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22:33:23

필라델피아 실험

1. 개요2. 상세3. 실상4. 대중매체5. 영화화

1. 개요

미국 음모론 괴사건. 일명 '프로젝트 레인보우'.

2. 상세

이 실험은 바로 강력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변압 장치인 테슬라 코일을 이용해서 선체에 막대한 전기를 흘려보내 특수한 자기장을 형성시켜(혹은 선체의 자기를 소멸시켜서) 레이더에 발견되지 않도록 하는 스텔스 계획 실험이었다.

잘 알려진 음모론에 따르면 1931년 니콜라 테슬라가 계획을 입안하고, 여기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합류하여 진행한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테슬라는 실험을 반대하면서 떠났고, 그 뒤에 존 폰 노이만이 프로젝트를 맡아서 실험을 진행했다.

1943년 10월 28일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의 해군 조선소에서 프로젝트 레인보우의 일환으로 미합중국 해군 캐논급 호위구축함 USS 엘드리지 함(USS Eldridge, DE-173)을 레이더에 감지되지 않도록 하는 실험을 했다.

탑재된 테슬라 코일은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켰고, 계획대로 엘드리지 함은 레이더에 감지되지 않았다. 이것은 모두 예상한 결과였지만 갑자기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다. 구축함 주변에 푸른 안개층이 형성되었고 다음 순간에 점차 눈에 보이지 않게 되었다가 완전히 사라졌다.

그리고 엘드리지가 사라진 순간, 배는 250마일(400km) 이상 떨어진 노포크 항구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전류를 끊자 배는 다시 나타났는데 사람들이 갑판에 올라섰을 때 그곳은 생지옥이 되어 있었다. 승조원의 대부분이 끔살되었고 일부는 벽이나 기둥, 바닥 등과 융합해 끔찍하게 녹아내리고 있었다.

그리고 상당한 방사선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소수의 생존자들은 정신이상 증세를 보이기까지 했다. 이 실험은 당시 미국의 맨해튼 계획과 함께 최중요 군사기밀이었다고 한다.

3. 실상

사실 실제 필라델피아 실험은 나치 독일 해군 잠수함, U보트가 새로 배치한 자성추적 유도 어뢰[1]의 추적을 방해하기 위해 선체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상쇄시키려 한 연구였다. 결론적으론 이 실험은 실패했지만 소문처럼 사상자 같은 건 없었다. 그리고 얻은 것도 있었다. 자기장 상쇄, 일명 디가우징[2] 후에 더욱 발전되어 핵잠수함이나 소해함[3]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중화시키는 기술로 발전한다.[4] 오늘날 이 '선체소자' 기술은 미국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국, 한국 등 전 세계 수많은 해군들이 대놓고 잘 사용하는 기술이다.

위 음모론의 내용은 1956년 미국인 작가, 영업사원, 유폴로지스트 모리스 캐첨 제섭(Morris Ketchum Jessup, 1900 ~ 1959)이 카를로스 미겔 아옌데(Carlos Miguel Allende, 1925 ~ 1994)라는 사람의 주장을 바탕으로 글을 쓰면서 소개되었다. 카를로스 아옌데는 당신 상선인 앤드류 푸루셋호(SS Andrew Furuseth)에 근무했는데, 필라델피아 실험 당시 노포크 근처에서 엘드릿지 함이 사라졌다 나타나는 장면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959년에 제섭이 죽은 후, 아옌데가 이 내용에 살을 붙여 소개했는데, 다시 1965년에 빈센드 가다디스가 버뮤다 삼각지대, 아틀란티스 등의 내용을 담은 책 "Invisible Horizons : True mysteries of the Sea"에 그 내용을 소개하면서 대중에 알려졌다.

필라델피아 앞바다에서 사라진 배가 노포크 해군기지에 나타났다는 얘기는 당시 소형 군함만 다닐 수 있었던 작은 수로를 통해 엘드리지호가 이동한 것을 몰랐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은 외출한 승조원들이 취해서 "우리 배는 지금 비밀 실험 중이다! 배에 전기를 흘려서 안 보이게 한다!" 라고 술집에서 떠들어댄 것이다. 여기에 카를로스 아옌데가 살을 붙인 것이 오늘날 알려진 필라델피아 실험이 된 것이다.

당시 실험에 사용되었다는 USS 엘드리지 함은 1946년까지 각지를 돌아다니며 호위 임무로 활약했고, 1951년에 제적되어 당시 그리스 왕국에 공여되면서 HS Leon이란 이름으로 활동하다 1991년에 처분되었다. 그리고 엘드릿지 함의 항해 기록과 전시 일보는 다른 함선들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필름에 보존되어서 누구나 복사 열람할 수 있는데, 그 내용 어디에도 1943년에 필라델피아에 들렀다는 기록은 없다. 필라델피아에 들른 일도 없는 배가 필라델피아 실험을 진행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물론 극비 실험이였기에 기록이 남지 않은 것이라고 음모론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더군다나 아옌데가 근무했다는 앤드류 푸루셋 호는 10월 25일에 노포크를 출항했고 그 후에는 계속 지중해에서 활동했다. 물론 아옌데 이외의 승무원들 중에는 노포크에서 이상한 일을 겪었다는 이가 없다. 앤드류 푸루셋 호는 7,000톤급 화물선으로 40명 이상의 승무원이 탑승했다.

선체에 자기장을 걸어서 레이더에 잡히지 않게 한다고 했는데, 이는 자성추적어뢰에 잡히기 않기 위해 한 것이다. 레이더란 ‘전파를 포착하는 기술’로 테슬라 코일로 고주파,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은 레이더가 사용하는 반사파를 막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전파를 발산하여 적에게 포착될 가능성을 높일 뿐이다. 재미있는 건 후에 U-2의 레이더 피탐면적을 줄이는( 스텔스) 실험의 명칭이 레인보우 프로젝트라는 점이다.

함선이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 건 수십년 뒤에서야 스텔스 설계를 적용한 줌왈트급 구축함에서 어느정도 현실화되었다.

그리고 당시에 연합군의 주적인 U보트가 목표를 찾는 가장 유효한 관측수단은 잠망경. 즉, 인간의 눈이었다.

당시 미국은 해군용 레이더 기술에서 가장 앞서가던 나라였다. 미 해군은 구축함부터 전함까지 뛰어난 레이더와 함께 레이더에 연동되는 사격관제 기술을 활용해서 야간/장거리 함포사격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었고, 독일의 U보트는 레이더는 고사하고 그나마 정찰에 필요한 항공기는 괴링의 고집으로 못써먹고 해군의 선박들은 연합군 함대에 쫄려 도망다니고 있었다. 오히려 미군이 함선용 레이더 기술을 이용하여 야간에 배터리 충전을 위해 올라온 U보트를 사냥하기도 했고, 잠수함에 레이더를 장착하여 활용한것도 가토급 잠수함을 비롯한 미 해군 잠수함들이 대부분. 일본은 그 레이더 연구도 금지당한 적이 있기 때문에 기술발전이 매우 더뎠다.

훗날 밝혀진 바에 따르면 카를로스 아옌데는 칼 앨런이라는 사람이 자신의 이름을 스페인 사람처럼 바꿔서 쓴 것으로, 칼 앨런은 망상증에 빠진 정신분열증 환자였다고 한다.

4. 대중매체

공간을 다루는 과학실험과 관련된 최초의 호러라는 점에서 DOOM, 이벤트 호라이즌, 하프라이프 같은 후세 작품들의 선조 격이 되는 도시전설 괴담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시리즈에 등장하는 갭 제너레이터 크로노스피어도 이 실험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레드얼럿 1에는 정박한 군함 주변의 갭 제너레이터들이 일시적으로 군함의 모습을 사라지게 하는 동영상도 나온다.

월간 과학잡지인 과학소년에서도 심도 있게 다룬 적이 있다.

모바일 1인칭 생존 서바이벌 게임 Radiation Island의 모티브가 이 실험이다.

바티칸 기적 조사관 6권 ' 라플라스의 악마'에서 이 실험을 다뤘다.

로키(드라마) 시즌1 에피소드 5에서 USS 엘드릿지가 통째로 TVA의 쓰레기장 세계인 보이드로 공간이동돼 그곳의 폭군인 알리오스에게 학살당했다.

테슬라 노트에선 엘드릿지가 사실 2척이었고 실험을 한 엘드릿지는 폐선하고 동형함을 엘드릿지로 꾸며서 속였다고 한다.

괴담 동아리에선 이를 소재로 한 괴담이 등장한다.

かめりあ의 앨범인 U.U.F.O.에 이 도시전설을 모티브로한 Electromagnetic Stealth Girl Born In Philadelphia라는 곡이 존재한다.

Steins;Gate 젤리맨즈 리포트의 모티브로 여겨진다.

벽람항로 엘드릿지(벽람항로)가 전기를 내뿜고 자기장을 조종하는 능력을 가진 설정을 가진 이유도 이 음모론의 주인공인 구축함 엘드리지를 모에화한 캐릭터이기 때문.

5. 영화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hiladelphia_experiment.jpg

1984년 스튜어드 레필 감독, 윌리엄 그레이, 마이클 제노버 등 각본 마이클 파레, 낸시 알렌, 에릭 크리스마스, 바비 디 시코 주연으로 만들어진 영화. 한국에선 필라델피아 특명이란 제목으로 90년 초반에 비디오가 나왔고 1999년 9월 6일 월요일 낮 4시 20분에 KBS에서 4차원의 실험이란 제목으로 더빙 방영했다. 이정구 손정아가 남녀주인공을 연기했다.

시놉시스는 USS Elderidge에 승무원이었던 데이빗 헤디그가 롱스트리트 박사의 시간이동 실험의 여파로 1984년으로 건너와 미국 동해안과 네바다주를 왔다갔다 한다는 스토리. 결과적으로 그는 과거로 돌아갈 수 있었으나 일부러 미래세계로 돌아가 여주와 결혼한다.

그후 1993년에 속편이 만들어졌다. 주인공 데이빗 헤디그의 뒷 이야기로 아내도 죽고 사업도 실패한 데이빗 헤디그를 1에서 그를 미래로 날려버린 롱스트리트 교수가 다시 꼬셔서 해군으로 돌아오라고 하지만 돌아가지 않고 아들을 데리고 야구연습장에 가게된다. 한편 독일계 과학자 말러 2세는 롱스트리트 교수가 만류하는데도 필라델피아 실험을 다시 하자고 미 군부를 설득하여 실험을 다시 하는데, 실험 대상은 핵무기를 실은 F-117 스텔스 전투기 이다. 그러나 말러 2세의 진짜 속셈은 F-117을 나치 시대로 시간여행시켜 나치 과학자였던 아버지 말러 1세에게 보내 나치가 세계를 정복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결국 나치에 의해 워싱턴에 핵폭탄이 투하되어 미국이 독일에 항복하고 독일의 총독부가 설치되는 역사 개변이 일어나지만, 주인공 데이빗도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F-117을 파괴시키고 다시 역사가 정상화된다는 줄거리.

1편과 달리 한국에선 1994년 6월 4일에 필라델이파 특명 2란 제목으로 개봉하고 드림박스 비디오에서 비디오로 발매했다. 지상파 더빙 방영은 1편보다 빨리 1996년 3월 22일 금요일 밤 10시에 영화특급에서 더빙 방영했다. 데이빗 성우는 엄주환. 말러는 장정진이 맡았으며 그 밖에

이진화 - 제시 (마리엔 홀든)
강미형 - 벤자민 (존 크리스찬 그라스)
손원일 - 로건 (제프리 블레이크)
김정주 - 스캇 (리사 로빈스)
정기항 - 롱스트리트 (제임스 그린)
이호인, 문지현, 김영훈, 이재용, 성완경


[1] 배는 강철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일정한 자기장이 나오기 마련인데 이 자기장을 추적하는 어뢰. [2] 멀리 갈 것 없이 여러분 하드디스크에서도 잘 쓰이는 기술이다. [3] 기뢰 신관 중에 메이저하게 사용된 신관으로 자기감지신관이 있기 때문. [4] 물론 요즘은 전선을 무식하게 두르지 않고 따로 거대한 디가우징용 도크가 있고 거대한 철골 구조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도크를 가지고 있는 나라가 몇 안 되기는 하지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