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1:34:34

한문(교과)

한문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한문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등교육기관의 학과에 대한 내용은 한문학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교과 체계가 아닌 과목으로서의 <한문> 중 문서가 개설된 항목에 대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고등학교/한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고등학교 <한문Ⅰ>을 출제 범위로 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제2외국어·한문 영역/한문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교과는 과목의 상위 개념이자 외연이 더 넓은 개념입니다. (교과와 과목명이 일치하는 사례 제외 ex. 중학교 <한문>)
교과
국어과 · 수학과 · 영어과 · 과학과 · 사회 교과군( 사회과 · 역사과 · 도덕과)
예술 교과군( 음악과 · 미술과 · 연극과) · 체육과
실과(기술·가정)과 · 정보과 · 제2외국어과 · 한문과
창의적 체험활동 · 교양과 · 전문교과
※ ' 교과', ' 과목', '시험 선택과목'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별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 교과 분류 체계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고등학교)을 기준으로 한다.



1. 개요
1.1. 2015 개정 교육과정1.2. 2022 개정 교육과정
2. 이 교과가 다루는 과목3. 전국 한문학과 및 한문교육과 현황4. 여담

1. 개요

교육과정의 교과 영역 중 하나로 대한민국 교육계에서의 행정상 공식 명칭은 ‘한문과’이다. 교과 영역이 아닌 과목 명칭이 <한문>인 내용에 대하여는 논점이 구별되므로 해당 문서로 이동하기 바란다. 선택으로 개설되기 때문에 개별 중등학교에서 한문을 편성해야 이수가 가능하다. 중학교에서는 선택과목(170단위)으로 주로 한문을 선택하는 편이다. 한문이 없다면 높은 확률로 생활 중국어나 생활 일본어가 편제되어 있을 수 있다. 한 학교에 주로 1명~2명씩 배치된다.

<중학교>
중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주로 학기별로 2시간씩 1년만 배우는 경우(68단위~)가 많다. 배우는 학년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주로 2학년에 편성되어있다. 종종 2년에 걸쳐 한문을 배우는 중학교도 보인다.

<고등학교>
한문 교과는 기술ㆍ가정/정보/제2외국어/한문/교양 교과(군) 필수 이수 16학점 내에 포함된다. 고등학교는 고교학점제 예비 시행 이전, 가장 보편적인 일반고등학교 기준으로 1년 간은 한문을 학교에서 배우도록 강제하였다. 배우는 학년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최근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교 지정 과목이었던 한문이 학생 선택 과목으로 내려가면서, 선택을 받지 못해 위기로 내몰리는 학교도 많아졌다. 설상가상 기술ㆍ가정, 정보, 제2외국어 등과 선택을 받는 경우가 많다보니, 타교과에 비해 선호도가 낮은 한문은 수요가 상당히 적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학교 지정 과목으로 유지하는 학교들도 있다. 학생 수요가 적은 한문은 인문학적 소양 강화, 문해력 및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등을 기르기 위해 중요하므로 학교 자체적인 안정적 편성이 절실하다.

최근에는 정보와 한문을 학기별로 교차하여 필수로 이수하게 하는 집중이수제를 도입한 학교가 많아졌는데, 이는 정보교육을 통한 디지털 소양 강화와 한문교육을 통한 인문학적 소양 강화를 균형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1.1.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한문 교과에 관한 성격은 다음과 같다.
1. 한문은 고전 문언문으로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다.
2. 우리 조상들 역시 수천 년 동안 한자와 한문을 사용하여 사상과 감정을 표현해 왔으므로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사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문으로 기록된 각종 전적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독해력을 길러야 한다.
3.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상당 부분의 어휘가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다른 교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학습 용어의 상당수가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활한 언어생활과 다른 교과에서 사용하는 학습 용어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한문 학습이 필요하다.
4. 그리고 한문 기록 속에는 우리의 정신문화가 대부분 축적되어 있어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관의 문제 등을 치유할 수 있는 자료가 많으므로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 한문 학습이 필요하다.
5. 또한 우리 생활에 면면히 이어져 내려온 전통문화 역시 한자를 주된 기록 수단으로 하여 보존⋅전승되고 있으므로 전통문화를 바르게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한문 학습이 필요하다.
6. 한편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등 한자가 통용되는 한자문화권의 인구는 세계 인구의 1/4이나 된다. 우리의 문화는 독창적인 민족 문화와는 별도로 이들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국가들과 일정 부분 공유하는 정신문화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도 한문 학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1.2. 2022 개정 교육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문과는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언어생활과 한문 독해에 활용하며,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이다. 또한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자아 정체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이다. 아울러 한자 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여 교류 증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이다.

2. 교과가 다루는 과목

파일:미래엔 한문.jpg

교과서로는 한문(중학교)[1], 한문Ⅰ, 한문Ⅱ(이상 고등학교) 등이 있다. 범위는 1,800자로 한자검정시험의 3급과 거의 유사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수험 자료의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습 방법 안내"에 의하면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2]가 수능출제에 활용된다고 명시되어있다. 위의 1,800자 이외의 한자[3]가 나올 경우, 지문의 오른쪽 아래에 각주로 뜻, 음이 달린다.(초과한자)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과 고등학교 과목 ('25~ 高1)
선택 과목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융합 선택 과목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 고시됨에 따라 일반선택과목 <한문>, 진로선택과목 <한문 고전 읽기>, 융합선택과목 <언어생활과 한자> 과목이 신설됐다. 일반선택과목 <한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1>을 계승하는 과목이며, 진로선택과목 <한문 고전 읽기>, 융합선택과목 <언어생활과 한자>는 새롭게 만들어진 과목이다. 특히 <언어생활과 한자>는 한문과에서 다루는 한자와 어휘 영역만을 위한 과목으로 역대 교육과정에 없었던 새로운 과목이다. 문해력, 한자 어휘 활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향상 등에 뚜렷한 목표를 두었다. 학생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한 고교학점제 도입 후 한문과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언어생활과 한자> 과목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3. 전국 한문학과 및 한문교육과 현황

<전국 한문학과>
  1.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 053-950-6160
  2.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 - 055-772-1160
  3.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 02-3290-2160
  4.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 051-510-1516
  5.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 02-760-0546
  6. 국립안동대학교 한자문화컨텐츠학과(한문학과) - 054-820-5360
  7. 충남대학교 한문학과 - 042-821-5381

<전국 한문교육과>
  1. 강원대학교 한문교육과 - 033-250-6640
  2.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 - 053-580-5362
  3. 공주대학교 한문교육과 - 041-850-8180
  4. 단국대학교 한문교육과 - 031-8005-3790
  5.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 02-760-0546
  6. 성신여자대학교 한문교육과 - 02-920-7077
  7. 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 053-810-3170
  8. 원광대학교 한문교육과 - 063-850-6525
  9. 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 - 063-220-2306

4. 여담



[1] 2007 개정교육과정까지는 중학교 한문 1~3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2009 개정교육과정부터 중학교 한문으로 단일화 [2] 3급 한자 1,817자의 부분집합이다. [3] 대부분 2급 이상인 한자. [4] 특히 중학교 한문 시험에서는 한문의 문맥을 해석하는 문제보다 한자 글자 하나하나를 묻는 문제들이 출제되는 경우가 잦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