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2 12:49:26

전우(학자)

파일:간재 전우.jpg
<colbgcolor=#f5f5f5,#2d2f34> 성명 전우(田愚)
초명 전경륜(田慶倫)·전경길(田慶佶)
자명(子明)
간재(艮齋), 추담(秋潭), 구산(臼山)
본관 담양 전씨[1]
출생 1841년( 헌종 7) 8월 13일
조선 전라도 전주부 부서면 4계, 통칭 청석동
(현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다가동1가) #
사망 1922년 7월 4일 (향년 80세)
일본 제국령 조선 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계화리 계화도

1. 개요2. 상세3.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최후의 거유(巨儒)라 불린 성리학자다.

2. 상세

1841년(헌종 7) 8월 13일 전라도 전주부 패서문 밖 청석동(현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다가동1가)에서 아버지 전재성(田在聖)과 어머니 남원 양씨 양성하(梁星河)의 딸 사이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20세에 퇴계집을 보고 크게 깨우쳤다고 한다. 21세에 임헌회(任憲晦)를 소개받아 제자가 되었다. 임헌회는 기호학파 낙론계의 거두였고 전우는 이러한 스승의 성향을 많이 물려받아 이이, 송시열을 숭상하게 된다. 42세에 영의정 홍순목이 천거하여 선공감 가감역과 감역에, 이후에는 전설사 별제와 강원도 도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했다.

이후 상주, 문경, 진천 등지를 옮겨 다니면서 학문을 닦고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54세에는 사헌부 장령을 제수 받았지만 이 또한 거절했다. 다음해에 개화파였던 박영효가 수구학자의 우두머리로 지목하여 개화에 방해가 된다며 전우를 죽이라고 간언했지만, 고종은 이를 거절하며 되려 전우를 순흥 부사, 중추원 찬의에 임명하였다. 전우는 이도 역시 거절하였다.

1895년 단발령이 떨어지자 격하게 반대하며 문인들에게 동참하지 말 것을 호소하였다. 1905년 전우의 나이 65세에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청참오적이라는 제목으로 을사오적을 처형하고 조약을 파기할 것을 상소하였다. 68세에 나라가 어지러움을 보고 부안 앞바다에 있는 왕등도로 들어갔으며 70세가 된 1910년에 결국 경술국치가 일어났다.

72세에 계화도로 거처를 옮겨 계속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제자는 3천명이 넘었다. 전우는 이 제자들 중, 후에 개화를 따르거나 단발을 하는 제자가 있으면 문인록에서 삭제하였다. 1919년, 고종황제가 사망하자 전우는 이 날부터 상복을 입고 3년상을 치렀다.[2] 3.1 운동에는 다른 유림 강경파들과 같이 불참하였다. 이후 1922년 7월 4일 사망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기산리 소재 선영에 묻혔는데, 그의 영구를 따른 사람이 2천여 명이었다고 한다.

3. 여담


[1] 야은파 23세 경(慶) 항렬. [2] 항목 상단의 초상은 이 때의 모습을 남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