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쉬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함수에 대한 내용은
해시 문서, 기타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해시(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HEP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에너지 물리학(High-Energy Physics)에 대한 내용은
입자물리학 문서 참고하십시오.전차포용 105mm M393A3 플라스틱 고폭탄 |
HESH(High Explosive Squash Head) HEP(High Explosive, Plastic) |
1. 개요
HESH는 영국군 및 영연방군과 이스라엘군이 쓰는 이름이고, 미군 및 미군의 영향을 크게 받은 군대(한국 포함)들은 플라스틱 고폭탄(High-Explosive, Plastic 약자로 HEP)이라고 부른다. 점착 고폭탄, 고폭 플라스틱탄, 플라스틱 연약탄 이라고도 한다.
2. 특징
점착유탄의 탄착과 폭발 |
시뮬레이션 |
화포에서 발사되는 것은 일반적인 다른 포탄들과 동일하지만, 점착유탄의 피모는 보통 고폭탄을 포함한 다른 탄들과 달리 깨지기 쉽도록 얇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탄두 내부에는 비활성 물질이 충전되어 있어서 탄이 장갑에 부딪혔을 때 충격을 완화하여 즉각적인 폭발을 막는다.[1] 그리고 가장 중요한 폭발을 위한 둔감 가소성 폭약이 비활성 물질과 함께 채워져있으며, 폭약 뒤에는 지연 신관이 설치된다.
비활성 물질과 둔감 작약은 착탄시 찌그러지고 넓게 퍼져서 표적에 점토처럼 들러붙는다. 이후 탄 후부에 있는 지연 신관이 작동해서 퍼진 작약을 폭발시킨다. 작약이 표면에 붙은 채로 폭발하기 때문에 폭발로 인한 충격파가 넓은 면적을 통해 장갑으로 전달 되다가 반대편 면에서 나온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팽창과 수축 때문에 탄착면의 반대면이 깨지면서 막대한 수의 파편이 빠른 속도로 표적물의 내부를 향해 쏟아지게 된다.
점착유탄이 폭발한 후의 장갑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amage_caused_by_HESH_fort_nelson.jpg | |
깨진 장갑의 뒷면 |
결과적으로 표면에 찌그러지면서 탄두와 작약이 들러붙기 때문에 장갑 관통효과는 거의 없다. 점착유탄의 성능을 나타낼때 관통력 몇 mm 같은 표기법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탄두가 장갑을 물리적으로 뚫어내는 능력이 아니라 폭발 충격파로 장갑을 부숴서 무력화하는 능력을 장갑 두께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탄의 진짜 목적은 폭발 충격파로 표적의 후면이나 내부에 파편을 발생시켜서 내부 인명이나 장비를 공격하는 것에 있다. 위 사진의 장갑재처럼 HESH탄의 탄두가 탄착한 장갑의 피탄 부위에는 육안으로 보이는 손상이 거의 없으나, 피탄 부위 뒷면(장갑 안쪽)은 폭발 충격파로 인해 장갑재가 움푹 들어가고 깨져버린 상황이다.
표적에 달라붙어서 터지는 HESH의 작동 메커니즘 덕분에 운동 에너지탄보다 경사장갑에 좀 더 강한 모습을 보여주며, HESH를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85도 이상의 경사가 필요하다고 한다. 다만 기본적으로 무른 포탄이라 관통력이 낮은 편인데다가 37mm 포와 160mm 포의 관통력 차이가 40mm 밖에 안 될 정도로 관통력 확장이 쉽지 않다.
하지만 HESH 자체가 관통을 노리고 쓰는 탄종이 아니더라도 관통이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라서 장갑이 없거나 얇은 표적들은 관통할 수도 있다. 만약에 살짝이라도 관통이 될 경우 위의 사진과 같이 장갑재가 붕괴되며 내부에 지옥도가 펼쳐지게 된다. 홈이라도 파이면서 폭약이 그 안에 채워지면, 폭발력이 장갑재에 집중되면서 내부에 막대한 파편들이 쏟아지기 때문이다.
탄이 들러붙어서 터지는 특징이 보통 고폭탄과 점착유탄의 결정적인 차이점이다. 보통 고폭탄은 폭발과 자체 파편 생성으로 주변에 광역 피해를 입히는걸 상정한 탄종으로 기본적으로 장갑이나 콘크리트를 직접 관통하는걸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점착유탄도 직접 관통은 어렵고 폭발로 공격한다는 것은 동일하지만, 정확히는 폭발시 충격파를 활용하여 콘크리트나 장갑을 파쇄하는 목적을 가진 탄이라 대전차/대물 용도로도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때문에 일반 고폭탄은 탄체가 비교적 단단한 금속 피모로 싸인 것과 달리 점착유탄은 비교적 쉽게 변형되는 무른 피모를 가지며 자체 파편 발생량도 일반 고폭탄보다 적거나 없는 수준이다.
영국 육군이 별나게 좋아하는 탄종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처칠 AVRE를 운용하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시 해당 탄종으로 많은 이득을 보았고, 냉전 초기에 개발된 로열 오드넌스 L7 전차포의 주력 탄종 중 하나로도 사용되었다. 1980년대에 개발된 챌린저 1에도 치프틴 전차에 사용되던 로열 오드넌스 L11 120mm 강선포를 사용한 이유도 이 탄을 계속 활용하려는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실상은 당시 막 나온 라인메탈 120mm 활강포와 로열 오드넌스 L11 120mm 강선포의 화력이 거의 동등해서 영국 육군이 전차포의 교체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고 그런 이유로 기존 포탄을 재활용하는 등 비용을 절약하려는 의도였기 때문이다. 다만 여전히 HESH를 쓰면 1, 2세대 MBT와 보병, 건축물, 경장갑 차량들을 상대로는 살상력이 우세에 있기 때문에 영국군에서 21세기에도 전차포에 계속 HESH를 사용한다고 한다.
독일의 레오파르트 1은 초기에는 APDS와 HESH가 주력이었으나 1980년대 이후 APFSDS-T와 HEAT로 교체되었다.
105mm KM68A1 강선포[2]를 장착한 대한민국 국군의 M48A5K 전차와 K-1 전차, K1E1도 HESH-T 탄종을 사용한다고 한다.[3] 북한군이 구축해놓은 요새화 진지와 T-55, 천마호, PT-76 등 북한군의 구식 기갑 차량 등을 격파하는데 쓰이는 용도로 보인다.
종 효과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 사실 종 효과랍시고 떠드는 내용의 상당수가 이 점착유탄과 HEAT탄에 의해서 발생되는 효과가 와전된 것이다.
3. 장점과 단점
원래 벙커나 콘크리트 등의 표적을 파괴하기 위해 만들어진 탄인 만큼 강철문이나 콘크리트 벽을 상대로 보병들이 건물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구도 1-2발안에 확실하게 뚫어낼 수 있다. 그래서 미군과 독일군 역시 영국제 L7의 라이센스 생산품인 M68, L7A3를 사용하는 동안 화력 투사용으로 이 탄종을 꽤 많이 운용했다. 현재는 미국의 스트라이커 장갑차의 화력지원차량인 MGS가 M68A1E4 주포를 달고 이 탄약을 주력 탄종 중 하나로 운용하는데, 이는 시가전에서 활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다만 105mm용 전차포탄은 해당 전차포가 2선급 무기가 된 이후 미국에서는 개량이 별로 진행된 상태가 아닌지라 정확하게 명중했지만 포탄이 표적에 착 달라붙지 않고 튕기면서 엉뚱한 곳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의외로 많았다고 한다. 또한 MATADOR 대전차 로켓의 다목적 탄두에서 대구조물 모드로 발사할 시 점착유탄 형태로 폭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벽돌 벽에 큰 구멍을 뚫을 수 있어서 이스라엘군이 가자 지구 시가전에서 사용했다고도 한다.다만 특성상 자체적인 파편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노출되어 있거나 참호 정도에 엎드려 있는 보병 상대로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런 표적에게는 고폭파편탄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벙커나 콘크리트 이외에도 단일 구조의 주조장갑이나 균질압연장갑으로 제작된 1세대 전차들에게도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기본적으로 화학 에너지탄이기 때문에 철갑탄같은 일반적인 운동 에너지탄에서 일어나는 거리에 따른 위력저하가 거의 없고 높은 탄속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장포신의 고속 전차포/ 대전차포뿐만 아니라 저압포나 곡사포[4]에서도 효과적으로 발사 가능하며 대전차로켓이나 대전차미사일의 탄두로도 사용할 수 있다.[5]
2세대 전차부터는 장갑의 내면에 발라놓은 파편 방지용 라이너 때문에 1세대 전차만큼 파편이 확산되지는 않았으나 여전히 위력적이었으며, 관통력은 높지만 파편 발생량은 적은 대전차고폭탄(성형작약탄)에 비해 적을 확실히 무력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 시기 HEAT는 내부살상율이 10~30% 정도밖에 안 되어 여러 발 맞추는 것이 요구되었었다.
또다른 장점은 강선포에서 쓸 수 있다는 것. 강선으로 탄에 회전을 주어 탄도를 안정시키는 강선포에서 HEAT를 쏘면 원심력으로 관통자가 확산되어 관통력이 급락하는데, HESH는 그럴 걱정이 없다. 오히려 활강포용 HESH는 후방에 안정익을 붙이는 등의 처리가 필요해 그 길이만큼 작약이 줄어들고 장거리 사격시 측풍에 약한 등의 이유로 명중율이 낮아진다. #
많은 3세대 전차부터는 복합장갑과 반응장갑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승무원 무력화에 의한 격파판정은 낼 수없는 탄종이 되었다. 요즘 전차에 파편방지 라이너야 기본으로 들어가고, 하다못해 텅빈 공간장갑이라도 있으면 충격파가 내부로 잘 전달되지 않으므로 오히려 이 경우에는 관통에 특화된 HEAT 쪽의 파괴력이 더 좋다. HEAT의 메탈제트 관통자도 복합장갑이나 파편 방지대(스폴라이너), 폭발 반응 장갑(ERA) 등에는 원래의 위력을 내지 못하지만 일단 뚫고 들어가 관통자에 사람이 맞으면 다치긴 하고 주요 장비를 파괴할 가능성도 있으니 HESH보다는 낫다.
반면에 점점 복잡해져가는 전차의 외부구조물과 장비, 즉 조준기, 연막탄 발사기, 반응장갑, 슬랫아머, 대전차미사일 요격장비, 각종 센서 등에 대해서는 HEAT보다 많은 부분을 손상시킬 수 있다.[6] 본질적으로 HEAT는 120mm 쯤 되어도 깔대기형 라이너 구조 때문에 작약이 1kg 미만 들어가는 반면 통짜 플라스틱 폭약 덩어리인 120mm HESH는 작약량이 3kg 급이기 때문. 최신형 전차에 있어서는 화학에너지탄 방어력이 보다 높아 최신형 날탄이 아니고서는 격파하기 어려운데, 비교적 로우레벨의 전차로 적 하이급 전차의 조준장치나 안정장치 같은 장비를 파괴하면 전투력이 급락할 뿐더러 적 입장에서도 반 망가진 전차 가지고 방어군 최신형 전차나 대전차미사일과 만나면 곤란하니 퇴각도 기대할 수 있다.
요약하면 저렴하고, 장거리에서도 위력이 유지되고, 2세대 전차 미만의 모든 지상표적에 효과적인데, 3세대 이상 전차도 전투불능으로 만들순 있다. 한편 한국군이 마주칠만한 북한군의 2세대 전차는 그냥 통상탄으로 격파하는게 더 편하기 때문에 한국군 내에서는 생소한 탄종.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있어 23년에는 상당한 전차전이 발생하였으며 개중 2세대 전차인 레오파드 1로 발사한 HESH가 러시아의 신형 전차에 의외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격파는 무리지만 한 발, 많아도 세 발만 제대로 맞추면 전의도 낮고 훈련도 부족한 러시아 전차병들이 전차를 버리고 도망쳐 버린다고. 레오파드 1이 처음 100대가 제공되었을 때는 사람들이 21세기에 60년대 레오파드 1이 뭐냐고 경악했었지만 가벼운 만큼 기동성도 좋고, 장전수가 숙련되면 재장전 속도도 자동장전장치보다 빠르고, 무엇보다 최대 5km까지의 목표도 맞출 수 있어서 구축전차 용도로 잘 쓰고 있다는데, 미국제 신형 M393A3 HESH탄이 공기역학적으로 정밀가공되어 우크라이나의 구형 고폭탄과 달리 원거리에서도 탄도가 안정되어 있는 덕택도 크다고 한다.
또한 보병전투차에 있어서도, HEAT로는 명중 위치에 탑승한 한두 명만 살상당하고 말지만 HESH를 쓰면 차체 내부에 대량의 파편이 발생해 다수의 전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기계화보병은 대충 징집해 온 일반병과 달리 전차와의 합동작전을 훈련받은 중요도 높은 전력일 가능성이 크다.
4. 미디어
월드 오브 탱크에서 영국 트리 고티어 전차들이 쓸 수 있는 고폭탄 종류로 등장한다. 다만 파편 비산 효과 같은 것이 게임 시스템상 구현되어 있지 않아서 그냥 관통력이 엄청나게 높은 고폭탄 정도로 구현되었다. 비록 실제 원리와는 동떨어져있기는 하지만 막강한 관통과 피해량을 가지기 때문에 경장갑 전차들에게는 충격과 공포를 선사할 수 있다고, 중형전차나 중전차라도 정면보다 얇은 측후면 장갑이나 약점 부위를 맞히면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게 가능하다. 단점은 공간장갑에 맞으면 대미지가 안 들어간다는 것. 블리츠의 경우 고폭탄 판정이라 공간장갑에 맞아도 방사 피해가 들어가지만 대미지가 1/4 이하로 폭락한다.영국 트리의 센추리온 Mk.7/1, 채리어티어[7]의 105mm 주포용 기본탄 및 프리미엄 탄으로 등장하며, 구축전차인 FV215b/183, FV4005의 특수탄으로 183mm HESH가 등장하고, 중형 트리 10티어 전차인 센추리온 액션 X의 기본탄으로 등장한다. 중형전차와 채리오티어는 그렇다쳐도 FV215b/183과 FV4005의 구경 183mm HESH는 관통력이 230mm대까지[8] 나오면서 다른 고폭탄과 달리 어딜 맞혀도 적지 않은 피해를 주기 때문에 충공깽을 시선하기도 한다. 물론 비관통탄에 맞은 경우에는 맞은 사람과 쏜 사람 모두 고함을 지르고 싶을 것이다[9] 탄값은 일반탄(철갑탄)에 비하면 크레딧 비례 효율이 정말 개똥망[10]이라서 도탄나거나 탄빠지면 키보드를 내려치고 싶어진다. 물론 특수탄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지만.
아머드 워페어에서는 HESH와 HEP 2가지 이름으로 사용되며 탄의 성능은 일반 고폭탄보다 데미지는 약하지만 부품이나 승무원에게 주는 피해 정도는 훨씬 더 강력한 구조로 구현되어있다. 관통될 경우 탄착 부위 주변의 부품들과 승무원들이 한 번에 갈려나간다.
워 썬더 영국 5티어의 상징과도 같은 포탄이다. 1.51 패치에서 2세대 전차[11]이 등장하면서 고폭탄 용도로 구현되었다. 장갑이 있는 목표물에 쏠 경우 피해를 못 주는 고폭탄과는 다르게 탄착점을 중심으로 파편이 비산된다. 장갑에 들러붙어 폭발한다는 것을 구현했는지 장갑 경사도를 무시한다는 점이 있고, 이 덕분에 경사장갑을 상대로 의외로 효과가 좋다. 다만 105mm 탄 기준으로 160mm 이상의 두께의 장갑에는 효과가 없으며 파편 생성량은 일단 달라붙어서 폭발해 데미지가 들어가면 T-54따위의 전차는 한방에보내버릴만큼 강력하다. 그리고 1.67패치로 관통력 285mm짜리 HESH를 사용하는 FV4005가 나왔다.
모던 컴뱃 5에선 중화기병의 6티어 유탄발사기로 나온다. 이름은
플래닛사이드 2에서 전차들의 주포 중 하나로 등장한다. 실제와는 다르게 대보병용 주포. 원래는 HE였는데 HEAT랑 헷갈릴까봐 바꿨다고...
강철의 왈츠에서도 등장한다.
기동전사 Z건담의 등장세력 에우고가 운용하는 모빌슈트 중 릭 디아스나 백식등 몇몇 기종이 사용하는 무장 클레이 바주카는 점착유탄을 주로 사용하는 바주카라는 설정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주로 사용한다는거지 다른 탄종 역시 사용 가능하다
[1]
또한 필요한 압력과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2]
로열 오드넌스 L7의 미국 개량형이자 라이센스 생산형인
M68 강선포를 한국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물건이다.
[3]
부대마다 다르지만 없는 곳이 더 많다. 교범상에만 이런 포탄이 있다 하는 정도이다.
[4]
영국제
QF 95mm 곡사포나
FV433 애봇 자주곡사포 등에서 사용한다.
[5]
대표적으로
말카라 대전차 미사일이 있다.
[6]
1950년대에 영국군이
FV214 컨커러에 공간장갑 스크린을 달고 실험했을때도 성형작약탄이 들어간 대전차 미사일을 상대로는 5번 모두 방어에 성공했지만 점착유탄 미사일을 상대로는 한 방에 전투 불능 판정을 받았다.
[7]
둘 다 105mm 주포를 사용할 때 한정. 채리오티어의 105mm 주포는 센추리온 Mk.7/1과 FV4202가 쓰는 그것의 구축전차 사양이다.
[8]
원래는 270이었으나 9.2를 통해 관통력이 하향되었다.
[9]
한 발당 일반탄의 4배 가까이 하는데 프리미엄 계정이 아니라면 HESH탄은 전탄 쏴서 전탄 맞춰야지 겨우 적자를 면할 수 있다. 근데 그러고 전차가 완파되면 수리비가... 그나마 프리미엄 탄 가격과 고폭탄 성능이 하향되고 나서는 예전보다 좀 덜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무시하기는 어렵다. 참고로 월탱에서 나오는 105mm L7 주포는 일반 고폭탄도 HESH다. 9.3 이후 추가된 독일의 Ru 251과 미국의 T49 정찰전차의 90mm 주포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고관통(이래봐야 102mm급) 고폭탄을 사용한다. 둘 다 기본 탄종.
[10]
105mm 주포는 철갑탄 1,200 크레딧, HESH탄이 5,200 크레딧이지만 183mm 주포는 철갑탄이 2,250 크레딧이고 HESH탄이 8,000이다. 뭐 골탄이라서 그런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크레딧으로 사기 때문에...
[11]
레오파르트 1,
M60 전차 그리고 이후 패치로 추가된
센추리온 전차와
치프틴 전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