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9:53

푸에블로호

푸에불로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68년 1월 23일에 조선인민군이 미합중국 해군 소속 함정 USS 푸에블로를 납치한 사건에 대한 내용은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김일성광장 (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대동강구역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대성구역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만경대구역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모란봉구역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보통강구역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서성구역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기타 애국렬사릉 (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 룡성구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락랑구역) (철거) · 주체사상탑 ( 동대원구역)
량강도
전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자강도
전체 국제친선전람관
함경북도
전체 회령고향집
황해남도
전체 신천박물관
전국
전체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일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대성구역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락랑구역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기타 지하철도건설박물관 (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 대동강구역)
개성시
전체 개성고려박물관
강원도
전체 원산력사박물관
자강도
전체 강계력사박물관
량강도
전체 혜산력사박물관
평안남도
전체 평성력사박물관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함경남도
전체 함흥력사박물관
함경북도
전체 청진력사박물관
황해남도
전체 해주력사박물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력사박물관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 전시물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푸에블로호
USS Pueblo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S_Pueblo_1.jpg
▲ 보통강변에 정박된 푸에블로호의 모습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다른 이름 푸에불로호[1]
설치 1998년
상위 시설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주소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푸에블로호
(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동)
1. 개요2. 특징3. 어떻게 옮겼는가?

[clearfix]

1. 개요

미국 해군의 배너급 정보수집함 AGER-2 푸에블로이자 북한의 전시물.

1968년 1월 23일 푸에블로호 피랍사건으로 인해 미국 해군이 빼앗긴 함정이다.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보통강변에 정박되어 있다.

2. 특징

동해안에 정박되어 있다가 1998년 김정일 위원장의 지시로 평양 보통강변으로 옮겨져 당시의 모습 그대로 전시되어 있으며 주변은 북한식 안보공원화되어 있다.

1866년( 고종 3년)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 호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평양에 이르러 통상을 요구하다가 조선군 및 백성과 충돌 끝에 격침된 장소에 위치해 있으며 제너럴 셔먼 호 격침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기념비를 세운 목적은 김일성의 증조부가 이를 주도한 최초의 대미 항쟁이라며 왜곡하기 위해서다. 인민군 해군 해병들이 상시 의장 경계 임무를 띠고 주둔하고 있다. 플래툰 기사에 따르면 안내를 맡는 박인호 해군 대좌는 이 나포작전에서 세운 전공 덕에 특례로 장령이 아님에도 종신 복무를 보장받았다고 자신을 소개했다고 한다. 북한에선 소장 이상 계급의 군관은 본인이 퇴역을 원하거나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정년 없이 종신 복무한다. 박인호 대좌는 당시 상위 계급으로 나포결사대 조장을 맡아 작전을 성공시켜 상위 계급에 불과함에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파일:attachment/6104956057_de3178a867_z.jpg
푸에블로 호를 안내하는 박인호 대좌

미군 입장에서는 반드시 돌려받고 싶은 함선인지라 미 해군 함정 리스트에서 푸에블로호의 이름은 미 해군의 상징 컨스티튜션함과 함께 지워지지 않고 현역함의 자격으로 대우받는다. 컨스티튜션함이 미 해군의 의지를 표현한다면 푸에블로호는 언젠가는 되돌려 받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아마 배 자체는 도저히 못 쓸 수준이라 아마 반환받으면 퇴역 절차를 곧바로 밟고 스크랩 또는 보존 절차를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미군은 기본적으로 '낙오된 전우를 버려두지 않는다.'는 개념을 군인정신의 근본으로 깔아 놓은 군대이기 때문에 꾸준히 6.25 전쟁 미군 유해반환을 활발하게 전개하며 베트남 전쟁 당시 포로로 잡힌 미군까지 송환했다. 비록 '테러리스트와는 교섭을 하지 않는다'는 정책 때문에 테러리스트의 포로로 잡힌 미군의 생명이 위협받는 일도 있지만 부득이하게 적진에 놓고 올 수밖에 없었던 전우는 무조건 다시 찾아 데려온다는 기본 정신은 그대로 내려와 지켜지고 있다.

2000년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의 북한방문을 계기로 북미관계가 완화되면서 잠시 푸에블로 호 반환 협상이 진행되었으나 이후 북미관계 경색과 북핵사태 등으로 결국 협상이 좌초되었다. 북한에서는 아주 못 돌려주겠다는 것도 아니고 조건만 맞으면 재협상을 통해 반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미 해군은 푸에블로호의 나포로 인해 전체 군사 보안 시스템을 싹 바꿔야 했다. 2000년대에도 전자전기인 EP-3가 무리한 격퇴 기동을 하다가 들이받은 인민해방군 해군 J-8 전투기 때문에 하이난섬에 비상착륙 후 기체와 승무원이 한동안 억류됐다 풀려난 사건으로 인하여 전자전 장비를 싹 갈아야 했다.

북한에 파견 나온 외국인들은 가이드와 동행하면 기본적으로 평양 어디든지 돌아다닐 수 있지만 푸에블로호 근방만큼은 여행 코스에 공식적으로 포함된 경우에만 갈 수 있다고 한다.[2] 푸에블로호에 올라가 사진도 찍을 수 있다.

3. 어떻게 옮겼는가?

푸에블로호는 보통강에 전시되어 있는데 원산에서 평양으로 가는 강이 없다![3] 이걸 밑의 나라 영해를 통하지 않고 어떻게 옮겼는지 의문이다. 조각내서 철도를 통해서 옮겼을 가능성도 있지만 철도든 도로든 개판 5분전인 북한 사정상 쉽지 않은 일이다. 조각 낸다해도 터널을 들어가기에 너무 크다. 밝혀진 바로는 위장을 철저히 한 후 동쪽 원산 앞바다에서 한반도 영해 밖으로 나가 남쪽 제주도와 일본 사이 공해를 거쳐 서쪽 대동강변으로 옮겼다고 하며 미국도 3일 후에나 알았다고 한다.


[1] 북한에서는 '-불-'로 쓴다. [2] 출처는 평양 : 프랑스 만화가의 좌충우돌 평양 여행기. [3] 작은 하천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0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