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1:54:07

하이픽셀/Zombies/팁/인플레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하이픽셀/Zombies/팁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Dead End(하이픽셀/Zombies)
, Bad Blood(하이픽셀/Zombies)
, Alien Arcadium
,
,
,

[[하이픽셀|
파일:Hypixel_logo.png
]] Zombies
[[하이픽셀/Zombies/무기|
파일:좀비즈 칼......png
]]
[[하이픽셀/Zombies/머신|
파일:좀비즈 빠른 발사.png
]]
[[하이픽셀/Zombies/파워업|
파일:SSM 패시브_스켈(좀비).png
]]
무기 머신 파워업
{{{#!wiki style="margin: -16px -11px" [[하이픽셀/Zombies/팁|
파일:좀비즈 가이드 북.png
]]
[[하이픽셀/Zombies/문제점 및 버그|
파일:좀비즈 문제점.png
]]
( 인플레이, 외부 프로그램) 문제점 및 버그 }}}
TMI
[[Dead End(하이픽셀/Zombies)|
파일:DE 아이콘.png
]]
[[Bad Blood(하이픽셀/Zombies)|
파일:BB 아이콘.png
]]
[[Alien Arcadium|
파일:AA 아이콘..png
]]
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챌린지( 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folding [ 데이터베이스(펼치기/접기) ]

1. 개요2. 인플레이 전3. 성장
3.1. 공통3.2. 입문3.3. 초반3.4. 중반3.5. 중후반3.6. 후반3.7. 주의
4. 인플레이
4.1. Dead End
4.1.1. 발전소 걸치기4.1.2. 아파트 버티기4.1.3. 랜덤 매칭
4.2. Bad Blood
4.2.1. 랜덤 매칭
4.3. Alien Arcadium
4.3.1. Eco4.3.2. 라운드 X0 관련4.3.3. 랜덤 매칭



1. 개요

하이픽셀/Zombies에서 인플레이 관련 도움말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이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게임에 사용하는 '용어'는 최소한 알고 가야 한다. 즉, 이 단락을 먼저 정독한 뒤에 이 문서 열람하는 것을 권장하는 바이다.

이 문서는 '인플레이 전', '성장(단계별)', 마지막으로 '인플레이 중' 도움말까지, 이 3종류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2. 인플레이 전

3. 성장

공통, 초반, 중반, 후반에 나누어 설명했으니, 자신의 실력에 맞는 단계의 도움말들을 읽어보고 실천하길 바란다. 더불어, 자신의 실력이 어떻든 간에 '공통'과 '주의' 단락에 적힌 부분은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3.1. 공통

3.2. 입문

이 게임 자체를 처음 시작한 사람들을 위한 도움말이다.

3.3. 초반

★ 이 게임을 몇 번 플레이하며 본격적으로 경험을 쌓기 시작할 때의 도움말이다.

3.4. 중반

★ 이 단계는 Dead End/Bad Blood 솔플[16]로 클리어했거나, Alien Arcadium 라운드 60 이상을 클리어한 경우에 해당한다. 특히 이 단계부터는 이 게임의 세밀한 부분을 알아가야 하기 때문에, 어렵고, 복잡해진다. 일단 랜덤 매칭에서 볼 수 없던 팀워크가 이 단계에서 정말 많이 보이기 시작하고, 팀원이 매우 중요해진다.

3.5. 중후반

★ 이 단계는 이 게임에 영향을 끼칠 실력, 즉 Alien Arcadium을 클리어했거나, 어려움 난이도 솔플 클리어에 근접했을 때이다. Alien Arcadium 트리오나 어려움 난이도 솔플에 도전하게 되면서 당신이 미처 알지 못 하는 고난이도의 기술과 전술이 나올 것이다.
히로빈 펀처 연습 / 리듬 연습 영상[21]

3.6. 후반

RIP duo 클리어, AA Trio 클리어, 혹은 No-door 같은 어려운 챌린지를 클리어한 후, 혹은 클리어에 근접한 경우에 이 팁들을 보자. 이제부터 나오는 챌린지들은 극한의 스텝이나 팀워크를 요구한다.

3.7. 주의

★ 이 게임을 하면서 여러분이 잘못 배웠을 습관, 공략 등을 바로잡기 위한 도움말이다.
예시 영상[23]

4. 인플레이

★ 맵 관련 팁 중 라운드별 팁들은 가급적이면 라운드 순서대로 작성하길 바란다.

4.1. Dead End

4.1.1. 발전소 걸치기

★ 개요
- 다인플레이3인 이상 기준으로, 발전소-미술관 문이 열렸다고 (어려움 이상 난이도라도) 희망이 사라진 것은 절대 아니다. 사무실-미술관 문이 열리지만 않았다면 여전히 Gstep에 머물 수 있다. 다만, 발전소-미술관 문이 열리기 전보다는 약간 더 복잡한 공략을 요구할 뿐이다.


★ 읽기 전에
1. "발전소 걸치기"의 목적은 라인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함에 있다. 팀원 모두 라운드 시작부터 미술관에 머무는 것에 비해 라인을 더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일반 난이도라면 후술할 공략과 같이 세밀하게 플레이를 하지 않아도 되겠으나, 고난이도라면 세밀한 전략을 가지고 플레이해야 좀 더 쉽게 넘길 수 있다.
3. 역할 분담을 위해 팀원간 원활한 통신이 필수적이다.
4. 이 공략은 라운드 14 이전에 발전소-미술관 문이 열렸을 때 기준으로 보면 좋다.
5. 팀원들의 DPS와 팀워크가 평가되는 전략인만큼, 서로 의지해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 공략
• 라운드 21 이전
- 발전소-미술관 문이 열렸을 때부터, 본래 Gstep에 머물며 넘긴 라운드들은 정원이나 아파트 등 다른 곳에서 머물러 넘기거나, 1~2명이 미술관에서 다가오는 적들을 맡아 넘기면 된다. 또한 라운드 15고난이도 한정와 라운드 20은 정원에서 넘기면 된다.

라운드 21에서 s1하고, 후술할 역할 분담을 한다. 물론 라운드 20에서 s1하고 역할 분담을 진행해도 상관없다.


역할 분담 1. '순위' 나누기
- 라운드 22부터는 가디언 좀비 등 위험한 적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므로, 이에 맞추어 역할 분담을 진행해야 한다. 추천하는 순위는 아래와 같으며, 쿼드(4인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1. 무기에 따른 '순위'를 나눈다.
1st) 펀쳐, V레벨 강화된 금광꾼이하 '금광꾼', 박멸기 모두 소유한 사람
2nd) 펀쳐, 박멸기만 소유한 사람 or 박멸기, 금광꾼만 소유한 사람
3rd) 펀쳐, 금광꾼만 소유한 사람 or 박멸기만 소유한 사람
4th) 금광꾼만 소유한 사람
5th) 펀쳐만 소유한 사람 or 펀쳐, 금광꾼, 박멸기 모두 소유하지 않은 사람
2. 무기 이외에 개인 DPS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그리고 대처 능력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에 따라 '순위'를 계속 나누어본다.


역할 분담 2. '순위'에 따른 역할 분담 마무리
- '순위'가 모두 지정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선두(2명), 후방(1명), 보조(1명)4인플레이 한정를 지정해준다. 아래는 전략 유형이다.

1. '순위'가 높은 사람 2명이 선두를, 낮은 사람 2명이 후방 및 보조를 맡는 전략의 경우, 선두 라인은 잘 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후방에 보스가 나오면 대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2. '순위'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1명씩 선두/후방 및 보조를 맡는 전략의 경우, 상황에 따라 1번 항의 전략보다 안정적일 수 있지만, 또 상황에 따라 불안정할 가능성이 있는, 양날의 검인 전략이다.

Q. 각자 역할이 머물러야 하는 장소는 어디인가?
A1. 선두 : 평소처럼 Gstep에 머문다.
A2. 후방 : 신속 퍼크 판매대 맞은편에 있는 창문에 머문다.
A3. 보조 : 딱히 정해진 것은 없으나, 미술관 제일 안쪽 창문에서 나오는 적들도 맡아야하므로 (미술관 내의) 전방위로 사격이 용이한 장소를 찾아 머문다.

☆ 선두 역할은 가능하면 펀쳐를 가진 사람이 맡는 것이 좋다.[30] 또한 선두 2명 중 '순위'가 낮은 사람은 옥상에서 오는 적들을 맡고, 높은 사람은 아파트에서 오는 적들을 맡는다.


전략 테스트
- '순위'에 따라 전략을 나눴다고 해서 끝이 아니라, 라운드를 진행하며 테스트를 해보아야 한다. 엔더 좀비가 많이 투입되는 라운드 23~28을 안정성 테스트 라운드라고 할 수 있다.[31]

☆ 좋은 무기가 없는 사람들도 골드가 충분하다면 좋은 무기, 특히 금광꾼은 뽑도록 노력한다. 좋은 무기가 나와 '순위'가 크게 바뀌게 되면 선두, 후방 또는 보조를 서로 교체할 수 있다.


보스전(일반, 어려움 난이도)라운드 25, 30
- 일반 난이도는 보스가 웨이브 3에만 등장하기에, 그 전까지 적들을 처리해놓으면 어렵잖게 넘길 수 있다. 사실, 어려움 난이도까지는 아래 주의상황만 잘 대응하면 무난히 넘길 수 있다.

☆ 주의사항
1) 보스 2마리가 같이 올 경우 : 후방이 클리어되면 '보조' 및 '후방' 담당자들은 곧바로 계단을 올라와 화력을 더 얹어준다. 반면, 후방이 아직 클리어되지 않으면 '보조' 담당자는 후방에 화력을 지원하다가, 후방이 어느 정도 클리어되면 선두에 화력을 지원해준다.
2) 보스가 미술관에서 나올 경우 : 미술관에 있는 2명 중 보스의 주의가 끌린 사람은 계단을 오르다가 다시 뛰어내린다.[32] 이후 '선두' 담당자 2명과, '보조' 담당자 1명은 선두에 화력을 쏟으면 된다. 후방이 클리어되면 '후방' 담당자도 가세한다.


보스전(RIP 난이도)라운드 25, 30
- 일반, 어려움 난이도와 달리 웨이브 1부터 보스가 등장하기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 보스 라운드 전에 s1하고, 발전소 창문 모두, 발전소와 가까운 미술관 창문 2곳을 수리하고, 발전소와 가까운 옥상 창문은 1줄(3칸)만 수리한다.
2. '선두' 담당자들은 옥상과 가까운 발전소 창문, 발전소 내부 양옆으로 있는 창문 사이에 각 1명씩 선다. '후방', '보조' 담당자는 신속 퍼크 판매대 근처에 있는 창문 2곳에 각 1명씩 머문다.
3. 보스 출현 메시지가 출력됨과 동시에 보스 등장 장소를 확인한다. '선두' 담당자 중 옥상과 가까운 창문을 맡은 사람은 계단에 돌아오면서 옥상 창문 너머로 보스 출현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후방', '보조' 담당자들은 미술관 제일 안쪽 창문까지 확인해야 한다.
4. 혹시라도 1번째 보스가 미술관에 나왔다면 '선두' 담당자 1명은 미술관에 가서 보스를 빠르게 처리하고 선두에 재합류한다.
5. 보스가 양방향으로 오는 경우, "보스전(일반, 어려움)" 별표 내용과 똑같이 하면 된다. 또한 보스 체력이 높으므로 '선두' 담당자들의 펀칭도 훨씬 중요해진다는 것도 알아둔다.[33]
6. 적들이 미술관에 들어왔을 때부터, 팀원들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4.1.2. 아파트 버티기

★ 개요
1. ZHF가 막히기 전에는 중~후반 라운드 돌파를 위한 버티기 장소는 발전소 계단이 압도적으로 좋은 장소였다. 발전소 계단 버티기의 유의점 중 하나가 뒤쪽 문(발전소-미술관)을 실수로 여는 것인데, ZHF가 이를 어느 정도 방지해주니 편하게 버틸 수 있는 장소였다. 하지만 ZHF가 막히면서 엔더마이트의 넉백, 적들의 물량 공격 등으로 인하여 뒤쪽 문을 열 수 있는 위험성이 상승하였고, 이에 대한 대체재로 호텔 계단과 더불어, 아파트 버티기가 재조명되기 시작하였다.
2. 물론 BMC 등 현재는 ZHF 없이도 Gstep에서 잘 버티는 법이 개발되었으나, 고난이도 중반 보스전의 정원 버티기 대체, 특히 모든 문을 다 열어버리는 랜덤 매칭에 대비하기 위한 버티기 장소로는 여전히 활용할 수 있다.


★ 아파트 버티기의 특징
1. 사무실 쪽 건물 내부의 문이 다 열리지 않으면 적들이 앞(호텔 -> 아파트)으로 많이 오는 반면, 모든 문이 다 열릴 경우 '빠른 발사' 퍼크 구매대 쪽으로 적들이 많이 몰려온다.
▷ 때문에 전자의 경우 적들의 동선이 일직선이라서 사격이 쉽지만, 가디언 좀비의 원거리 공격에 위험할 수 있으니 엄폐하면서 사격해야 한다.
2. 정원보다 팀 머신이 훨씬 가까워, 랜덤 매칭에서 탄약 공급(Ammo supply)을 하는 중에 라운드가 시작되어도 복귀가 한결 수월하다.
3. 라인이 밀리는 속도가 정원보다 훨씬 빠른 만큼, 팀원들의 높은 DPS가 중요하다. 특히, 난이도를 불문하고 보스가 가까이서 나와버리면, 대처가 너무 힘들어진다.
4. 너무 앞만 신경쓰다가는 후방 창문에서 나오는 적들한테 기습당할 수 있으니, 웨이브 시작 타이밍에 맞추어,[34] 후방 창문에 나오는 적들을 처리해야 한다. 다만 이건 솔플일 때의 경우이고, 인원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위험성이 낮아진다.


★ 역할 설명
1. 선두(2명) : '빠른 발사' 퍼크 구매대로 몰려오는 적들을 잡아준다. 실력과 함께 펀쳐 및 고화력 무기를 더 많이 갖춘 사람이 맡아야 한다.
2. 후방(2명) : 후방 2개의 창문을 수비한다. 이들 중 금광꾼을 최소 1명은 갖추고 있어야 한다.


★ 인플레이 공략
• 라운드 시작~중반
- 아파트 버티기의 줄임말은 "Apt corner"이므로, 필요 시 팀원들에게 여기에 모이라 전파한다.

1. 라운드 시작은 아파트 안쪽(철 갑옷과 행운의 상자, 이스터에그 있는 곳) 두 창문에서 직선을 그었을 때 만나는 교차점이다.[35]
2. 선두는 아파트 내 튀어나온 조약돌 반블록[36] 근처에 붙어 사격하여, 적들의 동선 제어가 쉽게끔 한다. 후방은 매 웨이브마다 후방 창문을 클리어하되, 가능한 한 빨리 클리어해야 한다.
3. 보스 등으로 인하여 라인이 밀리기 시작할 때 아래 서술된 Train형, Chaise형 중 택1하여 라운드를 이어간다.


• Train형
- 먼저 Train형은 난이도가 그리 어렵지 않을 때 쓰이는 전략이다. 보스를 상대할 때 뒤쪽 창문 → 철 갑옷 파는 장소로 이동해가며 상대하는 전략이다.

1. 장점은 간편하다.[37] 랜덤 매칭이라도 3인플레이 이상이면 보스를 상대하는 동안 남은 사람한테 앞쪽 수비를 맡기고, 자신은 보스를 상대하는 전략 등으로, 비교적 어렵지 않게 넘길 수 있다.
2. 경우에 따라 이동하면서 적을 처치해야 하는데, 주위의 적들 수에 따라 박멸기 사용 비율을 조절해야 한다.


• Chaise형
파일:apartchasecorner.png
- Chaise형은 어려움 난이도 솔플 라운드 25나 RIP 난이도 듀오 라운드 30 등 난이도가 굉장히 높은 곳에서 쓰이는 전략으로, 행운의 상자 옆 창문 근처에 있는 1칸 너비 난간을 이용한 전략이다. Bad Blood의 묘지 난간에서 펀쳐로 히로빈을 상대하는 모습과 같다.

1. 장점은 Train형에 비해 가디언 좀비의 원거리 공격을 덜 받을 수 있다.
2. 펀쳐를 타이밍 맞게 써야 하는 실력이 필요하다. 펀쳐가 버그가 걸리거나, 타이밍이 어긋나 보스가 밀리지 않으면 낭패를 보게 된다.[38]
3. 고난이도에서는 보스 상대하느라 뒤쪽에 있는 창문을 신경쓰지 못해, 결국 후방 기습을 당할 수 있다는 것이 치명적이다.
4. 후방 담당자는 선두가 보스를 밀치고 있을 때, 자신이 어디서 사격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4.1.3. 랜덤 매칭

4.2. Bad Blood

4.2.1. 랜덤 매칭

4.3. Alien Arcadium

4.3.1. Eco

★ 기본적으로 팀 총합 Eco를 올리는 방법이다.

4.3.2. 라운드 X0 관련

★ 같이 보기 : 링크.
1. 정면 바라보기
▷ 여기서 말하는 정면이란, 벽으로 막혀있지 않은 방향을 말한다. 만일 후면이나 측면을 바라본다면, 라운드 X0에서는 오래된 자가, 라운드 X5, X7에서는 블롭이, 라운드 X4에서는 지렁이가 박멸기 공격으로 코너에 깊숙히 들어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으로 인해 자신의 주의가 끌린 플레이어를 코너 밖으로 끌고 나가게 된다.

2. 아래 바라보기
▷ 여기서 아래란, 완전하게 바닥을 바라보면 된다. 이는 ult에서 튕겨나갈 확률을 줄이는 목적도 있지만, ult 코너에서 정면을 바라보고 이 행동을 한다면 검 가드가 되지 않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사실상 AA에서 어려운 부활 사이클을 돌려야 할 때 필수인 테크닉이다.

3. 번개 순서 맞추기
▷ 궁극적인 목적은 튕겨나가지 않는 것이다. 이 행동이 번개 순서와 관련 있는 이유는 감전 버그 때문이다. 감전 버그가 걸린 적은 한 플레이어에게만 어그로가 끌리고, 다른 적들과 겹치지도 않기에, 감전 버그가 걸린 적이 여러 마리가 오게 되면 플레이어한테 주의가 끌려있지 않더라도 플레이어를 밀어낸다.

4. 점핑 라운드와 아닌 라운드 구분하기
1) 라운드 X0이 아닐 때 : 점핑 금지
▷ 점핑을 하게 되면, 점프를 하고 다시 지면으로 닿기 전까지의 시간동안 라운드 X5, X7의 블롭이나 아기 좀비가 플레이어를 밀어내 튕겨나갈 수 있다.
2) 라운드 X0일 때 : 점핑 필요
▷ 라운드 X0에서는 엄청난 물량공세로 점핑을 하지 않아 튕겨져 나가는 위험을 줄이는 것보다는, o1들의 공격에 의해 바로 죽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점핑하는 것이 중요하다.

5. S 누르기
의외로 이 점이 매우 중요하다. S 키를 자신이 부활된 직후부터 쓰러지기 직전까지 누르면 된다.

6. 번개를 빨리 쓰기Duo 한정
▷ AA Duo에서 게임 오버되는 이유는 부활 사이클 미숙보단 코너에서 튕겨져나가는 때가 더 많다. 번개를 빨리 쓰게 되면 라운드 X5와 X7에 버그 걸린 블롭들의 대부분이 코너에 들어오지 못하므로 훨씬 더 안전하게 부활 사이클을 유지할 수 있다.

[1] Dead End/Bad Blood 맵은 일부 sla가 표시되어 있다. [2] 사실, 이는 Zombies를 제외한 다른 게임도 포함이다. [3] 대표적으로 Lunar Client가 있다. 다만, 보조 모드를 사용할 거면 포지나 Feather Client를 사용하자. [4] [UNION]이라고 하며, 초대가 필요하다. 대신 모든 유저들이 Legit이다. [5] [NOTL4ST]라고도 하며, DE/BB 맵 관련 초고수들이 많이 있다. [6] [SNIPED]라고도 한다. [7] 사용 방법은 #bot-channel이란 채널이나, DM으로 /help helpstart명령어을 사용하면 나와 있다. [8] PV는 이 게임에 입문할 때부터 갖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9] Alien Arcadium은 시작 지점의 창문이 5개이므로 2개의 창문을 1명이 맡거나, 남은 창문은 '협동 창문'으로 지정해야 한다. [10] 단, '구역 개방'은 너무 빠르게 하는 것이 아닌, 적절한 라운드에 해야 한다. [11] Bad Blood는 양 대신 질을 선택한 맵이라 입문자에게는 실수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Alien Arcadium은 난이도 자체가 어려운 맵으로, 팀 전체의 최고 기록이 라운드 70을 넘긴 파티가 아니라면 클리어 가능성이 전무한 맵이다. [12] 퍼크와 무기는 무엇을 사야 하고, 어디서 머물러야 하는지 등을 말한다. [13] 물론 랜덤 매칭에서 고수, 심지어는 랭커를 만날 수 있지만, 흔치 않은 일이다. [14] 또는, 저 두 맵의 RIP 난이도 2~3인플레이 클리어에 익숙해지고난 후여도 된다. [15] 2자루 이상의 무기를 번갈아가며 사격하는 기초 테크닉을 말한다. [16] 랜덤 매칭을 하다 중간에 팀원들이 나간 경우도 솔플로 인정이 된다. [17] No lucky chest, No armor, No perks 등을 말한다. [18] 솔플로 이런 챌린지를 한다는 것 자체가, "이 맵 솔플에 대해 마스터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9] Dead End의 경우, 라운드 1에 나오는 권능을 부여 받은 좀비의 공격력이 막 부활된 플레이어를 한 방에 죽이기에 힘들다. [20] 빠른 부활 사는 곳은 라운드 X5, X7, X0의 버티기 장소인 ult와 비슷한 구석이 빠른 부활 사는 곳 왼쪽 코너이다. 홀로그램도 있어 칼 가드도 가끔씩 풀리는 등 80% 정도는 비슷해 괜찮은 연습 코너다. [21] 펀처 연습과 리듬을 연습할 수 있으니 좋은 연습 방법이다. [22] 3명을 모두 살리게 되면 1-3이 되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23] 해당 랭커는 빠른 스왑으로 이 게임 커뮤니티에서 유명하다. [24] RIP 쿼드의 경우 실력이 부족하거나 장비가 제일 부실한 1명 정도는 팀원들을 보조하는 역할을 맡아도 안전하게 클리어할 수 있다. [25] 추천은 웨이브 3 시작과 동시에 여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라운드 5 끝나기 전까지) 호텔 내부에서 등장하는 적이 없기에 약간 더 수월하게 봄비 처리가 가능해진다. [26] 물론, 솔플에서는 무조건 전자이다. [27] 팀원 모두 new ZHF가 있거나 미술관이 열리는 조건(BMC)을 안다면 상관없다. [28] 하이픽셀 언어에 따라 다르다. [29] front가 발전소 반대쪽 계단(Astep) 아래에서 몹을 잡고, Behind가 발전소와 옥상에서 나오는 몹을 잡는 전략. [30] 선두 역할 2명 중 최소 1명이 펀쳐를 들고 있는 것이 좋다. [31] 엔더 좀비에 원거리 공격하는 적들이 두 종류나 나오는 라운드 28은 라운드 30 다음으로 어려운 난이도에 속한다. [32] 보스 주의가 '보조' 담당자한테 끌리는 것이 더 좋다. [33] 이 때문에 2번째 보스부터는 미술관에서 나오면 상당히 골치아파진다. [34] 이로 인해 웨이브 딜레이를 외우는 것이 추천된다. [35] 필요에 따라서는 철 갑옷 파는 장소 옆 창문에서 시작하기도 한다. [36] 빠른 발사 퍼크 구매대와 행운의 상자 사이에 있다. [37] 간편하다고 이야기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적들한테 사격하다보면 뒷걸음질을 할 때가 많은데, Train형은 이를 이용한 전략이기 때문이다. [38] 남은 적들이 20마리 이하라면, 오른쪽으로 돌아서 도망칠 수 있다. 당연히 발전소 계단을 타든 호텔 쪽으로 가든 경우에 따라 다르다. [39] 다만, 이 게임을 처음 해본다면, 이 게임의 시스템, 그리고 조준(치명타) 연습 등을 이해하기 위해 해도 된다. [40] 닉네임이며, 설명 편의상 A랑 B로 한다. [41] 다만, 화염방사기는 보조 무기로 부적절하다. 즉, 무기 슬롯이 빈 상태에서는 가져가되, '화염방사기도 같이 사용하면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버리는 것이 속편하다는 이야기다. [42] 이는 게임 내 밝기 레벨이 0이어도 환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 [43] 비는 마당-저택 문을 열거나, 라운드 10에 진입하면 계속 내린다. [44] 그렇다고 처리하기 엄청나게 힘들 정도로 강해지는 것은 아니라서, 죽을 만큼의 위협은 되지 않는다. [45] 묘지로 가는 긴 복도에 있는 코너를 말한다. [46] 정확히는 저택-지하실 문과 지하실-발코니 문이다. [47] 팀원이 다른 장소에서 쓰러졌어도 가능하면 무덤에서 나가지 말라는 것이다. 반복 서술하듯이, Bad Blood는 물량이 적어도 적 한 마리의 공격력이 높은 편이라, 방심하다간 자신도 쓰러질 수 있기 때문. [48] 굳이 웨이브 시간 관련 모드가 없어도 된다. 적당한 간격으로 뒤를 돌아보면 충분히 대응하고도 남는다. [49] 그레이트 홀에 들어가면 위더를 쓰러뜨리기 전까지는 그레이트 홀 퇴장이 제한되지만, 이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50] 적들의 기본 물량 + 팀원이 주변에 쓰러지면서 자신에게 주의가 바뀐 적들의 물량을 뜻한다. [51] 높은 DPS를 위해서는 높은 치명타율, 높은 에임 조준 능력, 11~12 이상의 CPS, 좋은 스왑 실력 등이 요구된다. [52] 물론, 번개를 사용하는 타이밍은 DPS가 부족해 몹 라인이 약간 밀려 몹들이 근처로 오고 뭉쳐있을 때 한정이다. [53] 줄여서 alt-wallshot이라고 불린다. [54] 전자는 Stuck으로 불리우고 감전 버그에 걸린 몹을 조심해야 한다. 후자는 Roof라는 기술로, CPS가 높은 1명이 RR로만 밀어야 하는데다 타이밍까지 잘 맞아하므로 난이도가 있는 기술이다. [55] 권총과 산탄총을 사용해 다이아몬드 갑옷 풀 세트를 맞추는 전략이다. [56] Eco가 좋아지는 이유는, 권총-산탄총 리듬을 쓰면 산탄총 사용률이 올라가는데 산탄총은 모든 무기 중 GPD가 2위이기 때문이다. [57] 라운드 10~14, 16~17, 19. 이후 라운드에서는 적들의 수가 매우 많아져 하기 어렵다. [58] 라운드 10, 15, 16도 블롭이 나오긴 하지만 에코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아 보통은 키우지 않는다. [59] 자신의 골드량이 다른 팀원들의 골드량보다 훨씬 앞설 때, 팀원들과의 골드 밸런스(Gold balance)를 맞추기 위해 사격을 중지한 유저를 뜻한다. [60] Dancer 제한 시 SG를 RR로 교체해야 한다. [61] 대부분 번개 막대 기술을 가지고 있겠지만 골드가 부족하여 번개 막대 기술을 못 맞춘 경우가 가끔씩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