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01:08:42

춘향

春香

1. 소설 춘향전(春香傳)의 주인공
1.1. 개요1.2. 상세1.3. 억지춘향1.4. 매체 속 활용1.5. 여담
2. 인명
2.1. 실존 인물2.2. 가상 인물
3. 영화 춘향

1. 소설 춘향전(春香傳)의 주인공

1.1. 개요

판소리 춘향가와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의 주인공. 이몽룡의 연인으로 작중에서는 16살로 등장.

1.2. 상세

남원골 퇴기 월매의 딸로 평민 내지는 천민 신분이라 초기 작품에선 성이 없고 이름만 있었으나 후기 작품에서 성(成)씨가 되어 성춘향(成春香)이라 불린다. 작중에선 얼굴이 아름답다고 묘사되지만, 춘향가의 근원 설화인 박색터 설화나 남원 추녀 설화로 미루어 볼 때 춘향의 모델이 된 인물은 춘향과 반대로 추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춘향전에서는 죽을 위기를 겪으면서도 한 남자에 대한 정조를 지키는 여성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잘 모르는 일반인들은 춘향도 옛날 우리네 전형적인 여성상[1]일 것이라고 고정관념이 박혀있는 경우가 있는데, 원전을 읽어보면 그 정반대 캐릭터가 뙇 하고 튀어나와서 속사포 랩으로 저주를 늘어놓으며 그 고정관념을 박살내는 장면에서 얘도 판소리 캐릭터였지 하며 납득할 수밖에 없게 돼버린단다.

1.3. 억지춘향

억지로 어떤 일을 겨우 이룩한다는 뜻으로, 억지춘양이라고도 한다. 구글링 결과 '억지춘향'이 더 많이 확인되어서 과거에는 표제어를 억지춘향으로 한 문서가 만들어졌으나, '억지춘향'이라는 표현에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는 남원시와 달리 봉화군에서 '억지춘양'이 맞다는 의견을 강력히 내세우며 적극적인 홍보를 하면서 2010년대 들어서는 실생활에서 '억지춘양'이라는 표현이 많이 쓰이고 있어 억지춘양이라는 표제어로 새로운 문서가 만들어졌고, 과거에 생성된 억지춘향 문서는 여기에 통합되어 있다. 현재 국립국어원에서는 억지춘향을 관용구로 소개하고 있다.[2] 하지만 억지춘향이 맞는지 억지춘양이 맞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며 어느 쪽이 옳거나 정통성이 있다고 쉽게 단정지을 수는 없는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억지춘양 항목 참조.

억지춘향이 맞다고 하는 의견으로는 춘향전 춘향과 관련이 있다고 하고, 억지춘양이 맞다고 하는 의견으로는 경상북도 봉화의 춘양이라는 지역과 관련이 있다고 하며 아래와 같은 설들이 있다.

1.4. 매체 속 활용

1.5. 여담

2. 인명

한국의 인명이다. 일본의 인명 하루카의 한자를 春香(춘향)이라 쓰는 경우도 많다.

2.1. 실존 인물

2.2. 가상 인물

3. 영화 춘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춘향(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말없이 님을 그리워하고, 마음 속에 한을 품고, 순종적이고 얌전하고⋯, 김소월 진달래꽃에 나오는 그런 여성상이다. [2] '억지춘향'이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관용구로 '억지춘향(이)'가 소개되어 있다. [3] 그래고 애당초 춘향이는 엄밀히 말하면 퇴기의 딸이지 관기는 아니다. 설령 미래에 관기가 되어야한들 아직 관기로 입적조차 하지 않은 상태이다. [4] 아마미 하루카의 한자를 한글로 쓰면 천해춘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