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ff> 24절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
1. 개요
소한( 小 寒)은 24절기 중 하나이다. 양력 1월 5일경으로, 이 때의 태양 황경은 285도이다. 23번째 절기이며, 한 해에서는 맨 처음에 오는 절기이다.2. 상세
원래 중국에서는 대한 다음으로 가장 매서운 한파가 오는 시기로[1], 이 때 농가에서는 입춘 전까지 혹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는 풍습이 있다. 이제는 좀 무색해졌지만 삼한사온이라는 말처럼 삼일 춥고 사일 따스한 기후가 본격 시작되는 것도 바로 이 무렵이다. 또한 24절기 중에서는 해가 가장 늦게 뜨는 날이다.[2]이름만 보면 대한이 가장 춥고 그 다음으로 소한이 추워야 하고, 실제 기온도 대한이 더 낮은 편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소한과 대한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소한이 더 추운 경우도 많다.[3] 그 이유는 우선 체감적인 부분이 가장 큰데, 소한이 되면 갑자기 추워지기 때문에 미처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이 몹시 춥게 느끼지만, 대한 무렵이 되면 사람들이 이미 소한 추위에 적응했기 때문에 더 추워졌다는 느낌을 별로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동지와의 시간적 간격으로 봐도 소한이 대한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한은 동지로부터 겨우 보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낮의 길이가 얼마 길어지지도 않고 냉기도 극심하지만, 대한은 동지로부터 1달 가까이나 지났기 때문에 낮이 더 길어지고 소한 때 극심했던 냉기도 어느 정도 누그러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24절기 자체가 중국의 화북 지방의 기후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기온과는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소한이 대한보다 오히려 춥다는 의미의 속담은 아래와 같다.
-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가서 얼어 죽었다.
- 소한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 소한 추위는 꾸어서라도 한다.
-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제철 음식으로는 꼬막, 귤, 고구마, 우엉, 딸기, 과메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