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5:52:32

청보 핀토스/1986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청보 핀토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심볼.svg 현대 유니콘스
역대 시즌
(삼미, 청보, 태평양 시절 포함)
}}} ||
{{{#!wiki style="color:#FAB93D;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82 1983 1984 1985(전) 1985(후)
6위 3위
전기 2위
후기 공동 2위
6위 6위 6위
후기 4위
1986 1987 1988 1989 1990
6위
전기 6위
후기 7위
7위
전기 7위
후기 5위
7위
전기 6위
후기 7위
3위
5위
1991 1992 1993 1994 1995
5위 6위 8위 2위
7위
1996 1997 1998 1999 2000
2위
6위 '''1위
'''
드림 3위 '''1위
'''
2001 2002 2003 2004 2005
3위
4위
'''1위
'''
'''1위
'''
7위
2006 2007 파일:현대 유니콘스 워드마크.svg
3위
6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청보 핀토스 시즌별 성적
1985 시즌 1986 시즌 1987 시즌
청보 핀토스 1986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3~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청보 핀토스 1986 시즌 성적
순위 승률 1위와의 승차
6 / 7 32 2 74 0.302 36.0

1. 개요2. 시즌 전3. 선수단
3.1. 투수3.2. 포수3.3. 내야수3.4. 외야수
4. 3~4월5. 5월6. 6월7. 7월8. 8월9. 9월10. 총평
10.1. 타자10.2. 투수
11. 선수별 개인 성적
11.1. 투수11.2. 타자
12. 수상 및 기록13.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청보 핀토스의 1986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1985 시즌, 구단 인수후 치러진 후기리그에서 4위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고, 1985년 시즌이 삼성의 통합우승으로 끝나며 한국시리즈가 열리지 않자 플레이오프를 추가해 포스트시즌을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되다가 전, 후기리그 2위 팀들에게도 포스트시즌 진출권을 주는 개편안이 실행되면서 가을야구 티켓이 늘어나자 포스트시즌 진출을 목표로 시즌을 준비했다.

우선 당시 야구 해설가로 이름을 알리던 허구연을 감독으로 선임했고, 지난 시즌 골칫거리였던 마운드를 보강하기 위해 지난 시즌 5점대 평균자책점에 KBO리그 한 시즌 최다패를 당하는 등 성적이 크게 하락한 장명부를 방출하고 그 대신 일본 프로야구에서 20승을 기록하는 등 상당한 활약을 했었던 김기태(재일교포)를 영입했다. 그 외에도 난카이 호크스에서 방출된 김신부를 영입하고 MBC와 OB를 상대로 투수를 받아오는 트레이드를 성사시키는 등 투수진 강화에 초점을 두고 오프시즌을 보냈다.

3. 선수단

3.1. 투수

청보 핀토스 1986 시즌 투수
등번호 이름 투타
1 정성만 좌투좌타
12 강철원 우언우타
17 김신부 우투우타
19 김재현 우투우타
20 정은배 우투우타
21 정선두 우투우타
24 조병천 우투우타
26 김기태 우언우타
30 김봉근 우투우타
33 김상기 좌투좌타
34 신태중 우투우타
39 이우상 좌투좌타
41 최계훈 우투우타
46 천성호 우투우타

3.2. 포수

청보 핀토스 1986 시즌 포수
등번호 이름 투타
11 김진우 우투우타
22 금광옥 우투우타
35 김동기 우투우타
42 신성철 우투우타

3.3. 내야수

청보 핀토스 1986 시즌 내야수
등번호 이름 투타
3 조흥운 우투우타
5 고광수 우투우타
6 이철성 우투우타
10 김정수 좌투좌타
13 권두조 우투우타
14 양후승 우투우타
15 이병억 우투우타
16 이선웅 우투우타
23 정구선 우투우타
25 김바위 좌투좌타
28 오덕환 우투우타
44 우경하 우투우타
45 김경갑 우투우타

3.4. 외야수

청보 핀토스 1986 시즌 외야수
등번호 이름 투타
4 최광묵 우투우타
7 김명성 좌투좌타
8 양승관 우투우타
9 정구왕 우투우타
18 이광근 좌투좌타
27 김경남 우투우타
38 최재은 우투우타
49 김영균 우투우타

4. 3~4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보 핀토스/1986년/3~4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5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보 핀토스/1986년/5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6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보 핀토스/1986년/6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7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보 핀토스/1986년/7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8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보 핀토스/1986년/8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9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보 핀토스/1986년/9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총평

프로야구 역사상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최악의 시즌. 신생팀 빙그레로 인해 간신히 꼴찌를 면했으나 그 외의 지표는 매우 처참하다. 청보 핀토스의 1986 시즌과 비교대상은 쌍방울 레이더스의 1999 시즌, 롯데 자이언츠의 2002 시즌 정도이다. 1986년이 역대 최악의 투고타저 시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해 청보의 ERA는 3.99로, 압도적 꼴찌이다. 6위 빙그레와 비교해도 0.34 차이로 매우 부진했음을 알 수 있다. 시즌 타율 역시 최악이었는데, 0.219로 꼴찌를 기록하였다.

청보가 투타 모두 꼴찌를 기록하였음에도 실제 성적이 꼴찌가 아니었던 이유는 연장전 또는 1점차 이내의 접전 상황에서의 집중력이 빙그레보다 앞섰기 때문이다. 청보의 1986 시즌 연장전 성적은 6승 2무 1패로, 7개 구단 가운데 1위를 기록하였다. 7월 19일 엠비씨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를 승리나 무승부로 마무리지었다. 청보의 1986 시즌 1점차 이내 승률은 0.448로, 0.194를 기록한 빙그레에 비해 2할 이상 높다. [1]

10.1. 타자

10.2. 투수

11. 선수별 개인 성적

11.1. 투수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7 김신부 40
(5위)
28
(3위)
233
(4위)
10 10 0 3.21 220 78
(4위)
89
26 김기태 42
(2위)
12 175⅓ 9 14
(공동 3위)
5
(공동 5위)
3.18 158 83
(3위)
109
(4위)
41 최계훈 32 18 159⅓ 6 14
(공동 3위)
2 3.67 164
(5위)
72
(5위)
62
20 정은배 31 11 105⅓ 2 9 3 4.53 120 49 41
24 조병천 30 9 94⅔ 1 6 0 4.66 99 37 48
30 김봉근 11 9 51 2 4 0 2.82 42 18 15
21 정선두 12 2 25⅔ 1 2 0 3.51 31 9 3
34 신태중 10 1 24⅔ 0 1 0 4.74 35 11 7
12 강철원 8 3 12 0 2 0 9.00 17 8 3
46 천성호 5 2 6⅓ 0 1 0 7.11 7 3 2
19 김재현 5 2 4⅓ 0 2 0 20.77 10 4 2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 정성만 16 10 47⅔ 1 7 0 6.23 69 23 20
39 이우상 6 0 9⅓ 0 0 0 5.79 11 8 3
10 김정수 6 0 7⅓ 0 0 0 6.14 10 5 2
33 김상기 5 1 6⅓ 0 2 0 7.11 8 5 2

11.2. 타자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1 김진우 91 301 .286 86 19 4 8 41 35 9
35 김동기 87 230 .248 57 14 1 10 26 20 1
42 신성철 1 1 .000 0 0 0 0 0 0 0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3 정구선 108 389 .262 102 15 1 13 42 48 3
13 권두조 108 303 .162 49 6 1 0 11 14 2
25 김바위 105 298 .228 68 14 1 6 31 30 3
45 김경갑 67 134 .261 35 4 0 4 19 10 1
16 이선웅 67 128 .141 18 3 1 0 6 7 3
22 금광옥 71 121 .157 19 4 0 2 10 10 1
28 오덕환 61 98 .173 17 4 0 0 3 5 1
6 이철성 59 98 .214 21 5 0 0 9 5 0
14 양후승 71 93 .194 18 1 0 1 5 10 2
3 조흥운 18 5 .000 0 0 0 0 0 3 0
15 이병억 18 5 .000 0 0 0 0 0 0 0
5 고광수 4 5 .000 0 0 0 0 0 0 0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4 우경하 100 309 .262 81 11 0 5 18 26 3
8 양승관 93 303 .205 62 17 0 7 26 29 3
27 김경남 81 154 .175 27 7 0 3 10 11 2
9 정구왕 91 151 .212 32 3 1 2 11 18 7
49 김영균 60 134 .246 33 6 0 5 13 16 2
7 김명성 47 69 .145 10 2 0 0 3 7 2
10 김정수 37 52 .154 8 1 0 0 4 7 1
18 이광근 23 50 .180 9 2 0 0 4 5 1
4 최광묵 23 18 .167 3 0 0 0 0 2 0

12. 수상 및 기록


13.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55><tablebg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 현대 유니콘스
관련 문서
}}} ||
{{{#!wiki style="color: #FAB93D;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기본 정보 현대그룹 삼청태현(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 현대 유니콘스 2군 | 키움 히어로즈
역사 정보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구단 역사 역대 시즌 실업 현대 연고 이전
1994년 한국시리즈 1996년 한국시리즈 1998년 한국시리즈 (V1) 2000년 한국시리즈 (V2) 2003년 한국시리즈 (V3) 2004년 한국시리즈 (V4)
역대 감독 역대 주장 역대 1차 지명 선수 사건 사고 암흑기
세부 정보 선수단 등번호 유니폼 재계 라이벌 시리즈
경기장 숭의야구장(1996~1999) 수원종합운동장 야구장(2000~2007) 춘천공설운동장 야구장 원당 야구장(제2 홈구장)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61731>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1986 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1986년
롯데 자이언츠
1986년
해태 타이거즈
1986년
OB 베어스
1986년
파일:MBC 청룡 엠블럼(1986~1989).svg 파일:청보 핀토스 엠블럼.png 파일:빙그레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KBO 리그 아이콘(1982~2012).svg
MBC 청룡
1986년
청보 핀토스
1986년
빙그레 이글스
1986년
}}}}}}}}}}}} ||





[1] 1986년 창단 첫 해 빙그레 이글스는 뒷심 부족으로 인하여 무려 29번의 1점차 패배를 당했는데, 이듬해 1987년 시즌 중반 배성서가 기자들과 말을 나누면서 "으하하하하, 올해는 1점차 패배가 많이 줄었다. 한번 세어 봐, 몇 번 안 된다구" 라면서 호탕하게 웃는 것이었다. 그러다 갑자기 표정을 구기면서 한 기자에게 귀띔하기를, "젠장, 그런데 2점차 패배가 늘었단 말이지..." [2] 이 기록의 2위 박진만과 무려 0.79나 차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