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
<tablebordercolor=#663334><tablebgcolor=#66333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6em; letter-spacing:-.2px" |
<rowcolor=#fff> 순서
|
이름 | 연도·부문 | 사유 | 비고 |
1 |
유카와 히데키 (湯川 秀樹) |
1949 물리학 |
중간자의 존재 예측 | 노벨상/물리학상 최초 수상 | |
2 |
도모나가 신이치로 (朝永 振一郎) |
1965 물리학 |
양자 전기역학의 기초 연구 | ||
3 |
가와바타 야스나리 (川端 康成) |
1968 문학 |
소설 《 설국》 | 문학상 최초 수상 | |
4 |
에사키 레오나 (江崎 玲於奈) |
1973 물리학 |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효과 발견
|
||
5 |
사토 에이사쿠 (佐藤 榮作) |
1974 평화 |
비핵 3원칙 제창 | 평화상 최초 수상 | |
6 |
후쿠이 겐이치 (福井 謙一) |
1981 화학 |
화학 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 | 화학상 최초 수상 | |
7 |
도네가와 스스무 (利根川 進) |
1987 생리의학 |
항체 다양성의 유전학적 원리 해명 |
생리의학상 최초 수상
|
|
8 |
오에 겐자부로 (大江 健三郎) |
1994 문학 |
소설 《개인적인 체험》 | ||
9 |
시라카와 히데키 (白川 英樹) |
2000 화학 |
전도성 고분자 물질 개발 | ||
10 |
노요리 료지 (野依 良治) |
2001 화학 |
키랄 촉매에 의한 비대칭 반응 연구 | ||
11 |
고시바 마사토시 (小柴 昌俊) |
2002 물리학 |
우주 중성미자 검출과 관련한 선구자적 연구 | ||
12 |
다나카 고이치 (田中 耕一) |
2002 화학 |
생체고분자의 질량 분석을 위한 연성 탈착 이온화 방법의 개발 | 과학분야 학사 출신 최초 수상 | |
13 |
고바야시 마코토 (小林 誠) |
2008 물리학 |
CP 대칭깨짐 원리 발견 | ||
14 |
마스카와 도시히데 (益川 敏英) |
||||
15 |
난부 요이치로 (南部 陽一郎) |
일본 출생 미국 국적 |
|||
16 |
시모무라 오사무 (下村 脩) |
2008 화학 |
녹색 형광 단백질 GFP 발견 및 개발 | ||
17 |
스즈키 아키라 (鈴木 章) |
2010 화학 |
팔라듐 촉매교차결합법( 스즈키 커플링 / 네기시 커플링) 개발 | ||
18 |
네기시 에이이치 (根岸 英一) |
히키아게샤
일본 국적 |
|||
19 |
야마나카 신야 (山中 伸弥) |
2012 생리의학 |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개발 | ||
20 |
아카사키 이사무 (赤﨑 勇) |
2014 물리학 |
청색 LED 발명 | ||
21 |
아마노 히로시 (天野 浩) |
||||
22 |
나카무라 슈지 (中村 修二) |
일본 출생 미국 국적 |
|||
23 |
오무라 사토시 (大村 智) |
2015 생리의학 |
회충 감염의 새로운 치료법 발견 | ||
24 |
가지타 다카아키 (梶田 隆章) |
2015 물리학 |
중성미자 진동 관측 | ||
25 |
오스미 요시노리 (大隅 良典) |
2016 생리의학 |
자가포식(오토파지) 매커니즘 연구 | ||
26 |
이시구로 가즈오 (石黒 一雄) |
2017 문학 |
소설 《 남아 있는 나날》 |
일본 출생 영국 국적 |
|
27 |
혼조 다스쿠 (本庶 佑) |
2018 생리의학 |
음성적 면역 조절 억제를 통한 암 치료법 발견 | ||
28 |
요시노 아키라 (吉野 彰) |
2019 화학 |
리튬 이온 배터리 개발 | ||
29 |
마나베 슈쿠로 (真鍋 淑郎) |
2021 물리학 |
기후 변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예측 모델 제시 |
일본 출생 미국 국적 |
|
30 |
일본 원수폭 피해자 단체 협의회 (日本原水爆被害者団体協議会) |
2024 평화 |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 | 일본 첫 단체 수상 | |
일본 국적을 취득한 적이 없는 일본계 외국인 수상자는 포함하지 않은 집계. 다만, 1986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리위안저( 대만일치시기 일본 국적) 및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김대중( 일제강점기 일본 국적)은 제외. |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
빌헬름 뢴트겐 | 헨드릭 로런츠 | 피터르 제이만 | 앙투안 베크렐 | |
<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
피에르 퀴리 | 마리 퀴리 | 존 라일리 | 필리프 레나르트 | |
<rowcolor=#cd9f51> 1906 | 1907 | 1908 | 1909 | |
조지프 톰슨 | 앨버트 마이컬슨 | 가브리엘 리프만 | 굴리엘모 마르코니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카를 브라운 |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 빌헬름 빈 | 닐스 달렌 | |
<rowcolor=#cd9f51> 1913 | 1914 | 1915 | ||
헤이커 오너스 | 막스 폰 라우에 | 헨리 브래그 | 윌리엄 브래그 | |
<rowcolor=#cd9f51> 1917 | 1918 | 1919 | 1920 | |
찰스 바클라 | 막스 플랑크 | 요하네스 슈타르크 | 샤를 기욤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닐스 보어 | 로버트 밀리컨 | 만네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
제임스 프랑크 | 구스타프 헤르츠 | 장 페랭 | 아서 콤프턴 | |
<rowcolor=#cd9f51> 1927 | 1928 | 1929 | 1930 | |
찰스 윌슨 | 오언 리처드슨 | 루이 드 브로이 | 찬드라세카라 라만 | |
<rowcolor=#cd9f51> 1932 | 1933 | 1935 |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폴 디랙 | 에르빈 슈뢰딩거 | 제임스 채드윅 | |
<rowcolor=#cd9f51> 1936 | 1937 | |||
빅터 헤스 | 칼 앤더슨 | 클린턴 데이비슨 | 조지 톰슨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3 | 1944 | |
엔리코 페르미 | 어니스트 로런스 | 오토 슈테른 | 이지도어 라비 | |
<rowcolor=#cd9f51> 1945 | 1946 | 1947 | 1948 | |
볼프강 파울리 | 퍼시 브리지먼 | 에드워드 애플턴 | 패트릭 블래킷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유카와 히데키 | 세실 파월 | 존 콕크로프트 | 어니스트 월턴 | |
<rowcolor=#cd9f51> 1952 | 1953 | 1954 | ||
펠릭스 블로흐 | 에드워드 퍼셀 | 프리츠 제르니케 | 막스 보른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발터 보테 | 윌리스 램 | 폴리카프 쿠시 | 윌리엄 쇼클리 | |
<rowcolor=#cd9f51> 1956 | 1957 | |||
존 바딘 | 월터 브래튼 | 리정다오 | 양전닝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
파벨 체렌코프 | 일리야 프란크 | 이고르 탐 | 오언 체임벌린 | |
<rowcolor=#cd9f51> 1959 | 1960 | 1961 | ||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 도널드 글레이저 | 로버트 호프스태터 | 루돌프 뫼스바우어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
레프 란다우 | 유진 위그너 | 마리아 메이어 | 한스 옌젠 | |
<rowcolor=#cd9f51> 1964 | 1965 | |||
찰스 타운스 | 니콜라이 바소프 |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 리처드 파인만 | |
<rowcolor=#cd9f51> 1965 | 1966 | 1967 | ||
줄리언 슈윙거 | 도모나가 신이치로 |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 한스 베테 | |
<rowcolor=#cd9f51> 1968 | 1969 | 1970 | ||
루이스 앨버레즈 | 머리 겔만 | 한네스 알벤 | 루이 네엘 | |
<rowcolor=#cd9f51> 1971 | 1972 | |||
데니스 가보르 | 존 바딘 | 리언 쿠퍼 | 존 슈리퍼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
에사키 레오나 | 이바르 예베르 | 브라이언 조지프슨 | 마틴 라일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
앤서니 휴이시 | 오게 보어 | 벤 모텔손 | 제임스 레인워터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
버턴 릭터 | 새뮤얼 팅 | 필립 앤더슨 | 존 밴블랙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
네빌 모트 | 표트르 카피차 | 아노 펜지어스 | 로버트 윌슨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스티븐 와인버그 | 무함마드 살람 | 셸든 글래쇼 | 제임스 크로닌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
벨 피치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아서 숄로 | 카이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82 | 1983 | 1984 | ||
케네스 윌슨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윌리엄 A. 파울러 | 카를로 루비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시몬 판 데르 메이르 | 클라우스 폰 클리칭 | 에른스트 루스카 | 게르트 비니히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1988 | ||
하인리히 로러 |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 카를 뮐러 | 리언 레더먼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
멜빈 슈워츠 | 잭 스타인버거 | 한스 데멜트 | 볼프강 파울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
제롬 프리드먼 | 헨리 켄들 | 리처드 테일러 | 피에르질 드 젠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조르주 샤르파크 | 러셀 헐스 | 조지프 테일러 | 버트럼 브록하우스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클리퍼드 슐 | 프레더릭 라이네스 | 마틴 펄 | 데이비드 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더글러스 오셔로프 | 로버트 리처드슨 | 윌리엄 필립스 | 스티븐 추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
클로드 코엔타누지 | 대니얼 추이 | 로버트 러플린 | 호르스트 슈퇴르머 | |
<rowcolor=#cd9f51> 1999 | 2000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마르티뉘스 펠트만 | 조레스 알표로프 | 허버트 크뢰머 | |
<rowcolor=#cd9f51> 2000 | ||||
잭 킬비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기초물리학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2012 | ||||||
<rowcolor=#222,#fff> 에드워드 위튼 | 앨런 구스 | 나탄 자이베르그 | 알렉세이 키타예프 | ||||
<rowcolor=#fff> 2012 | |||||||
<rowcolor=#222,#fff> 안드레이 린데 | 막심 콘체비치 | 니마 아르카니 하메드 | 후안 밀다세나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
<rowcolor=#222,#fff> 아쇼케 센 |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 존 슈워르츠 | 마이클 그린 | ||||
<rowcolor=#fff> 2015 | 2016 | ||||||
<rowcolor=#222,#fff> 브라이언 슈미트 | 애덤 리스 | 솔 펄머터 | 아서 맥도날드 | ||||
<rowcolor=#fff> 2016 | |||||||
<rowcolor=#222,#fff> 가지타 다카아키 | 스즈키 요이치로 | 스즈키 아츠토 | 니시카와 코이치로 | ||||
<rowcolor=#fff> 2016 | 2017 | ||||||
<rowcolor=#222,#fff> 왕이팡 | 룩 캄비우 | 조셉 폴친스키 | 컴런 바파 | ||||
<rowcolor=#fff> 2017 | 2018 | ||||||
<rowcolor=#222,#fff> 앤드류 스트로밍저 | 데이비드 슈퍼겔 | 라이먼 페이지 | 노먼 야로식 | ||||
<rowcolor=#fff> 2018 | 2019 | ||||||
<rowcolor=#222,#fff> 게리 힌쇼 | 찰스 L. 베넷 | 찰스 케인 | 유진 멜레 | ||||
<rowcolor=#fff> 2020 | 2021 | ||||||
- | |||||||
<rowcolor=#222,#fff> EHT 프로젝트 | 에릭 아델버거 | 옌스 군들라흐 | 블레인 헤켈 | ||||
<rowcolor=#fff> 2022 | 2023 | ||||||
<rowcolor=#222,#fff> 카토리 히데토시 | 준 예 | 찰스 H. 베넷 | 피터 쇼어 | ||||
<rowcolor=#fff> 2023 | 2024 | ||||||
<rowcolor=#222,#fff> 데이비드 도이치 | 질 브라사드 |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 존 카디 | }}}}}}}}} |
1. 개요
가지타 다카아키 (영문 : Kajita Takaaki / 일본어 : 梶田 隆章(かじた たかあき))일본의 물리학자(뉴트리노 물리학)로, 거대 실험장치인 슈퍼 카미오칸데로 중성미자의 진동 관측. 2015년 아더 B.맥도널드와 함께 노벨물리학상 수상.
2. 생애
1959년 3월 9일, 사이타마현 히가시무라야마시 출생([age(1959-03-09)]세).국립 사이타마대학(埼玉大学) 이학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東京大学大学院) 이학계연구과 물리학전공 석사 수여 및 1986년에 박사[1]학위 취득.
도쿄대학 우주선연구소 소장(2008년), 2020년 현재 일본 내각부의 특별기구로 설립된 국립 아카데미인 일본학술회의[2] 회장.
3. 기타
200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고시바 마사토시의 애제자 가운데 한 명이다. 고시바의 제자 중 한명이자 가지타의 지도교원 중 한명인 도쓰카 요지는 2008년 사망으로 201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을 놓쳤다. 도쓰카 요지는 2008년 사망하여 2015년 노벨물리학상은 받지 못하고 그의 제자인 가지타 다카아키만이 수상했다. 살아 있었다면 확실하게 공동수상할 수 있었던 셈.통상적으로 높은 수준인 자연과학 연구에는 다수의 학자가 멤버로 참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노벨상의 자연과학 부문에서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대표자 3명까지 수상이 인정되곤 있지만, 2015년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선택된 것은 위에서 말한 가지타 다카아키와 아서 B. 맥도널드 등 두 사람 뿐이었다.
이는 본래대로라면 수상자 가운데 한 명으로 선택될 것이었던 도쓰카 오지를 위해서 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노벨상 선정위원회가 세 번째 수상자 자리를 일부러 공석으로 해둔 것이라는 견해도 있으며 가지타 다카아키도 그처럼 생각하고 있다고 NHK의 특별 프로그램에서 밝힌 적이 있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후, 은사인 고시바 마사토시와 대면하는 시간을 가졌었다.( 해당 유튜브 영상(교도통신, 일본어)) 영상 끝나는 부분(1분 43초 부근)에서 고시바 마사토시는 '나의 노벨물리학상(2002년)은 작은 카미오칸데 3천톤의 물 덕분이고 카지타의 노벨물리학상(2015년)은 슈퍼 카미오칸데 5만톤의 물 덕분이다. 우리들은 물의 중요함을 잊어선 안된다'라고 이야기 했다.
[1]
박사학위논문 :
Search for nucleon decays into anti-neutrino plus mesons (1986)
[2]
Science Council of Japan, 약칭SC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