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0 11:17:02

제1군단(미국)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단(미국) 엠블럼.svg 파일:III Corps.png 파일:V Corps.png 파일:제18공수군단 엠블럼.svg
제1군단 제3기갑군단 제5군단 제18공수군단 }}}}}}}}}
<colbgcolor=#fff> 제1군단
I Corps
파일:제1군단(미국)기.svg 파일:제1군단(미국) 엠블럼.svg
깃발 엠블럼
창설일 1917년
소속 미합중국 육군전력사령부
미합중국 태평양육군
군단장 자비에 브런슨 중장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이라크 전쟁
위치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
일본 가나가와 캠프 자마
웹사이트 파일:제1군단(미국) 엠블럼.svg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육군전력사령부 행정 통제를 받고, 미합중국 태평양육군 작전 통제를 받는 군단급 부대로서, 본부대는 워싱턴에 위치한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이며, 전방 지휘소는 일본 가나가와현에 위치한 캠프 자마[1]이다. 부대 별칭은 'America's Corps'이다.

2. 역사

1917년 4월 6일, 미국 원정군 예하 군단으로 처음 조직되었다. 제2차 마른 전투 생 미이엘 공세, 뫼즈-아르곤 공세에 참여하여 활약했으며, 1919년 3월 25일에 비활성화되었다.

1921년 7월 29일에 예비군 산하로 활성화되었으나, 1927년 8월 15일에 다시 비활성화되었으며, 같은 날에 제20군단이 정규군으로 편성된 후, 같은 해 10월 13일에 제20군단이 제1군단으로 재조직되었다. 그러나 제1군단은 평시에 활동하지 않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인 1940년 11월 1일에 활성화되었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제1군단은 호주에 배치되었으며, 뉴기니 전역과 필리핀 탈환전에 참전했다. 일본의 항복 이후 점령군 임무에 종사하다 1950년 3월 28일에 비활성화되었다.

그러나 3개월 뒤에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같은 해 8월 2일에 포트 브래그에서 활성화되었다. 이후 제1군단은 제9군단, 제10군단과 함께 제8군 예하에 배속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게 된다.

1953년 휴전 이후, 제1군단은 한국에 주둔해 한국군과 함께 비무장지대 경계 임무를 수행했지만, 리처드 닉슨의 데탕트 정책에 따라 제7보병사단이 철수하면서 한국에는 제2보병사단만 남게 된다.

1981년에 워싱턴의 포트 루이스로 이동한 제1군단은 걸프 전쟁 당시 일부 부대를 파견했다. 이 기간 동안 제1군단은 제18공수군단의 신속배치 임무를 대신 맡았고, 이후에도 태평양 방면에서의 신속배치 임무를 맡게 된다.

테러와의 전쟁이 시작되자 제1군단 역시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에 파병되었지만,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제1군단은 환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임무에 종사하도록 재편되었다.

2022년 6월 6일 부로 알래스카 육군이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되었다. 알래스카에서 복무하는 군인들이 정신 건강 위기를 겪는 상황에서, 자긍심을 올리고 새로운 정체성으로 통합하기 위한 사단 재창설이다. #[2] 이에 따르면 제25보병사단의 1여단전투단이 11공수사단의 1여단전투단으로 전환됨과 함께 스트라이커여단전투단에서 북극에서의 기동에 적합한 ATV 등을 편제받은 보병여단전투단으로 전환될 것이고, 제25보병사단의 4여단전투단은 11공수사단의 2여단전투단으로 전환되면서 공수 능력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한다. 또한 2023년도부터 사단의 지속여단과 전투항공여단을 편성하기 시작한다고 한다.

==# 편제 #==
===# 냉전 #===

[1] 일본육군사관학교 자리 [2] 그렇지만 시기가 굉장히 미묘한 것이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진 뒤라는 점에서 11공수사단이 제대로 자리를 잡고 나면 베링 해협부터 캄차카 반도, 블라디보스토크에 이르는 동시베리아 지역에 전개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신냉전에 맞춘 미국의 세계전략 중 한 갈래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