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5:06:44

이대형/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대형

1. 개요2. 주루3. 수비4. 타격
4.1. 극단적인 똑딱질4.2. 타격폼4.3. 정착

1. 개요

이대형의 플레이 스타일을 정리한 문서.

2. 주루

[1]
준수한 신체 조건을 갖추었으며, 특히 KBO 내 최상위권에 드는 빠른 발을 가진 선수다. 아래 기록들만으로도 그의 주력에 대해서는 설명이 가능하다.
4년 연속 도루왕[2] (2007~2010년)
KBO 유일무이한 4년 연속 50도루 (2007~2010년), 3년 연속 60도루 (2008~2010년)

빠른 발에 매우 뛰어난 주루 센스를 모두 갖춘, KBO 역사상 최고의 주자이다. 통산 도루 505개로 역대 3위.(1위 전준호 549개,[3] 2위 이종범 510개). 성공률도 74.1%로 세이버메트릭스상의 손익분기점을 넘는다.[4][5]

이러한 압도적인 주력을 가졌다고 평가받기는 하나, 의외로 현역 시절에도 단순 주력으로 더 빠르다는 선수들이 몇 있었고[6] 이대형 이후 LG에서 이대형보다도 주력이 빠르다는 평가를 받는 선수들이 여럿 나오고도[7] 5~60도루는 커녕 20도루 언저리도 찍어내지 못하는 선수들이 대부분인 것에서 보이듯 엄청난 주루 센스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순수 주력에서는 약간 더 높은 평가를 받던 김주찬이 뇌주루로 유명하고 기아 이적 후에는 홈런타자로 변한 것도 있지만 도루가 급감한 것에서 보이듯 도루는 피지컬에만 의지하는 기술이 전혀 아니다. 실제로 이대형은 상대 팀 배터리를 가볍게 농락하는 수싸움[8]과 뛰어난 슬라이딩과 주루 판단력을 지녔다.

이렇게 압도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주력도 세이버매트릭스의 보급 이후 재평가 되었는데, 상술했듯 도루의 손익분기점인 72~73% 선을 넘긴 하지만 말 그대로 '손익분기점'을 아슬아슬하게 넘긴 수준이라 생각보다 커리어 내내 도루로 이득을 크게 본 선수라고는 볼 수 없다.[9][10]

타격폼 덕도 있겠지만 스윙 후 1루까지 걸리는 시간도 엄청나게 빨랐다.

3. 수비

빠른 발을 이용한 다이빙 캐치 등을 선보이는 중견수 수비가 인상적인 선수다. 타구판단이 비교적 안 좋기에 본의 아니게 연출되는 이른바 호수프레가 많다는 평이 있지만 스포츠투아이에서 작성한 스카우팅 리포트를 보면 분명히 '타구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스타트가 좋음(다이빙캐치 능력이 좋음)'이라고 나오니, 공격에서 아무리 갑갑하다 해도 수비만큼은 어느 정도 인정받는 선수다. 다만 어깨가 KBO에서도 최하위권을 다툴 정도로 심각하게 약하다. LG에서도 박용택과 더불어 소녀어깨 라인업을 구성하기도 했다.[11] 다만 고등학교 시절에는 투수도 할 정도로 강견이었다. 혹사로 인한 부상으로 큰 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어깨가 망가져 어깨가 약해진 것.[12]

4. 타격

4.1. 극단적인 똑딱질

커리어 통산 wRC+가 76.1인 데서 알 수 있듯 생산성이 낮은 타자였다. 통산 타율은 .278로 그럴듯 하지만 장타율이 고작 .324로, 순장타율인 Isop는 .046에 불과하다. 쉽게 말해 안타의 대부분이 1루타라는 말. 이는 앞으로 나오면서 톡 치는 타법이 안 그래도 파워가 약한데 장타율을 더욱 낮추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타격폼' 항목 참조. 그리고 좀처럼 공을 띄우질 못해 땅볼이 워낙 많다보니 재수 없으면 병살, 그게 아니어도 선행주자 진루 실패 등 팀에게 좋지 않은 타격이 되곤 한다.[13] 그렇다고 선구안이 좋은 것도 절대 아닌게, 통산 볼넷 437개에 삼진 848개로 스윙을 크게 하는 타자가 아님에도 BB/K가 거의 0.5정도에 형성된다. 또한 초구에 지나친 집착을 보이는 배드볼 히터 성향도 있어서,[14] 그의 통산 출루율은 고작 0.337로 통산 타율과 6푼도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리고 단타가 대부분인 특성과 도루라는 특기가 겹쳐지며 자기 스탯에만 중점을 두는 자기 중심적 선수라고 비판을 받기도 한다.[15]

공교롭게도 똑딱이, 자기중심적 플레이, 스탯쌓기라는 이대형의 이미지는 21세기 들어 추락한 LG와 겹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타 선수들보다 훨씬 까이는 비중이 크다. 이대형의 출루가 줄어들자 LG의 득점력도 따라서 떨어지고는 했다. 또한 KIA 타이거즈로 갔던 이용규와도 비교되면서 더욱 더 까인다. 더구나 이용규는 이대형보다 어린데다 당대 최고의 1번 타자라고 불릴 정도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2007년 3할 타율을 기록하면서 크보 3대 미스터리에 등재되기도 하였다. 이 때의 wRC+가 102.4로, 이대형 커리어 통틀어 100을 넘긴 유일한 시즌이며, 유일하게 골든글러브를 획득한 시즌이기도 하다. 그러나 2007년 139안타 중 내야안타가 46개로 내야안타 비율이 1/3이나 되었다. 그러니 다음해부터는 대놓고 이대형 시프트로 전진수비를 펼쳐서 내야안타 비율이 급감하자 성적도 폭락하게 된 것. 미스터리에 함께 거론이 되는 이승화의 3할 또한 비슷하다. 결국 자기중심적 플레이라기보다는 애초에 타격 정확도에 한계를 드러냈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하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준수한 타율, 그럼에도 나쁜 선구안으로 인해 평균 정도인 출루율, KBO 최하 수준의 장타율로 실질적인 생산성은 낮았던 타자다. 타고난 야구 센스보다는 우수한 신체 능력과 본능을 바탕으로 야구를 하는 선수. 한마디로 몸야구의 대표 주자다. 이와 비슷한 유형의 선수로 예로 들자면 김주찬(롯데 시절 한정), 장민석, 신종길, 고종욱, 노수광, 아카호시 노리히로[16], 오카다 요시후미[17]등을 들 수 있다. 예전 다저스의 1번타자였던 톰 굿윈이나 빈스 콜먼, 후안 피에르 정도도 비교대상에 적합하다. 혹자는 1999년 삼성에서 활동한 외국인 선수 빌리 홀[18] 옆그레이드 버전이라고도 평하기도.[19] 성적의 유사함만 놓고 보면 조동화와 비슷한 편. 2013 시즌에는 오히려 조동화는 시즌 막판 체력 부족으로 성적이 하락했음에도 커리어 이상의 성적을 냈다. 그래도 이대형의 타수 대비 볼넷수가 1:10은 된다는 점에서, 아무 공이나 막 치는 타자가 아닌 것은 천만 다행이다.

4.2. 타격폼

파일:external/pbs.twimg.com/BZKNl-ZCQAALMIP.jpg
LG시절 이대형의 타격을 표현해낸 명짤. 이른바 3단 분리타법으로 불린다. 심지어 이대형 본인도 스톡킹에 출연해서 이 짤을 보고 흔쾌히 동의했다.

파일:external/lh3.googleusercontent.com/%25EC%259D%25B4%25EB%258C%2580%25ED%2598%2595%2520%25EB%25B6%2588%25EC%2595%2594.png
불암도 인정한 심각함.

파일:external/lh4.googleusercontent.com/%25EC%259D%25B4%25EB%258C%2580%25ED%2598%2595%25EC%2582%25BC%25EB%258B%25A8%25EB%25B6%2584%25EB%25A6%25AC%25EB%25AA%2585%25EC%25A7%25A4.jpg
이대형의 실제 타격폼.

파일:external/0592c270d1d4ef8580abd4a1b218b48f9260b3d3ab642a1d06f2c2e1363e94d3.png

파일:external/3055dba9280eb992e0ec592b668d4dd199c524738e39c377d565be4b2db1fe86.png
이우의 야구수첩에서도 치고 달려라 라며 까였다.

파일:external/pbs.twimg.com/BWwnXQ6IAAAAZfD.png
타격연습때는 각이 제대로 산다. 보시다시피 연습장면인데 연습 때 저 타격폼을 보여주는 게 가능한 이유는 1루로 달리지 않아도 되고 투수가 공을 던지는 게 아니라 배팅볼을 마음 편하게 치는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 이유 말고 저 차이를 설명할 게 없다.[20]

은퇴후 밝힌 바에 따르면 일단 바운드라도 치면 본인 주력으로 어떻게든 되니까 점점 극단적으로 변했다고 했다. 가끔 허리를 필 때가 있는데, 그 때는 장타를 노리고 있는 거라고 한다. 유인구만 던져도 배팅이 훅훅 나올 거라고.

유튜브 채널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한 김일권[21]은 자신이 인정하는 대도 후배로 이대형을 언급하면서 "걘 잘 생기고 도루 잘 하는데 이상한 폼으로 치대"라고 평가했다. 대선배님이 보기에도 타격폼이 굉장히 독특했던 모양이다.

4.3. 정착

그런데 2014년 KIA 타이거즈로 이적을 하면서 상체를 살짝 숙이는 것으로 타격 폼을 수정했는데
파일:external/87bbf5e7ec0effabd2fc26131e79b1714ffc7e387bcae931c9f6a751baccf081.gif
4월 13일의 타격 모습. 무게중심을 뒤에 두고 공을 받쳐놓고 치고 있다.

2014년 0.323로 타율 커리어하이를 경신했다. 기아 팀 내 타율 3위를 차지한 것으로 봤을때, 역대급 타고투저를 고려하더라도 확실히 LG시절보다 나아졌다고 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 바뀐 타격폼을 더욱 갈고닦아 3년 연속 3할에 성공하며, 어느 정도 깝깝한 타격에서 벗어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게다가 2014년에 폭망했던 주루 능력 또한 2015년에 5년만에 40도루를 돌파하며 다시 개선되었다.

몸이 쏠리는 문제점에 대한 대처법을 찾은 것이 바로 상체를 숙이는 것이었다. 상체를 구부려 극단적으로 무게중심을 낮춰서 쏠리는 빈도가 줄어들었고 타격 시 왼발이 고정되기 시작하면서 타구 질이 좋아졌다.[22]

2016년의 폼. 아예 몸 전체를 눕혀버렸다. 이런 극단적인 방법으로 헤드업을 지양하고 무게중심을 낮춰서 삼권분립타법을 피하고 이 해 무려 192안타를 쳐냈다.[23]

다만 본인도 인정한 점으로 저런 자세로는 장타나 라인드라이브를 완전히 포기해야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3/3/3 타자가 될 수밖에 없었다.[24] 또 2017년에는 작년보다 볼삼비율 변화없이 BABIP 지표가 낮아지면서 수비 시프트가 다시 이대형을 괴롭히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떠오르기 시작했다. 장타와 라인드라이브를 포기한다는 말은 수비를 억지로 뚫어내기도 힘들어 시프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인데 바로 이에 해당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그래도 LG 시절보단 낫다. 살기위한 본인의 선택인듯. 좋은 타구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갖다 맞추더라도 살아남을수 있는 방향으로 바꾸면서, 전무후무한 본인만의 본인에게 맞는 폼을 찾은 듯 싶다. 본인이 직접 술회하기를 연습경기에서 겨우 안타 두 개 친 상태에서 타석에 나갔다가 3볼일 때 어차피 안 칠 거니까 누워서 보고 있었는데 공이 잘 보여서 아예 그러고 쳐봤더니 시범경기 타율이 4할이라 그대로 점점 더 눕기 시작했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

워낙 특이한 타격폼이다 보니 많이들 따라했다.


[1] 타자는 박경수고, 투수와 포수는 각각 차우찬 현재윤이다. 배터리는 이대형을 의식해 피치아웃을 3개나 했고, 피치아웃이 아닌 공에는 헛스윙을 남발한 박경수를 사이에 둔 이대형은 배터리가 사인에 집중해 이대형을 신경쓰지 않은 순간 도루에 성공해냈다. 나중에 현재윤이 이대형의 유튜브에 나와 말하기를, 첫 사인은 피치아웃이 맞았다고 한다. 그런데 그 뒤에 나온 두 개의 사인이 피치아웃 사인 중간에 하나가 더 추가된 사인이라 현재윤이 보다가 헷갈렸고, 그렇게 피치아웃을 연거푸 3개를 했다고 한다. [2]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도루왕을 차지했던 정수근,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도루왕을 차지한 박해민과 함께 연속 도루왕 타이 기록이다. [3] 그동안 550개로 알려졌으나 2020년 기록지 검증 작업을 통해 1개 오류가 발견되어 줄어버렸다. 본인이 골절상까지 당하면서도 550개의 도루를 채우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것인데 안타깝게 되었다. [4] 도루의 손익분기점은 일반적으로 70% 전후이고, 도루의 손익분기점은 장타율이 높은 성향을 띄는 리그라면 손익분기점이 올라가고, 낮은 성향을 띈다면 내려간다. [5] 통산 도루 성공률 전준호 71.7%, 이종범 81.9%, 정수근 75.2%, 김주찬 74.8%, 이순철 71.9%, 정근우 73.5%, 이용규 72.2%, 이종욱 78.7% [6] 오태근 김주찬은 이대형보다 빠르다는 평이 있었지만 둘 다 피지컬에 의존하는 주루 플레이 탓에 성공률은 이대형보다 낮았다. [7] 정주현, 신민재는 이대형보다도 빠르다고 평가받았고 유망주 시절 김용의도 이대형과 비견되는 주력을 가졌다고 평가받았다. 그러나 김용의를 제외하면 전부 주루 센스가 좋지 않고 그로 인해 도루성공률이 낮은 축에 속한다. 신민재는 나쁜 주루센스를 육상부 순위권에 준하는 주력으로 때워내다 조금씩 주루센스가 상승하고 있다. [8] 이 수싸움 능력은 현역 시절 크게 주목받지 않았다가, 은퇴 후 해설위원으로 합류한 뒤 정확하게 수싸움을 간파하는 해설을 선보이며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9] 도루의 경우 성공시 얻는 이득과 실패시 잃는 손해가 1:2 정도로 여겨지기 때문에 도루 100개를 했건 1000개를 했건 최소한의 손익분기점인 66.6%를 넘기지 못하면 무조건 손해고, 기대 득점 확률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72~73%는 넘어야 도루로 어느 정도의 이득을 보았다고 여겨진다. 물론 투수들이 1루에 있는 이대형을 신경써야하기 때문에 타자와 제대로 승부할 수 없는 데서 오는 이익이 있다는 점과 기아 이적 이후에 깎아먹은 편이기에 2012년까지만 보면 도루성공률이 76.1%였다는 점을 감안해야한다. [10] 549개로 통산 도루 1위이지만 성공률이 71.7%인 '대도' 전준호도 비슷한 케이스다. 510개로 2위면서 성공률이 81.9%라 손익분기점을 10%p 가까이 넘는 이종범이 예외적인 케이스. [11] 2009년 9개의 보살 카림 가르시아에 이어 보살 2위에 랭크된 적도 있어서 가끔 착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워낙 이대형이 소녀어깨를 보여주다 보니 주자들이 우습게 보고 되도 않는 상황에서 뛰다가 죽은 것이다. 박정권 같은 경우는 누가 봐도 본 헤드 플레이인 오버런을 해놓고도 이대형의 어깨를 생각해서 뛰었다고 인터뷰에서 자화자찬했을 정도. [12] 참고로 이 부상으로 병역 면제를 받았다. [13] 그나마 발이 빠른 좌타이고 타구 속도도 느려서 통산 병살은 단 50개에 불과하다. [14] 의외로 초구 타율이 4할을 넘긴 때도 여러 차례가 있었다. 문제는 별 시답지 않은 공에도 스윙을 했다. [15] 이대형의 커리어 하이 장타율은 2014년의 .401이며, 이 해를 제외하면 단 한 번도 4할은커녕 3할 7푼조차 넘겨본 적이 없다. 심지어 통산 출루율보다 장타율이 더 낮을 정도다. 0~4 사이의 값을 갖는 장타율이 0~1 사이의 값을 갖는 출루율보다 낮다는 것 자체가 이 선수가 장타툴이 아예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16] 이대형과 똑같은 극단적 똑딱이+스피드스터이지만 의외로 이쪽은 타율 대비 출루율이 괜찮게 나왔다. 심지어 등번호도 이대형과 동일하게 53번을 달았기에 한국 야구팬들에겐 더더욱 눈에 띄었다. 그러나 이대형보다도 장타율은 낮았고, 뭣보다 부상 때문에 선수 생활을 빠르게 접고 말았다. 비슷하게 심각한 부상으로 결국 은퇴했던 이대형은 그래도 부상에서 회복해서 타석에 설 정도까지 회복은 했었지만, 노리히로는 바로 은퇴를 선언해야 했을 정도로 심각한 부상이었다. [17] 현역생활 동안 총 2500타석을 들어왔으나 통산 홈런 없음. 이는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대 기록이다. [18] 타율이 2할 5푼도 안되던 선수가 도루 개수가 47개였다. 2014년 김상수가 53개로 경신할 때 까지 삼성 구단 한 시즌 최다 도루 기록이었다. [19] 하지만 수비에서나 순수 타격에서나 홀보다는 나은 편이다. 대놓고 업그레이드라 해도 틀린 게 아닐 정도. [20] 여담으로 2017년에 일본프로야구에서 이대형의 삼권분리타법 비슷하게 투수가 공을 던지는 순간 뛰기 시작하며 공을 방망이 끝에 살짝 갖다맞추고 내야안타를 자주 노리던 로엘 산토스가 있었다. 그리고 스몰볼을 즐겨하는 일본에도 이런 선수는 없었는지 올스타전에서 선수들이 따라하는 등 컬트적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용병 선수의 성적이 LG 시절 이대형 수준이었던 데다가(타율 .250에 OPS .638) 이대형과는 달리 5도루 4도실로 도루 성공률까지 낮았기 때문에 딱 1시즌만 뛰고 일본을 떠났다. 장타력은 이대형보다는 나아서 홈런 3개 쳤다. 시즌 중에 대체 용병으로 입단하여 66경기밖에 안 나온 선수인 것을 감안하면 이대형보다는 장타툴이 있었던 셈이다. [21] 이 분은 KBO 원조 대도라고 할 수 있다. 도루왕 3연패를 최초로 기록한 선수가 김일권으로, 이 계보를 이어간 선수가 이대형. [22] 이대형과 타격폼이 비슷한 타자가 한 명 더 있었다. 바로 리키 헨더슨. 헨더슨은 상체를 숙여서 스트라이크존을 극단적으로 좁혀 더 많은 볼넷을 얻으려고 노력하여 1번 타자임에도 통산 출루율이 4할이 넘는 역대 최강의 1번 타자로 남았다. 그렇다고 장타력을 포기한 것도 아니어서, 통산 iso .140에 20+홈런 시즌을 3번 기록한 당시 기준에는 장타력까지 평균 이상을 갖춘 선수였다. 물론 이대형은 출루도 출루지만 애초에 타격이 병맛이라 살아남기위해 타개책을 찾은 것이 바로 이 타격폼이다. 그렇게라도 오래 선수생활 했으니 나쁜 것은 아니다. [23] 다른 의미로 침대타법이 되었다. LG시절에는 공을 맞추는 과정에서 눕는다는 의미로 침대타법이 되었는데 KIA시절부터 KT시절에는 타격폼이 눕는 자세여서 침대타법이 되었다. [24] 실제로 이대형이 타격폼을 안정시킨 이후 약 6년간 홈런은 단 2개였다. 거기에 누워서 때리는 메커니즘상 스트라이크 존 부근으로 몸이 쏠리는 만큼 잡아당겨서 홈런을 만드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기에 저 홈런 2개는 바깥쪽 몰린 공을 결대로 밀어서 만든 홈런이었다. [25] 자기도 놀려보겠다고 골프 스윙을 닮은 이진영 타격폼 따라하는 건 덤.