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의 도안 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본 제국 엔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
[[와케노 키요마로| |
[[쇼토쿠 태자| |
[[나카토미노 카마타리|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5엔) |
와케노 키요마로 (10엔) |
쇼토쿠 태자 (100엔) |
후지와라노 카마타리 (200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A시리즈 (1차)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니노미야 긴지로| |
[[쇼토쿠 태자| |
니노미야 손토쿠 (1엔) |
쇼토쿠 태자 (100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B시리즈 (2차)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다카하시 고레키요| |
[[이타가키 다이스케| |
[[이와쿠라 도모미| |
[[쇼토쿠 태자| |
다카하시 고레키요 (50엔) |
이타가키 다이스케 (100엔) |
이와쿠라 도모미 (500엔) |
쇼토쿠 태자 (1,000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C시리즈 (3차)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와쿠라 도모미| |
[[이토 히로부미| |
[[쇼토쿠 태자| |
[[쇼토쿠 태자| |
이와쿠라 도모미 (500엔) |
이토 히로부미 (1,000엔) |
쇼토쿠 태자 (5,000엔) |
쇼토쿠 태자 (10,000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D시리즈 (4차)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나쓰메 소세키| |
[[무라사키 시키부| |
[[니토베 이나조|]] |
[[후쿠자와 유키치| |
나쓰메 소세키 (1,000엔) |
무라사키 시키부 (2,000엔) |
니토베 이나조 (5,000엔) |
후쿠자와 유키치 (10,000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시리즈 (5차)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노구치 히데요| |
[[히구치 이치요| |
[[후쿠자와 유키치| |
노구치 히데요 (1,000엔) |
히구치 이치요 (5,000엔) |
후쿠자와 유키치 (10,000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F시리즈 (6차)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
[[쓰다 우메코| |
[[시부사와 에이이치| |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1,000엔) |
쓰다 우메코 (5,000엔) |
시부사와 에이이치 (10,000엔)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rowcolor=#ffffff> 내무경 (1873년~1885년) | |||||||
초대 오쿠보 도시미치 |
2대 기도 다카요시 |
3대 오쿠보 도시미치 |
||||||
4대 이토 히로부미 |
5대 오쿠보 도시미치 |
6대 이토 히로부미 |
||||||
7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
8대 야마다 아키요시 |
9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rowcolor=#ffffff> 내무대신 (1885년~1947년) | ||||
초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
임시대리·5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
초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
||||||
2·14대 사이고 주도 |
3대 시나가와 야지로 |
4대 소에지마 다네오미 |
임시대리·5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
6대 고노 도가마 |
||||
7대 이노우에 가오루 |
8대 노무랴 야스시 |
9·12·19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10·13대 이타가키 다이스케 |
11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
||||
9·12·19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10·13대 이타가키 다이스케 |
2·14대 사이고 주도 |
15대 스에마쓰 겐초 |
16대 우츠미 타다카츠 |
||||
17대 고다마 겐타로 |
18대 가쓰라 다로 |
9·12·19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20대 기요우라 게이고 |
21·23·25대 하라 다카시 |
||||
22대 히라타 도스케 |
21·23·25대 하라 다카시 |
24·27대 오우라 가네타케 |
21·23·25대 하라 다카시 |
26·28대 오쿠마 시게노부 |
||||
24·27대 오우라 가네타케 |
26·28대 오쿠마 시게노부 |
29대 이치키 기토쿠로 |
30·34대 고토 신페이 |
31·33·35대 미즈노 렌타로 |
||||
32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
31·33·35대 미즈노 렌타로 |
30·34대 고토 신페이 |
31·33·35대 미즈노 렌타로 |
|||||
36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
37대 하마구치 오사치 |
38·44대 스즈키 기사부로 |
39대 다나카 기이치 |
|||||
40대 모치즈키 게이스케 |
41대 아다치 겐조 |
42대 나카하시 토쿠고로 |
43대 이누카이 쓰요시 |
|||||
38·44대 스즈키 기사부로 |
45대 야마모토 타츠오 |
46대 고토 후미오 |
47대 우시오 시게노스케 |
48대 카와라다 카키치 |
||||
49대 바바 에이이치 |
50대 스에츠구 노부마사 |
51대 기도 고이치 |
52대 오하라 나오시 |
53대 코다마 히데오 |
||||
54대 야스이 에이지 |
55대 히라누마 기이치로 |
56대 타나베 하루미치 |
57대 도조 히데키 |
58대 우자와 미치오 |
||||
59대 안도 기사부로 |
60대 오다치 시게오 |
61대 아베 겐키 |
62대 야마자키 이와오 |
63대 호리키리 젠지로 |
||||
64대 미츠치 추조 |
65대 오무라 세이이치 |
66대 우에하라 에츠지로 |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
67대 키무라 코자에몬 |
||||
폐지 | ||||||||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 |
일본 제국 제10·13대 내무대신 이타가키 다이스케 板垣退助 | Itagaki Taisuke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 1837년 5월 21일 | ||
도사국 도사군 (現 고치현 고치시) | |||
사망 | 1919년 7월 16일 (향년 82세) | ||
도쿄부 도쿄시 (現 도쿄도) | |||
재임기간 | 제10대 내무대신 | ||
1896년 4월 14일 ~ 1896년 9월 20일 | |||
제13대 내무대신 |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본명 | 마사미(正躬) → 마사카타(正形) | |
통칭 | 다이스케(退助) | ||
성씨 | 이누이(乾) → 이타가키(板垣) | ||
아호 | 무케이(無形) | ||
부모 | 부친 이누이 마사시게 | ||
배우자 |
정처 계처 계처 스즈 계처 기누코 계처 세이코 |
||
자녀 | 5남 5녀 | ||
종교 | 불교 | ||
사상 | 자유주의 ( 일본) | ||
작위 | 백작 | ||
정당 | |||
위계 | 종1위[1] |
[clearfix]
1. 개요
이타가키 가문의 가몬[2] |
일본의 정치가. 일본 최초의 근대적 정당인 자유당을 창당한 인물이다.
메이지 유신에서 활약한 유신지사이자 일본 의회의 수립을 이끈 정치인이며 자유민권운동의 중심인물이었지만, 군사를 동원해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초과격 정한론자였으며, 이토 히로부미와 손잡고 대한제국의 보호국화를 주도한 제2차 이토 내각을 출범시키는데 기여해 내무대신까지 올랐던 인물이다.
일본 의회 창설을 주도하고 자유민권을 위해 반 메이지 정부 활동을 벌인 정치가라는 타이틀은 화려하지만, 죽기 전까지 정한론을 고수했으며 식민지인 차별 반대도 진정한 자유 독립이 아니라 결국 식민지 상태에서의 차별 반대라는 차원을 벗어나지 못한 주장이었던 등 이토 히로부미와 결탁한 당시 일본 자유주의 운동의 한계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자민당의 시조격 되는 인물이 된 것은 필연적인 결과인지도 모른다.
2. 생애
토사 번의 상급 무사 출신. 번주 야마우치 요도의 친(親) 도쿠가와 요시노부 행보에도 불구하고 독단적으로 삿쵸군에 가세하여, 무력 토막 운동의 핵심인 보신 전쟁에서 곤도 이사미를 격퇴하는 등 승승장구했다. 유신 후에는 참의(參議)로 신정부에 출사하였다.1873년, 메이지 6년 정변에서 조선 출병을 바탕으로 하는 과격한 정한론을 주장했다. 두루뭉술하게 조선과의 단교 내지는 무력으로 본때를 보여야 한다는 정도의 얘기가 오가던 일본 내에서 처음으로 대대급 병력으로 부산을 점령하고 조선을 개항시키자는 상세하게 과격한 주장을 일삼아 동료 정한론자인 사이고 다카모리가 그를 뜯어말려야 했을 정도. 구미 시찰에서 귀국한 이와쿠라 도모미 등의 반대에 부딪히게 되자 사이고와 함께 하야했는데 역설적으로 이 행동이 지지를 받으면서 많은 관료가 함께 하야했고, 이들과 함께 사이고가 택했던 무력으로서의 저항과는 토사 현을 중심으로 평화적인 방법으로 메이지 정부에 대항하는 자유민권운동의 중심 인물로서 떠올랐다.
이후 1874년 국회개설 청원을 주도[3]하여 1881년 제국의회가 수립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공적을 바탕으로 후일 '국회를 만든 남자(国会を創った男)'로 불리게 된다. 국회 탄생 이후에는 자유당을 창당하여 총리 자리에 올랐고, 기후시에서 연설 도중 암살당할 뻔하거나[4], 유럽을 방문하거나 분열로 자유당이 해산되거나 하는 우여곡절을 겪은 후 보신 전쟁에서의 공훈과 메이지 유신에 대한 공적을 바탕으로 1887년 백작위를 받아 화족의 반열에 들었다. 특권 계급이 되려고 유신을 하려고 한 게 아니라며 작위를 안 받겠다고 사작표(辞爵表), 재사작표(再辞爵表)를 냈지만, 메이지 덴노와 이토 히로부미의 의지가 확고해 이토의 의뢰를 받은 타케우치 츠나가 '삼고초려를 보듯 3회 거절은 불경하다'고 설득하자 결국 백작위를 받았다.
참의로서 정부에 복귀한 후 정치가로서 활동하였으며 1896년에는 이토 히로부미와 손잡고 2차 이토 내각의 내정대신까지 올랐다. 이후 1900년 입헌정우회 창당과 함께 은퇴했으며, 은퇴 후에도 이런저런 정치 활동을 하면서 대만에 방문해 대만동화회의 창설에 관여했고, <일본은 침략국이 아니니(日本は侵略国にあらず)> 같은 저작을 남긴 후 1919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이 <일본은 침략국이 아니니(日本は侵略国にあらず)>는 유작인 <입국의 대체(立国の大体)>의 14장인데 처음부터 끝까지 조선 병합에 대한 변명으로, 청이나 러시아가 조선을 점령할 경우 일본 국방에 위협이 되므로 조선이 자력으로 방위가 불가능한 상황이라 어쩔 수 없이 예방전쟁의 개념으로 조선을 병합한 것이라며 이토 히로부미의 주장에 동조하는 내용이다.
3. 여담
- 원래 성은 이누이( 乾)였으나 그의 집안은 다케다 신겐의 가신 이타가키 노부카타(후대에 다케다 24장으로 꼽혔다)의 후예였기 때문에, 다케다 신겐의 영지였던 고후 성의 전투를 앞두고 이와쿠라 도모미의 조언으로 이타가키( 板 垣) 성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고후 성이 위치한 카이 국 민중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곤도 이사미가 이끄는 갑양진무대(甲陽鎮撫隊)를 대파했다.
- 1882년~1883년 사이에 유럽 시찰을 갔을 때 일본인 최초로 루이비통 가방을 구매했다고 한다.
- 무사 출신이다보니 무술에도 능했다. 돈테키류(呑敵流) 유술을 익히고 있어서 암살범에게 피습당했을 때 유술로 반격해 위기를 빠져나왔고, 이 일로 면허개전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스모 매니아여서 많은 선수를 지원했으며 료고쿠 국기관의 이름을 짓기도 했다고. 검술 유파는 거합 전문인 무쌍직전영신류(無双直伝英信流).
- 암살범에게 피습을 당했을 때 '이타가키는 죽어도 자유는 죽지 않는다'는 명언을 했으나 죽지는 않았다.
4. 창작물에서
-
1990년 방영된 대하드라마
나는 듯이에서 사이토 요스케가 연기했다.
2013년 방영된 대하드라마
야에의 벚꽃에서 가토 마사야가 연기했으며,
2018년 방영된 대하드라마
세고돈에서는
시부카와 키요히코가 연기했다.
▲ 가토 마사야가 연기한 이타가키 다이스케 | ▲ 시부카와 키요히코가 연기한 이타가키 다이스케 |
* 만화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에서 켄신 일행에 빨간 기와에서 처음 사가라 사노스케와 만난 에피소드에서 가게 안에서 술에 취해 격론을 벌이던 자유민권운동가 사이에서도 그 이름이 언급된다.
[1]
사후 추서(1919년)
[2]
보신 전쟁의 공으로 토사 번주 야마우치 토요노리에게 하사받았다.
[3]
이 청원 자체는 각하당했다.
[4]
이때 치료를 맡은 것이 후일 거물 정치인으로 성장하게 되는
고토 신페이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