아 리듬 속에 그 춤을
김완선
<colcolor=#fff> Simple Love
오오하시 준코
<colcolor=#900000> 나츠코
2R 요요미[4] 좋아하게 된 사람
미야코 하루미
로맨틱을 줄께요[5]
하시모토 우시오
카노우 미유
3R 전유진 사랑은 늘 도망가[6]
이문세
동백 아가씨
이미자
아즈마 아키
4R[7] {{{-1 혜사리[8]신, 별랑, 마아의 3명으로 구성된 팀이다. 이름의 유래는 이들의 가운데 글자를 딴것.]}}} 밤열차
김연자
Stay With Me
마츠바라 미키
마코코코[9]
5R[10] 스미다 아이코 좋은날
JP.ver[11][12]

아이유
사모
나훈아
김다현
7R 잃어버린 우산
우순실
J에게[13]
이선희
우타고코로 리에

6R[14]
Lemon (요네즈 켄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유진
3점 VS 0점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다 미라이

최종결과는 4:3으로 한국팀이 승리를 거두었다.

4. 3회 : 계은숙 쇼

2024년 6월 11일 방송. 대결 테마는 계은숙 쇼.

해당 회차의 특별 게스트 겸 심사위원으로 일본에서 엔카의 여왕으로 군림하여 한국인의 위상을 널리 떨친 가수인 계은숙이 출연하였다.

이번대결은 철저히 엔카의 여왕인 계은숙의 노래들로만 구성하여 승부를 벌인 회차이며 기존에 선보였던 방식인 한일 양국간의 14인 팀 대결에서 벗어난 10인 가수들의 개인전으로 준비되었다. 이로 인해서 한일가수들이 국가별에 상관없이 팀을 짜거나 솔로대결도 존재했다. 그리고 계은숙이 직접 뽑은 6개분야의 여왕으로 결정되며 대결에서 승리한 가수의 곡이 주간 베스트 송으로 후보로 선정되게 된다.

참고로 해당 회차에서 일본팀의 출연자들인 후쿠다 미라이, 아즈마 아키, 나츠코의 3명이 각자의 개인 스케쥴로 인해서 불참하였고 당연히 한국팀은 전원이 참가했다. 또한 우타고코로 리에는 오프닝 무대때는 보이지 않았다가 1R 라운드 직전부터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대성을 대신한 스페셜 MC로 남성 트로트 가수인 신유가 출격했으며 스페셜 무대로 노래하고 춤추며 (오프닝), 참새의 눈물[15], 기다리는 여심 (계은숙&전유진)[16], 꿈의 여인[17], 베사메무쵸[18], 도시의 천사들 (엔딩)[19]이 보여졌다.

참고로 1R와 2R의 경우에는 특별 룰이 적용되어서 한국 가수들 끼리의 대결이 보여졌으며 3R 부터는 종래의 한국 팀과 일본 팀간의 대결이 보여졌다.[20]

Show Concept
계은숙 쇼
1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이진&김다현
다정한 눈빛으로 VS 베사메무쵸[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혜신&전유진&별사랑
2R[22]
별사랑 박혜신
연정 나에겐
당신밖에
한밤 중의
샤워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900000><rowbgcolor=#900000><rowcolor=#fff><width=8%><|2> 라운드 ||<width=42%><-2><#cd0000> 한국 ||<|2> 승리 ||<width=42%><#0000CD><-2> 일본 ||
<rowcolor=#fff> 참가자 선곡 선곡 참가자
3R[23] <colcolor=#900000> 마이진 돌아와요 부산항에
조용필
<colcolor=#fff> 노란 샤쓰의 사나이
한명숙
<colcolor=#900000> 스미다 아이코
4R[24] 전유진 오사카의 황혼[25] 술에 취해서[26] 우타고코로 리에
5R 김다현 보고픈 걸 어떡해 어쩌실래요 당신 카노우 미유
6R[27] 마리아 내 마음 당신 곁으로
김정수
바람 바람 바람
김범룡
마코토
획득 타이틀
칸지의 여왕[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이진&김다현
미련의 여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헌정의 여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이진
수상의 여왕[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유진
리듬의 여왕[30] 파일:일본 국기.svg 카노우 미유
향수의 여왕[31] 파일:일본 국기.svg 마코토

5. 4회 : 불타는 삼파전

2024년 6월 18일 방송. 대결 테마는 불타는 삼파전.

MBN에서 월요일 밤에 방송하는 불타는 장미단과의 콜라보레이션 회차로 신성, 에녹, 손태진, 민수현이 신에손민이라는 그룹을 짜서[32] 한일 양국 톱7 가수들에게 도전하는 내용으로 전개되었고 불타는 트롯맨의 주제곡인 앗! 뜨거 (박현빈 원곡)를 부르며 등장했다.

이로써 현역가왕, 불타는 트롯맨, 트롯 걸스 재팬의 세계관이 통합되는 진풍경이 펼쳐졌으며 스페셜 마스터로 지난 회차에 이어서 신유가 재등장했다.

이번 회차의 출연진들의 경우 일본팀에서는 지난 회차에서 출연하지 못했던 후쿠다 미라이와 아즈마 아키의 두명이 복귀하고 카노우 미유가 빠졌으며 나츠코가 2주째 촬영에 불참하게 되었다. 한국팀에서는 박혜신, 별사랑, 마리아가 불참했다.

또한 지난주에 출연하지 못했던 3개국 글로벌 판정단 중에서는 캐나다와 우즈베키스탄에 이어서 스페인이 등장하였다.

이 외에도 스페셜 콜라보레이션 무대로 혼성 포크그룹인 라나에로스포의 1971년곡인 '사랑해'[33]가 전유진, 손태진, 후쿠다 미라이의 뮤지컬 무대[34]처럼 꾸며졌고 2회전이 끝나고 커플 댄스 배틀이 벌어져서 신성과 마코토가 고급 식사권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여담으로 이날 차기 회차에서 보여질 스포일러성 무대로 김다현X스미다 아이코가 결성한 한일 트로트 유닛인 럭키 팡팡의 곡인 담다디가 선공개로 보여졌다.
Show Concept
불타는 삼파전
1R - 한풀이 대결[35]
현역가왕
마이진
불타는 장미단
신성
트롯걸스 재팬
후쿠다 미라이
진이
하이디
운명 같은 여인
조규철
잊지 말아요
백지영
2R - 맏대결[36]
현역가왕
불타는 장미단
에녹
트롯걸스 재팬
우타고코로 리에
[37]
누가 울어
배호
사랑의 바캉스
더 피넛츠[38]
보고싶다
김범수
3R - 조회수 1등 대결
현역가왕
전유진
불타는 장미단
손태진[39]
트롯걸스 재팬
스미다 아이코
십계(1984)[40]
나카모리 아키나
나만의 여인
설운도
Try Me[41]
아무로 나미에
4R - 환상의 듀엣 대결[42]
트롯걸스 재팬X장미단
마코토X신성
트롯걸스 재팬X장미단
리에X손태진
분위기 좋고
송대관X신지
Rainy Blue
토쿠나가 히데아키
5R - 정통 대결
현역가왕
김다현
불타는 장미단
민수현
트롯걸스 재팬
아즈마 아키
꽃처녀
김다현
평양 아줌마
나훈아
언제나 몇 번이라도[43]
기무라 유미

6. 5회 : 도전! 서머 퀸

2024년 6월 24일 방송. 대결 테마는 도전! 서머 퀸

한일 양국에서 여름을 대표하는 노래로 대결을 벌이는 테마로 이름 그대로 여름을 상징하는 노래들로만 선곡하여 양국의 가수들이 경합을 벌이는 회차로 진행된다.

이번 경연은 참가자들이 점수를 0점부터 100점까지 줄수있는 개인 자체평가 형식으로 진행되며 중간중간에는 1:1대결도 보여졌다.

게스트의 경우에는 한국 팀에서는 별사랑과 마리아가 불참하고 현역가왕에 참가했던 강혜연과 2회에서 출연했던 요요미가 재출연했으며 또한 계은숙 쇼에서 부터 등장한 신유도 대성의 부재로 인해서 MC로 출연한다.

또한 일본 측에서는 나츠코가 3주째 불참에다가 후쿠다 미라이, 아즈마 아키가 빠졌으며 지난주에 미등장했던 카노우 미유가 복귀했다. 그리고 일본 측 최초의 스페셜 게스트로 트롯걸스 재팬의 참가자였던 에리사 (A.Lyssa)가 출연했다.[44][45]

Show Concept
도전! 서머 퀸
트리오 대결
시원 트리오
마이진, 박혜신, 전유진
러블리 트리오
강혜연, 미유, 요요미
미운 사내
유지나
버블 팝
현아
1:1 대결 1R
드래곤볼
마이진
원더우먼
에리사
CHA-LA HEAD-CHA-LA[46]
카게야마 히로노부
Super Hero[47]
에리사
1:1 대결 2R
강혜연 카노우 미유
푸른 산호초
마츠다 세이코
내가 아줌마가 되어도
모리타카 치사토

개인전의 경우 한, 일 현역 자체 평가를 통해 TOP3만 주간 베스트 송 후보로 선정한다.
개인전 1R
파일:일본 국기.svg
스미다 아이코
사랑의 배터리
홍진영
미공개[미공개]
최저 80점, 최고 100점
개인전 2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현
트위스트 고고
이찬원
1080점
최저 90점, 최고 100점
개인전 3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유진
존재의 이유
김종환
1080점
최저 93점, 최고 100점
개인전 4R
파일:일본 국기.svg
우타고코로 리에
FLY-DAY CHINATOWN[49]
야스하
미공개[미공개]
최저 87점, 최고 100점
개인전 5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 여름 밤
1097점
최저 97점, 최고 100점
개인전 6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혜신
하이난의 사랑
권성희
미공개[미공개]
최저 94점, 최고 100점
개인전 7R
파일:일본 국기.svg
마코토
갸란두[52]
사이조 히데키
1088점
최저 95점, 최고 100점
개인전 8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요요미
Love For Night
이지연
미공개[미공개]
최저 80점, 최고 100점

최종결과는 린이 1위를 기록하여 서머 퀸이 되었으며 마코토가 2위, 김다현과 전유진이 공동 3위를 기록했다.

7. 6회 : 우리가 황금듀엣

2024년 7월 2일 방송예정. 대결 테마는 우리가 황금듀엣.

한일 양국 가수들의 가족이나 친구, 지인들이 총출동하여 듀엣 대결을 벌이는 테마가 될 예정이며 특히 트로트인 가수 윤수현, 트롯걸스 재팬의 한국인 참가자인 김소희, 우타고코로 리에의 친언니이자 Let it go의 멤버로 활동했던 가수인 야츠카 치에가 특별출연할 예정이다.



[1] 그리고 이외에도 스미다 아이코는 방탄소년단의 다이너마이트를 추기도 했으며 별사랑과 린은 합동으로 코믹 팝핀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2] 이날 방송에서 마코토의 아버지가 지금으로부터 2년전인 2021년경에 심장마비로 부친상을 당했으며 돌아가신 아버지의 애창곡이라고 하면서 출연자들을 가슴 아프게 했다. 경연도중에 아버지의 생전 모습의 사진이 오버랩되고 감정에 복받쳐서 약간의 삑사리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침착히 경연에 임하여 별사랑에게 승리하였다. [3] 한일 3인의 멤버가 팀을 짜서 펼치는 트리오 대결, 스미다 아이코와 김다현 간의 영입멤버 대결, 전유진과 후쿠다 미라이의 한곡 대결의 3개. [4] 상술했듯이 마이진의 대타로 출전 하였으며 한일가왕전을 애청하면서 일본팀의 전력을 모두 파악했다고 밝혔다. [5] 애니메이션 드래곤볼의 초대 엔딩곡으로 유명하다. [6] 해당 곡은 나중에 임영웅이 KBS의 주말드라마인 신사와 아가씨의 OST로 리메이크하여서 더욱 재조명되기 시작하였다. [7] 트리오 대결로 꾸며진 라운드로 각 국가별로 3인 1조의 참가자들이 팀을 짜서 대결하였다. [8] [9] 이쪽의 경우에는 후쿠다 미라이와 마코토, 나츠코의 3인으로 구성되었다. [10] 영입멤버 끼리의 대결로 한국 팀으로 간 스미다 아이코와 일본 팀으로 간 김다현의 대결이 보여졌다. [11] 일본의 작사가인 미나카타 에미가 새로 가사를 쓴 일본어 버전으로 선보였다. 본인의 폭풍적인 성량을 이용해서 원곡의 키 그대로 아이유 특유의 3단 고음까지 성공 시켰으나, 중간중간 갈라지는 소리가 나왔고 3단 고음 때도 중간에 한 번 숨을 쉬는 등 무리를 한 것인지 당일 컨디션이 안 좋았던 것인지 모르지만 결국 글로벌 판정단의 만장일치로 3대 0으로 대패하고 말았다. [12] 무대영상의 댓글들로 보아서 목 상태가 좋지 않았던 상황 인것으로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13] 일본의 작사가인 사토 준코가 개사하고 카도쿠라 유키가 일본어 버전으로 번안한 리메이크한 곡으로 불렀다. 여담으로 2021년경 전세계적으로 맹위를 떨치던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쓰러졌던 남편을 생각하면서 부르게 되었다. [14] 5라운드가 끝나고 벌어진 6라운드에서는 한일가왕전 4회에서 펼처진 한곡 대결의 룰을 적용했는데 한일 1위의 두 사람이 다시 한번 출전했으며 이들은 당시 이츠와 마유미의 곡인 연인이여 이후로 오래간만에 한곡 대결로 대전했다. [15] 1988년에 이 곡으로 홍백가합전에 첫 출전하여 일본의 내로라하는 유명 연예인들도 자주 못 나간다는 홍백가합전에 무려 7번이나 출장하였다. 일본의 톱 클래스급에 속하는 가수들도 많아봐야 3~4번인데 외국인이 일곱번씩이나 출전했다는 것은 현지에서 굉장히 엄청난 성공을 거둔것이라고 봐야한다. [16] 방송 하루전인 6월 10일에 공식 유투브 채널에 선공개가 되었다. [17] 1988년 제 19회 일본 유선대상에서 그랑프리를 받았다. [18] 1라운드에서 박혜신, 전유진, 별사랑이 경연했던 곡을 계은숙 본인이 다시한번 선보였다. 그리고 세명은 코러스로 참가했다. [19] 호리우치 타카오와 부른 듀엣곡으로 제 34회 골든 디스크 대상을 수상했던 곡이며 모든 경연이 끝나고 신유와 함께 듀엣으로 보여주었다. [20] 한국 가수들 끼리의 대전을 보고 싶다는 계은숙 선생의 요청도 있었고 일본팀의 멤버들이 무려 3명이나 빠지게 되어서 해당 구성을 만들게 되었다. [21] 일본 오리콘 차트의 순위권에서 무려 24주 동안 100위 안에 들었던 명곡이다. 지금도 일본의 중년 여성들이 가라오케 복스 (노래방)에서 자주 부르는 노래로 유명하다. [22] 3인의 한국가수들만이 출전하여 삼파전으로 진행된 라운드. [23] 실제로 선배 가수들의 수많은 노래들을 일본어로 리메이크 하여 불렀었는데 여기에서는 한명숙과 조용필의 곡으로 꾸며졌다. [24] 대결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전유진이 계은숙 선생에게 어필하기 위해서 마라탕후루 첼린지를 선보였다. [25] 계은숙의 일본 데뷔곡으로 1985년 19회 전일본 유선방송 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한 곡이다. [26] 계은숙의 노래들 중에서 상당히 어려운 곡에 속하는 노래이기도 하며 그만큼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는 노래이다. 1989년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금상을 수상한 곡이기도 하다. [27] 일본에서 30년 넘게 활동해온 계은숙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담은 라운드로 각각 김정수와 김범룡의 곡으로 준비했다. [28] 유일하게 팀 대결로 진행된 라운드. 대전명의 어원이 느낌의 여왕이라는 뜻인데 방송의 심의상 간지가 아닌 칸지로 사용되었다. [29] 일본에서 수많은 상을 휩쓸고 다녔던 가수답게 수상을 받은 곡들로만 진행된 라운드이다. [30] 노래하고 춤추고를 시작으로 해서 빠른 비트의 리듬을 가진 댄스곡도 많이 발표했었기 때문에 댄스곡의 대결로 붙었다. [31] 세 사람 전부 고국에 대한 사랑을 가졌다는 공통적인 면이 있다고 볼수 있는데 우선 마리아의 경우에는 미국인이지만 현재 한국에서 활동하는 가수이고 마코토는 일본인으로써 한국의 아이돌 연습생으로 활동했었다. 계은숙 역시 한국인의 자긍심을 가지고서 일본에서 활동했다. [32] 김중연, 박민수, 공훈은 아쉽게도 불참했다. [33] 1971년에 정식발매를 했지만 1975년에 일본에서도 리메이크로 발매되어 재일교포들의 애창곡중 하나로도 매우 유명해졌는데 이때는 작사자인 미요시 레지가 번안한 개사 버전을 사용했다. 참고로 원곡자인 라나에로스포의 초대 여성멤버인 조성자 (본명:한성자)는 스페셜 판정단인 신유의 모친이기도 하다. [34] 이때 손태진은 파리의 연인들의 박신양의 명대사인 '애기야 가자'를 패러디 하며 등장했고 후쿠다 미라이는 러브레터의 나카야마 미호의 대사인 '오겡키데스까 (건강 하신가요)'를 패러디하며 등장하였다. [35] 현역가왕 준우승자 마이진, 불타는 트롯맨 준우승자 신성과 한일가왕전에서 한 번도 이기지 못한 미라이의 대결. [36] 각 팀 최연장자의 대결. [37] 경연직전 에녹이 불타는 트롯맨의 준결승에서 보여준 님과 함께의 계단 퍼포먼스를 보고 에녹의 팬이 되었음을 밝혔다. [38] 일본의 작곡가인 미야가와 히로시가 발굴하여 1959년부터 1975년까지 활동한 이토 유미와 이토 에미의 쌍둥이 자매 그룹으로 이 노래로 1961년에 일본가수 사상 최초로 미국에 진출한 가수이기도 하다. 이후 미국의 에드 설리번쇼, 서독의 카트리나 발렌티쇼에 출연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한국에서는 펄 시스터즈, 은방울 자매의 포지션이기도 하다. [39] 경연에 들어가기 앞서서 자신이 트롯걸스 재팬의 최초기획 당시 첫 회의때 참석했다는 사실을 밝혀서 일본팀을 놀라게 했다. [40] 10대들의 반항기를 대변하는 내용을 담은 1984년 곡이며 전유진은 이 무대를 위해서 나카모리 아키나의 당시 무대의상을 똑같이 입고 나와서 재현하기도 하였다. [41] 영국의 보컬그룹인 A Beat C 소속의 멤버인 애널리 고든이 Lolita라는 예명으로 1994년에 발표한 곡이 원곡이며 이것을 1995년에 아무로 나미에가 리메이크해서 더욱 유명해졌다. 그후 1997년에는 아무로 나미에와 함께 백댄서 (슈퍼 몽키즈)로 활동했던 여성 4인조 그룹 MAX도 리메이크 하기도 했다. [42] 유일하게 이 대결만 두 팀의 대결로 보여졌다. [43] 지브리 스튜디오 제작의 애니메이션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OST이기도 하다. [44] 1982년 12월 13일 도쿄도 네리마구 출신이며 2001년부터 미국 뉴욕에서 보컬그룹으로 활동했었고 2006년에 솔로로 독립하여 ELYTTA라는 이름으로 활동 하였으며 2015년부터 현재의 명의로 변경하였다. 현재는 복싱 피트니스 트레이너로 활동중이다. [45] 첫 등장시에는 2021년 7월 2일에 발표한 본인의 싱글 2집인 Avenger~Save the world를 부르면서 등장했으며 촬영을 위해서 녹화 2시간전에 비행기를 타고왔다고 밝혔다. 폭발적이고 엄청난 에너지로 인해서 방송이 나간후에는 겉모습은 춘자+가창력은 서문탁+리액션은 노홍철+복싱에 있어서는 조혜련이 생각난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46] 애니메이션 드래곤볼의 주제가 답게 무대의상을 손오공의 복장으로 준비하고 나왔다. [47] 2019년 4월 5일에 발표한 본인의 싱글 1집 타이틀 곡이며 발매하기 한달 앞선 2019년 3월에 TOKYO GIRLS MUSIC FES 2019에 오프닝에서 선공개 형식으로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미공개] TOP3 외 점수는 방송에 공개되지 않음. [49]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인 에비나 야스하가 야스하라는 예명으로 1981년에 발표한 시티팝 성격의 곡으로 본국에서 큰 히트를 쳤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69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미공개] TOP3 외 점수는 방송에 공개되지 않음. [미공개] TOP3 외 점수는 방송에 공개되지 않음. [52] 경연직전에 마코토의 설명에 따르면 어원은 배댓고리를 지칭하는 단어로써 당시 사이조 히데키는 해당 앨범의 쟈켓에서 자신의 배를 드러내어 섹시함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미공개] TOP3 외 점수는 방송에 공개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