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2:30:45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1호선에서 넘어옴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仁川 都市鐵道 1號線
Incheon Metro Line 1
}}}
파일:인천 1호선 1차분 신도색.jpg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노선도[1]
[ 펼치기 · 접기 ]
파일:인천 도시철도 1호선 노선도.svg
노선 정보
노선 분류 도시철도
차량 분류 중형 중전철
기점 계양역
종점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역 수 30개
구성 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상징색
연청색 (#759CCE)
개통일 1999년 10월 6일([age(1999-10-06)]주년)
소유자 인천광역시
운영사 인천교통공사
사용차량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귤현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30.3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복선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Siemens LZB700M ATP/ ATO
최고속도 80km/h
표정속도 32.5km/h
지상구간 계양 귤현
통행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1999. 10. 06. 박촌 동막
1999. 12. 07. 귤현 박촌
2007. 03. 16. 계양 귤현
2009. 06. 01. 동막 국제업무지구
2020. 12. 12. 국제업무지구 송도달빛축제공원
개통 예정 2025. 06. 계양 검단호수공원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
3.1. 개통 연혁3.2. 계획3.3. 착공과 개통3.4. 송도국제도시 연장
4. 운행 계통5. 운행 차량6. 운행 환경
6.1. 안내방송6.2. 구간별 혼잡도6.3. 다른 노선과의 연계
7. 소재지8. 환승역9. 연장 계획
9.1. 검단 연장선 (2025년 6월 개통)
9.1.1. 역 목록9.1.2. 추진 역사
9.2. 김포한강신도시 연장 (구상)9.3. 남부 연장
10. 역 목록11. 역별 승하차 통계12. 전구간 주행영상13. 기타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역에서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운행되는 인천 도시철도 노선.

1899년 경인선 이래 딱 1세기만에 갖게 된 첫 인천 도시철도 노선이다. 노선색은 연청색이다.[2]

파일:인천지하철1호선.jpg

2. 건설 목적

3. 역사

파일:external/www.ictr.or.kr/%EC%A0%84%EB%8F%99%EC%B0%A8%EB%AA%A8%EC%8A%B56.jpg 파일:inconnnne1.jpg
1999년 10월 6일 인천터미널역에서 진행된 1차 구간 개통식(박촌 - 동막)
파일:1244421932-006907900.jpg
2009년 6월 1일에 진행된 송도국제도시 구간 연장 개통식.

3.1. 개통 연혁

3.2. 계획

인천의 첫 지하철 계획은 1990년 8월에 등장했다. 이 당시의 노선은 당시 협궤였던 수인선을 표준궤 복선전철화해 남부역에서 안산선 안산역을 잇는 노선으로 계획됐다.[5] 仁川 電鐵案 확정(동아일보) 이 계획이 11월에 수정되어 1호선은 인천역에서 수인선을 따라 소래역까지 간 후 인천대공원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2호선은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해 계산동과 부평구, 동암역, 연수지구를 지나 송도해상신도시에서 다시 북쪽으로 틀어 미추홀구 일대와 동인천역, 서구 석남동을 지나 가정동에서 끝나는 노선이었다. 仁川전철 69㎞구간 확정(매일경제)

1991년에 타당성조사를 거쳐 인천직할시는 3개의 노선을 확정지었으며, 이 계획에서 현재의 1호선이 거의 확정됐다. 仁川 지하철3개路線 건설(경향신문) 당시에는 종점인 상야동에서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연결하는 것도 고려했으나[6] 이 부분은 사업비 과다와 시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백지화되고[7] 대신 북부 종점에서 당시 계획중이던 신공항철도와 환승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仁川도시電鐵 1호선 路線 최종확정(매일경제) 계획 당시에는 무인 경전철도 고려했으나 비용 부담이 크고 지역 여건에 맞지 않아 일반적인 지하철을 도입하되, 대신 서울보다 작은 부산 지하철의 규격을 준용하기로 했다. 그리고 당시 주변에 아무것도 없던 신공항철도와의 환승역[8]과, 아직 매립도 하지 않은 상태였던 송도신도시 구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두지 않은 채 나머지 귤현 - 동막 구간이 1993년에 착공됐다.

3.3. 착공과 개통

1993년에 공사를 시작한 인천 지하철 1호선은 1997년에 완공 예정이었으나 공사에 따른 민원이나 토지보상 지연 등으로 인해 1999년 10월에 박촌역에서 동막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됐고, 12월에 귤현역에서 박촌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됐다. 사업비는 총 1조 6,900억 원이 들었다.

2002년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공사가 시작됨에 따라 공항철도와의 연결을 위해 614억 원을 들여 계양역 - 귤현역 구간을 착공했으며, 이 구간은 공항철도 개통 1주일 전인 2007년 3월 16일에 개통됐다.

3.4. 송도국제도시 연장

IMF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지지부진하던 송도국제도시 사업이 진척되면서 2003년에 인천 1호선의 송도국제도시 연장 사업이 시작됐다.

2003년 1월부터 추진되어 온 송도연장선 건설사업은 노선 선정에 있어 송도국제도시를 V자로 가로지르는 1안, W자로 통과하는 2안의 총 2가지의 안이 고려됐다.[9] 1안은 현재 노선처럼 캠퍼스타운과 지식정보단지를 거쳐 국제업무지구에 이르는 경로이고 2안은 1안에서 지식정보단지 대신 송도컨벤시아를 거치는 경로이다.

1안은 도로를 활용한 계획으로 접근성이 양호, 2안은 공원 및 녹지를 활용하여 접근성이 불량하여 최종적으로 1안이 선정됐다. 또한 지상/지하 건설 여부도 논의됐는데 시점부의 일부(1,600m)를 지하로 하고, 나머지 구간을 고가로 건설하는 안, 전 구간 지하로 건설하는 안이었다. 고가+지하 안으로 건설할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는 것을 감안하여 이에 따라 전구간 지하로 건설됐다.

[문제점]
1. 고가구조물의 도시 미관 저해 문제
2. 열차운행에 따른 진동, 소음공해가 유발되어 민원 발생 우려
3. 인접 건물의 시야를 가림
4. 교각의 지상 입지로 인하여 향후 갖가지 제약이 발생할 여지가 있으며, 혼합건설의 경우 급구배 구간 등이 필요하여 종단선형이 좋지 않은 점.[10]

송도국제도시 구간은 기존 구간(계양-동막)과는 달리 여러가지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 과업구간은 매립지반인 만큼 수명이 100년 이상 확보된 내염해성 시멘트를 사용했으며, 연약지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쉬트파일공법을 채택했다. 또한 건축분야에서도 탁월한 양상을 보였는데, 송도국제도시 그 이름의 위상에 걸맞게 각 정차역마다 주변 환경을 반영하여 역별 각기 다른 테마를 적용하여 역사의 품격을 높였다.

- 정거장별 테마
송도1역(캠퍼스타운): 송도국제도시의 "관문" 이미지 표현
송도2역(테크노파크): 송도국제도시의 부가가치성을 표방하는 "테크놀로지" 이미지 표현
송도3역(지식정보단지): 지식정보산업에 맞추어 "하이테크" 이미지 표현
송도4역(인천대입구): 세계와 연결되는 통로, 국제컨벤션센터 "고리" 이미지 표현
송도5역(센트럴파크): 조명을 활용한 "빛의 정원" 이미지 표현
송도6역(국제업무지구): 인천광역시가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항구임을 의미하는 "항해" 이미지 표현

2009년 5월 시운전을 시행했으며, 2009년 6월 1일 개통식을 하고 영업에 돌입했다. 총 공사비는 6,086억 원이다.

송도국제도시 2차 연장구간( 국제업무지구역 ~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은 송도랜드마크시티 계획에 따라 국제업무지구역에서 끝난 인천 1호선을 랜드마크시티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2016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2020년 10월에 시운전을 시행하고 2020년 12월 12일에 개통됐다. 공사비는 총 1,782억 원이다.

4. 운행 계통

5. 운행 차량

6. 운행 환경

6.1. 안내방송

<colbgcolor=#759cce><colcolor=white> 한국어 조예신
영어 낸시 킴
중국어 연홍
일본어 도이 미호
환승 BGM 인천교통공사 로고송
종착 BGM 휴식[11]
인천교통공사 로고송[12]

안내방송의 경우, 개통 초기에는 한국어 김수희, 영어는 유미나 성우가 맡았다가 2002년에 한국어 이윤정[13]으로, 영어는 리사 켈리로 변경됐다. [14] 환승역 시그널은 당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사용하던 안토니오 비발디의 합주 협주곡 '조화의 영감'을 썼다가 헨델의 하프 협주곡 "하프 협주곡 B플렛 장조 1악장"으로 중간에 변경됐으며, 종착역 시그널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디베르티멘토 17번 3악장' 클래식 곡이었다가 계양역이 개통되면서 편곡한 버전으로 바뀌었다. 이때 영어 성우가 낸시 김으로 바뀌면서 내리는 문 안내가 추가됐다. 2009년 송도국제도시 연장개통 이후로 한국어 성우가 조예신으로 변경됐고 이듬해인 2010년에 배경음악이 국립국악원 생활국악 시리즈의 벨소리 '소풍 가는 길'이 환승역 시그널로, 같은 시리즈의 벨소리 '휴식'이 종착역 시그널로 변경됐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개통되어 부평구청역이 환승역이 되면서 인천교통공사 로고송[15]이 '소풍 가는 길'을 대신하여 환승역 안내방송 배경음악이 됐다. 어떤 의도였는지는 몰라도 원래 '휴식'이 흘러나오던 계양역의 안내방송 시그널 또한 환승역이라는 이유로 로고송으로 변경됐다. 중국어와 일본어로도 환승노선 안내방송을 한다.

영어 안내방송 성우인 낸시 김의 영어 발음이 유성음 무성음의 구분이 강한 편으로, 한국어 원어민의 역명 발화를 외국인이 듣는 입장과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분하지 않는 한국어 화자 입장에서는 다소 거센소리 발음으로 들리게 됐다. 대게 'ㄱ' 발음이 'ㅋ' 이 되거나 'ㄷ' 발음이 'ㅌ' 이 되고 'ㅂ' 발음이 'ㅍ'이 되며, 'ㅈ' 발음은 'ㅊ' 이 된다. 대표적인 예로 박촌역팤촌으로 들리고, 동수역 통수로 들리며, 간석오거리역칸속오고리로 들리고, 작전역착춴으로, 갈산역칼산으로 들린다. 그러면 혹시 당시 로마자 표기가 ' Tongsu Station'이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들겠지만 낸시 김이 영어 안내방송을 맡은 것은 2007년부터이다. 동수역 개통은 1999년. 게다가 2007년이면 이미 로마자 개정이 이루어진 때이다. 또 2호선의 영어 안내방송에서도 컴바위 톡정으로 들린다. 물론 전술했듯 영어권 외국인 입장에서는 오히려 따라하기 쉬운 직관적인 발음이기 때문에 긍정적 평가의 여지도 존재한다.

중국어 방송의 경우, 환승역, 그리고 인천터미널역이나 문학경기장역 등 주요시설이 있는 역에서만 송출된다. 이는 일본어 방송도 마찬가지이다. 특이하게도 중국어 방송은 모든 역명 중국어 표기(한문표기)를 중국식으로 독음한다. 이는 지명도 예외가 아니라서, 인천터미널은 런촨커윈잔, 문학경기장은 원허티위창으로 안내한다. 일본어 방송은 한자표기가 병행되는 부분은 한국어 독음을 준수하지만, 순수 가타카나로만 표기하는 부분은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일본식으로 읽는다. 때문에 인천터미널은 인천타미나루로 안내된다. 환승안내방송 역시 중국어와 일본어 방송 모두 자국식 발음을 준수하는 편이며, 1호선, 7호선, 심지어 비번호노선인 수인선과 공항철도도 모두 자국식 발음으로 안내한다.

송도달빛축제공원역 방향(하행 방향) 열차 접근 안내방송이 뱃고동과 갈매기 소리로 시작한다. 2008년 여름에 이 안내방송이 한 차례 버전업됐는데, 뱃고동소리의 음량이 약간 줄어들어서 예전에 비하면 포스가 떨어지는 편이다. 스펀지에도 제보된 바 있다. 이 때, 뱃고동소리가 울리면서 갈매기 울음소리가 들린다. 반대로 계양역 방면으로는 평범한 안내음('삐리리리~')이 들린다.

열차 내에 잡상인이이나 종교단체가 들어와 활동하는 경우 즉시 안내방송을 내보낸다.[16] 부산 도시철도 1호선도 마찬가지로 안내방송으로 직접 경고한다.
부평삼거리역에서는 승강장 안전선 밖으로 나올 경우 "안전선 뒤로 물러나주십시오"라고 안내방송이 나왔었으나 안전문이 설치된 현재는 나오지 않는다.

열차가 도착하기 직전에 방송하면서 안전선 뒤로 한걸음 물러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말이 스크린도어가 설치가 되어있어도 나온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대비로 2014년 전 역에 스크린도어를 광속으로 공사해 완공됐다.[17]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로 설치됐다.

2015년 말부터 열차 진입 시 승강장의 4개국어 안내방송이 모든 역으로 확대됐다. 한국어 성우가 박형욱에서 조예신으로 변경됐고, 일부 역에서는 '손님 여러분께서는 안전선에서 한걸음 물러서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음이 삭제되고 영어 안내 분량이 늘어났다. 하지만 2017년부터 원래대로 돌아옴과 동시에 2개국어로 줄어들고, 남은 분량은 휠체어/유모차 우선탑승 안내방송으로 대체됐다.[18]

안내방송이 개정되어 일부 역의 부기역명이 바뀌고, 인천시청역 안내방송에 인천2호선 환승안내가 추가됐다. 또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 일어난 유모차 미탑승 사건[19]으로 인해 인천 1호선 및 2호선 모두 유모차를 먼저 태워달라는 안내방송[20]이 열차 진입방송에 추가됐으며 전동차 내에서도 중간중간 나오고 있다. 그리고 스크린도어에도 '유모차를 먼저 태워주세요' 라는 문구가 붙여졌으며 안내문까지 부착됐다.

2018년 현재 유모차 주의 방송을 포함한 안전안내방송 등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시처럼 대대적인 녹음과 개정이 필요없는 부분을 조금씩 개정할 때 신분당선 부산김해경전철에서 사용중인 음성과 동일한 TTS로 땜질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문단 단위로 깔끔하게 되어있지 않고 기존 조예신 성우의 방송이 중간에 짤리고 바로 TTS로 이어붙여진 방송이 나오는 등 편집이 매끄럽지 못한 편이다.

인천교통공사 로고송이 있는데, 환승역마다 이 노래를 틀어준다. 본 문서 10.1 환승역 문단에 환승역의 명단이 나와있다. 다만 실제로 틀어주는 노래는 로고송과 도입부가 미세하게 다른데[21], 직접 들어보자. 영상 1분 59초.

2019년 가을에 개통 20주년을 맞이하며, 이를 기념하는 특별 안내 방송이 부평시장역~부평역~동수역 구간에서 송출됐다.

2020년 하반기 부터 나머지 다른 역들도 조예신 성우와 낸시 킴 성우 그대로 기존 녹음을 새롭게 해서(중국어, 일본어 포함) 2020년 10월 28일부터 개정안내방송이 송출되고 있다.[22]

2024년 1월에서 2월 사이에 진입 안내방송이 개정되었다. 기존에는 같은 행선지여도 2개 정도의 버전이 있었는데, 지금은 하나로 통일되었고, 영문은 "This train for ~" 였던 것이 "The train for ~ is approaching"으로 바뀌었으며 휠체어와 유모차를 먼저 태워 주시기 바랍니다 멘트의 영문 버전도 같이 나오게 됐다.

2024년 4월 말부터 진입 안내방송의 성우가 바뀌었다. 인천교통공사 측에 의하면 기존 안내방송은 잡음도 다수 섞여있고 하여 음질이 좋지 않아 사내의 음성녹음 경험이 있는 직원이 전문 녹음실에서 직접 새로 녹음하였다고 밝혔다. 인천교통공사 측에서는 현 안내방송은 2025년 상반기 검단연장선에 관련하여 음원 변경계획이 있다고 하였다.

6.2. 구간별 혼잡도

서울에 비하면 애교 수준이지만, 수도권에 있는 광역시 지하철인 만큼 출퇴근시간에 상당한 혼잡도를 나타낸다.

6.3. 다른 노선과의 연계

2007년에 영업을 시작한 계양역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개통 때만 해도 수도권 통합 요금 제도가 적용되지 않다 보니,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공기수송화에 한 몫 했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2010년 2단계 구간 개통 때에야 통합 요금제가 적용되어, 이 때부터 승객 수가 늘어났다.

부평역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주안 및 동인천 등 구도심 상권의 영향력이 크게 약화되고[26], 부평 및 구월동 상권이 활성화되는 데 영향을 끼쳤다. 참고로 부평역은 환승통로의 길이가 길 뿐만 아니라, 지하상가는 부평던전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출입구를 찾는 것이 힘들다. 거의 국내 지하상가 가운데 복잡성이 거의 최고 랭킹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는 통로마다 이름을 붙여 파란길-빨간길-녹색길로 구분하고 있고, 바닥과 천장에 안내판이 붙어 있어 길찾기가 과거에 비해 다소 편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부평역을 많이 방문하지 않는 사람들은 길 찾는 게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2012년에는 원인재역( 수인분당선), 부평구청역( 서울 7호선)이 잇달아 새 환승역이 됐고, 2016년 7월 30일부터 인천시청역 2호선과의 환승역이 됐다. 현재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노선은 5개이다.

7. 소재지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운영사 및 소재지 일람
운영사 소재지[27] 구간 역 개수
인천교통공사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역 ~ 작전역 7
부평구 갈산역 ~ 부평삼거리역 6
남동구 간석오거리역 ~ 예술회관역 3
미추홀구 인천터미널역 1
연수구 문학경기장역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13
미개통 구간
인천교통공사 인천광역시 서구[28] 아라역 ~ 검단호수공원역 3[29]

8. 환승역

계양역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부평구청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부평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시청역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2호선
원인재역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9. 연장 계획

9.1. 검단 연장선 (2025년 6월 개통)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선 }}}
총연장 6.825km
총사업비 7977억
기점 계양역
종점 검단호수공원역
3개
착공 2020.11.11
개통예정 2025.6

인천 1호선을 기존 종착역인 계양역에서부터 검단신도시를 관통하여 최종적으로 서구 불로동의 검단호수공원역까지 연장하는 사업이다. 이로써 지난 2007년 이후 18년 만에 계양역은 종착역 자리를 물려주게 되텄다.

지난 2020년 11월 착공하여 현재 공사중이며 2025년 6월에 개통예정이다.

9.1.1. 역 목록

<rowcolor=white>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rowcolor=white> 형태 횡단
I107 0.77 검단호수공원 ■││■ (지하 2층)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2호선[30] 인천광역시 서구
I108 1.88 신검단중앙 ■││■ (지하 2층)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31][32]
파일:GreatTraineXpress_D.svg GTX-D[33]
I109 4.052 아 라 ■││■ (지하 2층)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34][35]

9.1.2. 추진 역사

2011년 1월 7일 국토해양부 장관 고시로 승인된 인천광역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포함됐다. 계양역에서 검단1지구 주상복합용지~원당단독주택지구~ 인천 2호선 검단지선 종착역~ 검단2지구 교육연구시설~검단2지구 중심상업지구를 통과하며 전구간 지하로 총 10.9km 노선으로 계획됐다.

파일:attachment/인천 도시철도 1호선/geomdan.jpg

그러다 검단2지구 계획이 취소됨과 동시에 중앙대학교 인천 캠퍼스는 정상적으로 추진되면서 2014년 1월 28일 노선 계획을 전면 수정, 당초 5개역, 10.9km 신설에서 3개역, 9.3km로 수정하여 국토교통부에 제출하여 2015년에 확정지었다. 기존 대곡동~중앙대 예정지 구간이 단축되고, 원당지구 위에 지어질 예정이었던 역 하나가 삭제되는 등의 변동사항이 있었다. 그러나 그 와중에도 중앙대 인천 캠퍼스 사업마저 무산되고 대학병원 설립 정도로 축소될 조짐이 보였다가 아예 중앙대가 사업을 포기하면서 난항이 예상됐고, 검암역 연장으로 추진 방향을 돌리기도 했으나 스마트시티 추진과 함께 다시 검단 연장으로 가는 분위기.

파일:인천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 인천 2호선 김포 연장안.jpg
크게 보기

2016년 초 제출된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르면 사업비 약 6,500억 원을 들여 계양역에서 검단신도시 불로동 일원까지 2역을 신설할 계획이며, 계획 우선순위도 7호선 청라 연장에 이은 2순위고 신도시 개발 부담금을 활용하여 추진한다고 하며, 후보 노선으로 검단 불로동에서 김포 한강신도시까지의 연장이 추가되어 있다.[36] 2016년 7월 계획을 확정하여 국토부에 승인 요청을 했으며, 2016년 12월에 있을 국토부의 승인 고시를 기다린다고 한다. 국토부에서는 승인했고, 2020년 11월 11일에 착공했으며, 2024년 12월 완공 후 시운전 뒤 2025년 6월에 개통될 예정이다. 계양~검단신도시 연장 2024년 완공

파일:0004371397_001_20200701094608126.jpg

연장선이 지나가는 다남동 일대 주민들은 자신들의 주거지 지하로 지하철이 지나가는 것을 반대하여 계양역-귤현역 구간을 직선화 하고 계양역의 이전과 복합환승센터 조성을 요구했으며 여기에 아라뱃길 건너편 장기동 주민들까지 합세하여 직선화와 장기동 경유를 요구했다. 하지만 아라뱃길과 고속도로 통과 등 어려움이 있어 기존 원안 계획대로 추진하게 됐다. 기사

마침내 2020년 11월 11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 연장선이 착공에 들어갔다. 계양역을 기점으로 총연장 6.825km, 정거장 3개를 건설하는 사업이며, 총 사업비는 7,977억원이다.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는다.

파일:국토교통부 수도권 서부지역 교통망 확충 보도자료 .jpg

2024년 9월 10일 국토교통부에서 수도권 서부지역 교통편의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위의 보도자료에서 국토부는 인천1호선 검단연장선을 적기에 개통시키겠다는 내용을 밝혔다.

9.2. 김포한강신도시 연장 (구상)

파일:1983_2699_2958.jpg

2022년 11월 10일 유정복 인천시장이 민선8기 시장으로 돌아온 이후, '인천 북부권 순환망 구축' 방안을 발표하면서 2016년 당시 장래 구상으로 남은 김포한강신도시 연장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장기역이 아닌 마산역까지 연장하는 것이 다르다.
<rowcolor=white>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rowcolor=white> 형태 횡단
I107 0.0 검단호수공원 ■││■ (지하 2층)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2호선[37] 인천광역시 서구
6.1 마 산 파일:GoldLine_icon.svg 김포 골드라인 경기도 김포시

9.3. 남부 연장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안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골든하버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2호선 남동구청역 - 인천논현역 / 독정역 - 불로지구
주안송도선 송도국제도시역 - 주안역
송도트램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영종트램 공항신도시 - 영종하늘도시
부평연안부두선 부평역 - 연안부두
제물포연안부두선 제물포역 - 연안부두


송도국제도시 3차 연장계획은 송도달빛축제공원역에서 송도국제도시 8공구로 1.46km 연장하는 방안이다.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안에 2030년에 착공하고 2035년 개통 목표로 반영됐으며, B/C는 0.93으로 분석됐다. 2024년 8공구까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노선으로 신청하였다. 하지만 2024년 5월 8공구 연장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서 탈락하여 사업 추진이 어려워졌다. 골든하버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것이 그 이유라고 한다.

송도국제도시 9공구 골든하버로의 1개역 추가 연장안은 후보노선에 포함됐으며, B/C는 0.62로 분석됐다. 이는 4차 연장 사업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rowcolor=white>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rowcolor=white> 형태 횡단
I140 - 랜드마크시티[38] ■││■ (지하 3층) - - 연수구
I141 - 아암물류단지[39] ■││■ (지하 3층) - -
I142 - 인천항(골든하버) │■│■│ (지하 3층) - -

10.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역별 승하차 통계

2023년 기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인천 1호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30개 계양-송도달빛축제공원 12,296명 368,884명 134,642,674명 인천터미널 귤현
23개 1~3단계 구간[40] 12,887명 296,409명 108,189,448명 인천터미널 귤현
7개 4~5단계 구간[41] 10,354명 72,475명 26,453,226명 테크노파크 국제업무지구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5만명 이상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5천명~1만명 5천명 이하
30개 계양-송도달빛축제공원 없음 5개역[42] 11개역[43] 10개역[44] 4개역[45]
||<-4><tablebordercolor=#6FA0CE><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759cce>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1위 인천터미널 26,617명 9,715,262명
2위 작전 24,694명 9,013,391명
3위 부평시장 23,547명 8,060,481명
4위 예술회관 21,399명 7,810,761명
5위 테크노파크 20,204명 7,374,483명
6위 간석오거리 19,653명 7,173,363명
7위 계산 19,314명 7,049,637명
8위 동춘 18,073명 6,596,529명
9위 갈산 15,627명 5,703,790명
10위 임학 14,347명 5,236,745명
11위 인천대입구 14,090명 5,142,762명
12위 부평 12,597명 4,597,863명
13위 부평구청 12,279명 4,481,959명
14위 선학 11,293명 4,121,870명
15위 캠퍼스타운 10,706명 3,907,623명
16위 경인교대입구 10,220명 3,730,381명
17위 인천시청 9,646명 3,520,879명
18위 동막 9,384명 3,425,202명
19위 신연수 9,373명 3,421,111명
20위 송도달빛축제공원 9,355명 3,414,695명
21위 지식정보단지 8,112명 2,960,707명
22위 센트럴파크 7,233명 2,640,071명
23위 동수 7,183명 2,621,733명
24위 계양 7,003명 2,555,954명
25위 박촌 6,762명 2,467,959명
26위 원인재 5,098명 1,860,873명
27위 부평삼거리 4,897명 1,787,297명
28위 문학경기장 4,866명 1,775,951명
29위 국제업무지구 2,775명 1,012,885명
30위 귤현 2,538명 926,251명

12. 전구간 주행영상

하행 전 구간 주행 영상 상행 전 구간 주행 영상

13. 기타

파일:인천1호선전광판 교체전.jpg
파일:인천1호선-도착안내 .jpg

[1] 계양역 이후에 역들인 계양천역은 아라역, 인천원당역은 신검단중앙역, 검단역은 검단호수공원역으로 변경되었다. [2] 신림선과 색상이 비슷하지만, 신림선이 더 진하다. [3] 인천 도시철도 2호선도 종축이기는 하지만 시민공원역까지만 해당된다. 이 역 이후부터는 횡방향인 동쪽으로 꺾은 후 남동구 쪽으로 이동한다. 인천 지도 전체로 보면 1호선과 2호선이 서로 X자로 교차된다. [4] 1회용 교통카드 도입 이후 최초 개통한 수도권 전철 역이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마그네틱 승차권 사용이 불가능했다. [5] 참고로 이 계획의 후신인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인천~안산 구간은 2016년 2월에 개통했다. 계획부터 개통까지 장장 25년 6개월이 걸린 셈. [6] 환승인지 아니면 직통운전인지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차량 규격 등 여러 가지 문제로 환승 연계였을 가능성이 높다. [7] 金浦공항 연결 안한다(경향신문) [8] 해당 지역은 2024년 현재도 미개발지이다. [9] 사실 지상/지하, 단계별 개통여부까지 고려하면 6가지 [10] 인천1호선 송도연장사업 2002 예비타당성조사 문서 참조 [11] 국악 창작곡이지만 국립국악원 신호국악 시리즈가 아닌 민간 음반회사 '오감엔터테인먼트'에서 발표한 음원이다. 음반명은 <울 아기를 위한 국악비타민>. [12] 계양역 한정. 환승역이어서 종착 BGM이 아닌 환승 BGM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13] 참조 [14] 안내방송 배포 날짜가 무려 2006년 9월 21일이다. 무려 20년이나 가까이 된 셈. 그러나 지금은 무슨일인지 들어갈 수가 없다. [15] 국내 지하철 환승음악 중에서 가장 평이 나쁜 곡이다. 그나마 중독성 있다고 하는 사람들도 조금이나마 있지만 대부분의 승객들이 싫어한다. [16] "우리 열차 내에서는 물건을 팔거나 광고 선전물 배포 및 포교 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발견 즉시 기관사나 역무원에게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기관사가 직접 방송한다. [17] 동막역의 동쪽 승강장은 폐쇄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 설치 제외. [18] 개통 초기때부터 4개국어 안내방송을 쓰던 계양역 역시 2017년에 2개국어 안내방송으로 변경됐으며, 예외로 한 번도 4개국어 안내방송을 쓰지 않고 2개국어 안내방송만 썼던 역사도 있다. [19] 모친이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 지하철 탑승을 하고자 앞 사람들이 다 탄것을 보고 마지막에 탔으나 열차 문이 닫혀 유모차만 전동차에 탑승하고 모친은 탑승하지 못한 일. [20] 휠체어와 유모차를 먼저 태워주시기 바랍니다. 양보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성우 녹음이 아닌 보이스웨어를 사용했다. [21] 로고송에 비해 도입부가 미세하게 길다. [22] 다만 원인재역은 수인분당선 개통을 반영하지 못해 임시로 TTS 안내방송이 나왔었다. 현재는 정상적으로 반영이 되어 성우방송으로 나온다. [23] 7호선 환승통로와 제일 근접한 맨 앞 칸에서 하차 승객의 빈자리를 노리는 것을 추천. [24] 실제로 상행의 경우 부평구청역 이후부터는 내리는 사람이 거의 없이 타기만 하며, 종착역이자 공항철도와 환승이 가능한 계양역에 도착하면 "그 많던 사람들의 거의 대부분이 공항철도 승강장으로 몰려간다." [25] 특히 수인·분당선 상하행이 동시 도착했을때는 서울의 주요 환승역들 못지않게 환승통로가 극도로 혼잡해진다. [26] 대신 인천역 상권은 수인선 개통, 주안역 상권은 2호선 개통으로 부활을 꿈꾸고 있다. [27] 전 구간 인천광역시 소재 [28] 검단구 분구 예정 [29] 2025년 6월 개통 예정. [30] 개통시기 미정 [31] 2024년 대광위 중재안 기준 [32] 2031년 개통추진 [33] 2030년 개통예정 [34] 2024년 대광위 중재안 기준 [35] 2031년 개통추진 [36] 서울로 향하는 수요가 대부분인 김포시 고양시에서 검암역으로 역주행하는 노선이 별 효용이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던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연장 계획과는 달리, 김포 골드라인의 혼잡도를 감안하면 인천 1호선의 김포 연장이 성사되면 한강신도시에서 인천 1호선을 타고 계양역에서 공항철도를 갈아타는 수요가 생길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37] 개통시기 미정 [38]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339 일대 위치 예정. [39] 인천미송중학교 위 사거리에 위치 예정. [40] 계양-동막 [41] 캠퍼스타운-송도달빛축제공원 [42] 작전, 부평시장, 예술회관, 인천터미널, 테크노파크 [43] 임학, 계산, 경인교대입구, 갈산, 부평구청, 부평, 간석오거리, 선학, 동춘, 캠퍼스타운, 인천대입구 [44] 계양, 박촌, 동수, 인천시청, 신연수, 원인재, 동막, 지식정보단지, 센트럴파크, 송도달빛축제공원 [45] 귤현, 부평삼거리, 문학경기장, 국제업무지구 [46] 검단호수공원역, 신검단중앙역, 아라역 [47] 박촌역, 임학역 [48] 계산역 [49] 경인교대입구역, 작전역 [50] 갈산역, 부평구청역, 부평시장역, 부평역 [51] 동수역, 부평삼거리역, 간석오거리역 [52] 인천시청역, 예술회관역, 인천터미널역 [53] 문학경기장역, 선학역, 신연수역, 원인재역, 동춘역, 동막역 [54] 캠퍼스타운역, 테크노파크역 [55] 지식정보단지역, 인천대입구역, 센트럴파크역, 국제업무지구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56] 30개 중 28개가 지하 역이다. [57] 사실 이 부분은 같은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다른 전동차( 2호선 1~2차분, 3호선 1차분, 코레일 L C D , 동해선 주둥이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초창기에는 평상시에 광고만 나오다가 역에 근접할 경우 도착역 안내를 전체 화면으로 띄워준 적이 있었다. 거기에 광고만 나오는게 아니라 출입문 수동 개방법 등의 안전 수칙 같은 것들도 나왔다. [58] 2차분은 2007년, 2008년인 지하철 참사 이후 도입됐기 때문에 처음부터 불연재로 제작됐다. [59] 귤현역은 지상역이고, 작전역, 신연수역은 섬식 승강장, 박촌역, 동막역은 2면 3선식 승강장이라는 점에서 지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모든 역에 개통 당시부터 엘리베이터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1,2단계 개통구간 기준) [60] 심지어 지상 역인 귤현, 계양역도 별 문제가 없었다고. [61] 덤으로 현재 공사중인 검단 연장 구간의 경우 아예 터널 규격을 대형 전철이 입선 가능한 규격으로 건설 중이다. 터널 단면도 [62] 기존에는 송도달빛축제공원역만 가지고 있었던 LCD 모니터를 다른 역들도 갖게 되는 것이다. 위 사진이 교체 전, 아래 사진이 교체 후. [63] 반면, 1년 먼저 개통한 대구지하철 1호선은 전 역사 화장실에 좌변기를 설치하였다. 참고로 이쪽은 대림요업 제품이 아니라 계림요업 제품으로만 설치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5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