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21:16:41

지하(Rain World)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Rain World/지역
파일:rainworldtitle.png
Rain World 하위문서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



Rain World 지역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교외아이콘.png
교외
파일:산업단지아이콘.png
산업 단지
파일:배수처리시설아이콘.png
배수 처리시설
파일:굴뚝덮개아이콘.png
굴뚝 덮개

· 홈통
파일:쓰레기폐기장아이콘.png
쓰레기 폐기장
파일:그늘진성채아이콘.png
그늘진 성채

· 기억 납골당
파일:연안선아이콘.png
연안선

· 달을 향해 보라
· 절벽
파일:하늘제도아이콘.png
하늘 제도

· 통신 배열
파일:농장배열지아이콘.png
농장 배열지
파일:외부아이콘.png
외부

· 각부
· 하부
· 겉벽
파일:다섯조약돌아이콘.png
다섯 조약돌

· 불운한 발생지
· 재귀 변압 배열
· 메모리 합류점
· 종합 시스템 버스
파일:지하아이콘.png
지하

· 여과 시스템
· 심층
}}}}}}}}}
DLC Downpour 지역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파이프공장아이콘.png
파이프 공장

· 집수 터널
파일:해변시설아이콘.png
해변 시설

· 절벽
파일:바깥광야아이콘.png
바깥 광야

· 침하한 교각
· 시설 기반
· 여정의 끝
파일:대도시아이콘.png
대도시

· 가장 높은 탑 꼭대기
· 바닥
· 제12 의회 기둥, 땋은 술 가문
파일:부패아이콘.png
부패

· 담낭 도관
· 재귀 변압 배열
· 일차 피질
· 선형 시스템 레일
· 심층
파일:침수된상부구조물아이콘.png
침수된 상부구조물

· 환풍구
· 심장
· 혹한의 둥우리
· 보조 송신 배열
파일:달을향해보라아이콘.png
달을 향해 보라

· 지주
· 환풍구
· 추상 수렴 다양체
· 메모리 합류점
· 수경
· 신경 말단
파일:지하수림아이콘.png
지하 수림
파일:고요한구조아이콘.png
고요한 구조

· 서리 낀 성당
· 허울
· 다섯 조약돌
파일:루비콘아이콘.png
루비콘
}}}}}}}}}
*지역 순서는 방랑자 도전과제의 순서를 따름
**DLC 지역 순서는 캠페인 순서를 따름




1. 개요2. 상세3. 하위 구역
3.1. 여과 시스템 (Filtration System)3.2. 심층 (Depths)
4. 다른 버전5. 등장 개체6. 오브젝트7. 연결되는 지역

[clearfix]

파일:Rain World_SB.jpg

1. 개요

파일:지하지도.png
지하 (Subterranean) 맵
[ DLC Downpour 지도 펼치기·접기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black><-2> 파일:DLC지하.png ||
Downpour 지하 (Subterranean) 맵


Rain World의 지역인 지하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2. 상세

지하 깊숙히 위치한 선로와 열차들이 중간에서 끊어진 듯한 모습이 보이는 지역. 단순히 지역 구분으로 봤을 땐 레인월드의 최종 지역으로, 그만큼 짜증나는 지형들과 적들로 중무장을 하고 있다.

외부와 비슷하게 일방향 구성을 보여주는 맵으로, 엔딩을 위해서는 하위 지역인 여과 시스템 → 심층 순서로 진행해야 한다. 때문에 여과 시스템으로 들어가는 통로만 4개가 있으며, 여과 시스템 역시 어려운 난이도를 갖기에 각오 단단히 해야 한다.

엔딩을 앞든 플레이어의 멘탈을 가장 많이 흔드는 곳으로, 지형적인 측면에서 보면 어두컴컴하고 길도 좁고 험준하다. 통로를 기어가야만 다음 맵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기어가다가 도마뱀이라도 마주친다면 도망가기 쉽지 않다. 거기에 어두운 맵이라고 온갖 곳에서 튀어나오는 늑대거미들은 무리지어 다니면서 사냥하기에 자칫하면 양면으로 포위당해 죽을 수 있으며, 기껏 죽이더라도 수혈로 살려내서 쫓아오는 영악함을 보인다.

선로가 끊어진 아래는 지네로 도배된 곳으로, 호전적인 대형 지네들이 위에서 낙하한 슬러그캣에 반응해 잡으려고 달려든다. 수도승으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면 대형 지네를 처음 보게 될 텐데, 가히 시각적인 충격마저 선사하는 곳. 거기에 중간마다 돋은 살아있는 풀들과 괴물 해초들도 진행을 어렵게 하며, 특정 지역에서는 가위새들마저 등장한다. 물이 있는 맵은 도롱뇽들이 등장해 귀찮게 하고 가끔은 레비아탄까지 등장한다.[1] 군데군데 도사린 검은 도마뱀과 잠시 방심하면 등장하는 집게벌레들도 골치. 여기에 만약 평판 낮은 스캐빈저들까지 합세한다면...

다행히도 열매가 많이 열리며 DLC를 적용한다면 찐더기라는 허기 2칸짜리 먹이도 새로 추가되니 허기 걱정은 없다. 알벌레도 간혹 돌아다니고 팝콘 식물이 있는 맵도 있으며, 지네는 크기 불문하고 사냥만 성공한다면 성자를 제외한 모든 슬러그캣이 먹을 수 있으니 음식 문제는 실력으로 커버할 수 있다.

결론은 이곳에서 오래 머물러봐야 멘탈만 깎이기 때문에 다음 목적지로 빠르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엔딩을 볼 목적으로 처음 오는 유저라면 이젠 카르마 쌓을 이유가 없기에 인내심을 가지고 진행해보자.

여담으로 일러스트와 똑같은 곳이 있다.

3. 하위 구역

3.1. 여과 시스템 (Filtration System)

지도에서 빨갛게 칠해진 지역으로, 중간중간 붉은 등이 켜져있다곤 하나 기본적으로 그늘진 성채만큼이나 어두운 지역이다. 그러나 배배 꼬여있는 수준이 타 지역과의 비교를 불허하며, 구불구불한 길에 잘 보이지도 않는 맵이 시너지를 일으켜 하는 사람으로서 정말 답답하게 하는 지역이다. 신경파리를 먹지 않아 어둡다면 그 끔찍함은 배가 된다. 구분상으로는 하위지역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지역에 가까울 정도로 분위기와 환경이 다르며, 다음 지역인 심층에서는 위험 요소가 적은 만큼 이곳이 최종 스테이지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피난처는 4개.

이곳의 주적은 단연 검은 도마뱀으로, 매우 민감한 청력으로 슬러그캣의 존재를 감지하여 쫓아온다. 이것들은 동종에 대한 적대심이 적은데다, 플레이어는 어디가 어딘지 모르겠는 와중에 도마뱀들은 잘만 기어서 플레이어의 위치까지 금방 쫓아오기 때문에 압박감이 장난 아니다. 맷집이 약해서 하나 죽이는 건 별것도 아니지만, 주로 좁은 통로가 대부분인 이 맵에서 사냥 자체가 힘들뿐더러, 창과 돌 던지는 소리 듣고 온 무리에게 역으로 사냥당하기 싫다면 조용히 피해가는 게 낫다. 기어가는 소리는 감지하지 못하니 최대한 소리죽여 이동하든가, 아니면 역으로 돌을 다른 곳에 던져서 소리를 내 유인한 다음 돌아가는 것도 좋다.

먹거리도 거의 없는데, 검은 그림자로 가려져 있는 푸른 열매와 어쩌다 날아오는 박쥐들뿐이라 구분하고 찾아가는것도 고역이다. 그나마 죽고 또 죽어가며 지도를 확장시키면 진행할 수 있는 길이 점차 드러나기 시작하며, 한번 지도를 완성한 뒤부터는 그래도 난이도가 많이 내려간다. 죽는 두려움에 쫄지 말고 최대한 멀리, 자주 가서 길을 밝혀내는 것이 이 지역을 빠르게 벗어나는 해결책이다. 일단 최대 카르마를 달성하고 여과 시스템에 도달했다면 카르마 수치는 상관없기 때문에 더더욱.

가끔씩 뉴비들 중에서 교외 - 배수 처리시설 - 여과 시스템으로 스피드런 루트를 타는 사고가 나기도 하는데, 만약 그렇다면 농담 없이 새로 시작을 권고하는 바이다. 배수처리 시설에서 이곳으로 오려면 지역 깊은 곳에 있는 물이 들어찬 하수로를 잠수해가면서 왔을 텐데, 위에서 징하게 설명했듯 광원 없이는 지역을 돌아다니는 것부터가 고문이며 여기서 다른 지역으로 가려고 해도 지옥같은 지하를 거쳐가야 하기 때문에 고생했다 치고 그냥 다시 하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거기에 온 길로 다시 돌아가기에는 배수 처리시설의 구조가 너무 어렵다. 무엇보다도 아래 심층을 보면 알겠지만 준비물 없이는 엔딩을 볼 수도 없다.

DLC를 적용하면 이곳에 파이프 공장과 연결되는 통로가 생기며 그 때문에 구조가 생각보다 많이 변화한다. 자칫하면 엔딩을 목전에 두고 다른 지역으로 빠져버리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3.2. 심층 (Depths)

기나긴 슬러그캣의 여정이 드디어 끝을 보는 곳.

이 곳은 비도 오지 않고, 포식자도 없다. 그렇다고 죽을 위험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신전에서 동굴로 내려갈 때 낙사 포인트가 있으므로 무턱대고 뛰어내리지 않게 조심. 그리고 가디언에게 잘못 걸려도 죽는다.

고대인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만들어진, 불교적인 느낌이 물씬 드는 석상이 배열된 구조가 특징이다. 넓은 지형에 여러 갈래로 길이 나뉘어져 있지만 방황하다 보면 결국 한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며, 맵이 어둡지만 가끔 스포트라이트처럼 빛을 비춰주기에 발광기능 없이도 진행이 된다. 그렇게 계속해서 좌상들을 여러개 지나쳐 진행하다 보면 일렁이는 느낌과 함께 엔딩 장소를 지키는 가디언들을 만날 수 있다.

가디언을 지나가기 위해서는 카르마 최대 레벨을 ⓧ까지 올려야 한다. 다섯 조약돌이나 메아리를 만나 카르마 최대 레벨을 10까지 올려놓았다면, 처음 나오는 노란 ⓧ 마크가 그려진 방을 지날 때 화면이 황금색으로 빛나며 카르마가 ⓧ까지 올라간다. 이 상태에서 만나는 가디언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만약 카르마 최대 레벨을 끝까지 올리지 못했다면 가디언에게 마구 내동댕이쳐지며 그대로 사망. 처음 두번은 멀리 날려보내기만 해서 봐주는 듯 하나, 그 다음부턴 얄짤없이 패대기. 이러한 공격 성향은 위키에 따르면 가장 뒤에 있는 두명에게서만 보인다고 한다.

가디언에게도 여러 꼼수가 통하기 때문에 카르마 최대치가 낮아 통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어거지로 지나가는 게 가능하며, 준비물과 운이 억세게 따라줘야하기 때문에 시도해보고 싶다면 여과 시스템에서 미리 저장해두고 오도록 하자. 가디언을 넘어가는 여러 방법은 가디언 항목을 참고. 리믹스 활성화 시, 사전 설정 '리믹스'로 플레이한다면 기본적으로 이 버그들이 모두 막힌다. 단 리믹스 옵션에서 이전 버전 버그 옵션을 활성화하면 가능하며, 사전 설정 '클래식'으로 플레이할 경우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가디언을 지나 동굴로 들어가면 화면이 황금빛으로 일렁이기 시작하며, 단방향 진행이라 길만 따라서 쭉 가면 된다. 슬러그캣조차 보이지 않을 만큼 일렁이는 동굴의 끝에는 검고 노란 바다가 있으며, 이 바다에 잠수한 뒤 아래로 계속해서 헤엄치면 대망의 엔딩을 볼 수 있다.

4. 다른 버전

캠페인마다 지형이 크게 변화하거나 하진 않으나 하드모드로 분류되는 캠페인의 경우, 집게벌레의 스폰율이 더 올라가고 스피터 거미, 빨간 지네가 출현하는 등 안 그래도 지옥 같은 난이도가 더 어려워진다.

성자 캠페인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변경점이 있다.

[ 성자 스포일러 펼치기·접기 ]
지하는 '원시 지하', 여과 시설은 '고대 미궁'으로 변경되었다. 구조상 큰 차이점은 없지만, 고대 미궁의 경우 주기적으로 심층처럼 노란색 빛이 반짝거리며 주변을 밝혀준다. 신경파리를 먹기 어려워진 성자를 위한 배려인 듯하나, 어차피 성자는 보온을 위해 기본적으로 등불을 들고 다니니 시야 때문에 진행이 막힐 일은 없을 것이다.

성자 캠페인에는 심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최대 카르마를 달성한 상태에서, 고대 미궁(여과 시설)에서 기존의 심층 입구로 진입하면 심층 대신 루비콘이라는 성자 전용 엔딩 지역으로 갈 수 있다.

5. 등장 개체


DLC 적용 시

6. 오브젝트

7. 연결되는 지역


DLC 적용 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여기 있는 레비아탄은 특이하게도 하얀색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심해 생물을 모티브로 한 듯. [2] 대식가로 다섯 조약돌을 방문하면 대식가, 생존자, 수도승에 한해 진행 가능하게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