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ff> 24절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
1. 개요
한로( 寒 露)는 24절기의 하나이다. "차가운 이슬이 맺힌다" 라는 뜻이다. 태양 황경이 19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날짜는 양력으로 10월 8일이며, 과거 2011년까지는 윤년 전해마다 10월 9일, 즉 한글날에 찾아왔다.[1] 2048년부터는 윤년해마다 10월 7일에 한로가 찾아오게 된다.2. 상세
겨울 철새들이 찾아온다. 그리고 여름 철새들은 따뜻한 중국 장강의 이남 지역으로 이동하는데, 오늘날 안후이성~ 저장성 근처로 유명한 강남으로 날아간다. 여기서 메뚜기도 한철이라는 식으로 " 제비도 한로가 지나면 남쪽으로 간다." "제비는 청명부터 한로까지다." 라는 속담이 나왔다.이 날에는 높은 산에 올라가 머리에 수유를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었으며, 옛 중국에서는 한로 후 보름을 초후, 중후, 말후로 5일씩 나눠서 " 기러기가 날아오는 시기", " 참새가 적어지는 시기", "국화가 노랗게 피는 시기" 라고 표현했다. 이렇게 한로 때는 오곡백과를 추수하며 국화의 제철이기에 국화전, 국화주를 즐긴다. 추어탕이 바로 한로 때 먹는 음식이다. 또 다른 제철 음식으로는 고구마와 대추, 새우, 게장, 홍합, 호박 등이 있다.
한로를 기점으로 낮밤간의 일교차가 커지며, 9월까지는 비가 온 다음날은 더운 날씨를 불러온 때와 달리 이때부터는 반대로 추워진다.
농가의 속담으로는 "한로 상강에 겉보리 간다(파종한다)" 라는 말이 있다. 한로~상강 시절이 보리를 이모작 하기 좋은 철이라는 의미다. 그리고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